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처가 남긴 사랑과 회한의 기억 그리고 복원의 기도
김이정, <유령의 시간>, 교유서가, 2024
상실의 경험 없는 인생이란 존재하는가. 그럴지도 모르지만, 때론 우리의 상상을 훌쩍 뛰어넘는 고통과 상처를 안고 살아가는 사람들은 있기 마련이다. 장편소설 <유령의 시간>은 작가 김이정의 가족사를 모티브로 삼은 작품이다. 소설에는 일제 강점기와 한국전쟁이 초래한 어둠의 시간을 통과하며 상실과 상처를 화인처럼 짊어진 사람들로 그득했다.
작품 속 주요 인물인 김이섭은 일제 강점기에서 30년, 해방 공간에서 전쟁을 겪고 30년 생애를 살면서도 자신의 자리를 끝내 찾지 못했다. 특히 이념의 대립으로 손 쓸 기회도 없이 아내와 세 아이를 잃었던 그였다. 가족을 지키지 못했다는 자책감과 그리움이라는 깊은 우물의 심연 속에 평생 갇혀 살았다. 사회주의라는 이상과 타인을 위한다는 대의를 따르다 가족에게 상처를 주었다는 자각은 그의 삶을 평생 갉아 먹었다. 한차례 가족을 잃고 난 후 주변 사람들의 손에 떠밀려 한 여인, 미자가 그 앞에 나타났다. 그녀 역시 전쟁 중 눈앞에서 남편이 죽고 안식처마저 잃었던 여인이었다.
이들은 과연 누구였을까? 새로운 가족을 꾸리게 된 이섭과 미자는 엄혹한 시절, 가족을 지키고자 발버둥 쳐온 우리 선배 세대의 모습이기도 하다. 하지만 작별 인사도 미처 하지 못한 채 역사의 거대한 파도에 사랑하는 사람들을 내주었던 이섭에게는 잃어버린 피붙이들의 목소리와 이름만 덩그러니 남았다. 이들은 보이지 않는 유령처럼 시간 속에서 부유해야 했던 이들이기도 하다. 이섭, 미자, 그리고 월남전에서 정신이 온전치 못한 상태로 돌아온 남편을 지켜보아야 해던 순희의 생을 상상해 본다. 이들처럼 인생의 고비를 넘는 동안 삶에 대한 신념과 열정이 배반당했을 때, 그러니까 이 방향감각의 상실감 속에서 우리는 과연 무엇을 할 수 있을까? 소설을 읽는 내내 이섭이 건너야 했던 기구한 삶은 내게 이러한 질문을 던지고 있었다.
이섭은 물 밖에 나온 새우의 모습처럼 강하지 못한 생명을 무엇보다 혐오했다. 그가 이런 무기력함을 “가장 잔혹한 형벌”로 여겼을 속사정을 헤아려본다. 가족을 지키지 못했던 가장으로서의 수치심과 죄책감이 한몫했을 것이다. 그런데도 이섭과 미자, 그리고 가족이나 다름없던 이웃집 순희 같은 이들은 모두 고통스러운 상처를 끌어안고서 각자 자기 몫의 삶을 살아내고자 분투했던 이들이었다. 이들은 우리 삶의 비루한 취약성을 선명히 보여주는 존재들이다. 그런데도 이들이 이토록 버텨낼 수 있었던 건 무엇 때문일까? 서로가 서로에게 기댈 수 있는 등과 보듬을 수 있는 팔을, 살가운 손길을 서로에게 내어줄 수 있었기 때문은 아니었을까. 자신의 첫 아내이자 한 집안의 사랑을 받던 맏딸을 잃고 삶의 의욕을 놓아버린 장인을 바라보던 이섭의 마음처럼, 사람이 사람을 잃고 무언가를 지켜낼 힘을 내기란 결코 쉬운 일이 아닐 것이다.
내게 인상적으로 남은 장면 하나는, 지형이 중환자실에 누워 있던 아버지의 모습을 보며, “저렇게 모든 걸 잃고도 여전히 인간을 사랑한다는 게 가능할까?”, 자문하는 대목이다. 지형의 형제들이 아버지가 평생 잃어버린 것들을 복원하자고 손을 모으는 장면이 오롯하게 떠오른다.
인생에서 모든 것을 잃었다고 여겨지는 이들을 다시 살리는 것은 무엇일까? 누구에게는 갓 태어난 아이의 천진한 검은 눈동자일 수도, 또 누구에게는 마음껏 울 수 있도록 등을 내어주는 일이기도 할 것이다. 어쩌면 상실에 대한 기억을 복원하고 꿈을 꾸는 일일 수도 있겠다. 지형이 꿈에서 보았던 노란 두메양귀비를 백두산에서 발견한 순간 아버지의 존재를 다시금 느꼈던 것처럼 말이다. 그녀는 아버지의 존재를 느끼며 한 번도 보지 못한 ‘그리운’ 이복형제에 가 닿고자 했다. 지형의 이러한 간절함은 다시 이생에서 누군가를 추억하고 사랑하며 꿈꾸길 멈추지 말 것을, 기도하듯 요청하는 듯했다. 불현듯 이섭이 남긴 오래된 일기장의 한 구절이 어른거린다. “인간의 생이여, 헛되고 헛되도다. 하물며 이념과 꿈이라니! 그럼에도 불구하고 꿈꾸지 않는 생은 또 얼마나 헛될 것인가.” 지형이 이복 오빠가 있을 방향을 향해 무언가를 외칠 때, 나 역시 기도하는 마음이 되었다. 메마르고 헛헛한 유령의 시간을 보내온 모든 이들이 이제는 꿈꾸는 시간으로 생을 채워 나갈 수 있기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