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라딘서재

1
행복한 서재
  • 초월
  • 가이아 빈스
  • 19,800원 (10%1,100)
  • 2021-01-06
  • : 300

중언부언이 많아 약간 지루했다.

500 페이지의 분량을 2/3 정도로 밀도있게 줄였으면 훨씬 좋았을 것 같다.

인간의 역사에 대한 인문학적 분석이라고 할까?

앞서 읽은 <오리진>의 과학적 분석, 혹은 지구라는 물질적 기반에 대한 서술과는 좀 다르게, 인간의 정신적인 면, 사회성에 초점을 맞춘 책이다.

간단히 말해 인간은 동아프리카 초원의 직립보행하는 호미닌에서 오늘날 지구의 가장 우세한 종이 될 때까지 큰 집단을 이루면서 문화를 구축해 왔는데 그 저력은 바로 사회성에 있다는 것이다.

다른 영장류보다 훨씬 더 큰 집단을 이룰 수 있는 근본적인 원인은 언어와 대뇌의 신피질에 있다고 하겠다.

생각해 보면 인간처럼 큰 동물이 혈연 집단을 넘어서 수천 만명의 거대한 국가를 이루고 평화롭게 산다는 것이 얼마나 놀라운 일인가?

우리는 자연에 혼자 있을 때 살아갈 수 없기 때문에 집단으로 뭉쳐서 사냥을 했고 그 과정에서 언어를 통해 서로의 생각을 공유하고 기술을 전수하고 상대의 마음을 읽는 능력을 발전시켜 사회적 관계를 맺어 왔다.

보통 인간의 본능은 이기적인 유전자라고 하지만 사회라는 관점에서 보면 이타적 유전자가 유리하기 때문에 인간 사회에서는 이기적인 사람을 축출하고 도덕적으로 행동하는 이타적인 사람을 높이 평가하도록 진화해 왔다.

인간은 타인의 인정을 받을 때 자존감이 높아지고 끊임없이 인정을 추구하기 때문에 이 사회적 평판과 명성을 얻기 위해 도덕적이고 이타적으로 행동하는 것이다.

도덕심도 타고난 본능이라고 한다.

어찌 보면 이런 도덕심이나 공정함에 대한 감각이 없다면 개인의 희생이 필요한 이 거대한 사회를 이룩하지도 못했을 것이다.

인간은 선천적으로 협의와 순응을 추구하기 때문에 오랜 세월 구성원들이 합의한 사항이 바로 관습과 규범이고 사회가 점점 커지면서 좀더 관용적으로 변해 왔다.

인간은 모방을 통해 쉽게 기술을 터특하는데 집단이 커지면서 혁신자들이 나와 진보를 이끌어냈다.

오늘날 전세계적인 지구화가 이루어진 것도 가능하면 서로 협력하고 교역을 통해 필요한 것을 나누려는 인간의 기본 성향 덕분이고, 일부일처제가 보편적 규범이 된 것도 남자들 사이의 폭력을 피하기 위해 사회적 전략이었다는 말에 공감이 된다.

분량이 많지만 어렵지 않아 비교적 편하게 읽을 수 있는 책이다.


  • 댓글쓰기
  • 좋아요
  • 공유하기
  • 찜하기
로그인 l PC버전 l 전체 메뉴 l 나의 서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