알라딘서재

petites_proses님의 서재
‘픽셀 라이프’에 나온 내용 중,
<이직, 전직, 퇴직 모두 정해진 때가 없다>에 아쉬운 대목이 있습니다.

지금 책 이름이 기억이 나진 않지만 (미국인 저자였던 것 같아요), 어려운 혹은 불가능하다고 여겨지는 목표를 달성한 첫 번째 롤모델이 나오기는 어렵지만, 롤모델이 나오면 그 후에는 성공하는 경우가 많다는 내용이었습니다. 예시로, 박세리 선수 이전에는 한국의 프로골퍼들이 세계 대회에서 성과를 거둔적이 많지 않았는데, 박세리 선수 이후로 세계 골프 대회에서 좋은 성적을 거둔 한국 선수들이 점점 많이 나오고 있다는 내용이었습니다.
한국에서 첫 번째로 세계적인 프로골퍼가 된 박세리 선수가 나오면서 롤모델로 삼은 후배들이 많아졌던 겁니다. 눈에 보이는 성공 사례가 있을 때 불가능하게 여겨졌던 목표를 달성할 확률이 높아진다은 포인트였습니다.

이직, 전직, 퇴직, 늦깎이 유학도 모두 선배들이 있었을 겁니다. 아무 사례가 없는데서 그런 선택을 한 것이 아니라, 주변에 이직, 전직, 퇴직, 늦깎이 유학을 간 사례들을 보면서 ‘아, 이런 선택지도 있구나‘, ‘아, 이런 방법도 있구나’, ’그렇게 결정을 해도 살아가는 데 큰 문제가 없구나’하며 새로운 계획이 설 수 있었을 겁니다.

바로 이런 점들이 트렌드 코리아에서 아쉬운 점들입니다. 자료 조사를 통해서 나오는 내용들은 충실하게 담겨 있지만, 근본적으로 왜 이런 선택들을 많이 하고 있는지가 “픽셀 라이프” 혹은 어릴 때부터 학원에서 선행 학습을 많이 해왔기 때문에, 늘 계획을 세우고 그 안에서 달성하는 것이 체질화되었기 때문만은 아닐 겁니다.

대략적이지만, 이 부분은 아쉽습니다.
통계를 보려고 했다면, 최소한 20~30년 전부터 확인했더라면 좋았을 것 같습니다. 20~30년 전에 이미 이직, 전직, 퇴직 및 늦깎이 유학을 선택한 사람들을 아이일 때 만나서 받은 영향들이 있을 테니까 말입니다.

마치, 어느 날 갑자기 이 모든 유행이 뚝 떨어진 것처럼 기술되어 있는 내용들이 가지고 있을 맥락이 짚어지지 않아서 다소 이질적으로 느껴집니다.

* 박정 어학원, 해커스 어학원이 유명해진 계기가 학부나 대학원을 마치고 바로 유학가는 학생들 뿐 아니라, 직장에 다니면서 유학 준비를 했던 준비생들에게도 많은 도움이 되었기 때문이라고 알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이미 한참 전부터 있었던 현상일텐데, 왜 이 경우를 “픽셀 라이프”에 포함시켰는지... 조금 더 읽어봐야겠습니다.


  • 댓글쓰기
  • 좋아요
  • 공유하기
  • 찜하기
로그인 l PC버전 l 전체 메뉴 l 나의 서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