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에는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안나 카레니나>를 읽은 건 아마 올 해 잘한 일 중에 최고가 아닐까 싶다. 아직 한 해가 많이 남았지만 <안나 카레니나>는 올 해 최고의 작품 후보다. 이보다 더 좋은 작품이 있을까 싶다. 올타임으로 따져도 최상위권이다.
이렇게 재밌고 훌륭한 작품이라면 길이가 아무리 길어도 상관없을 거 같다. <전쟁과 평화>도 도전해봐야겠다.
좋은 작품은 독자가 새로운 세계를 경험하게 한다. 2권 역시 그렇다. 불륜 남녀가 되어보기도 하고, 불륜녀의 남편이 되어보기도 하고, 결혼식과 신혼생활을 체험해보기도 한다. 농촌의 풀베기 노동에 참여해보기도 한다. 작품 속 인물이 느끼는 생각, 감정을 똑같이 경험한다. 훌륭한 문장들에 감탄하며 읽는다.
작품 속 인물에 반해버렸다. 그 인물은 키티다. 1권 부터 참 사랑스럽다 생각했는데 2권에서는 정말 사랑하게 됐다. 소설 속 인물 중 나는 레빈에게 가장 많이 이입이 된다. 나와 가장 비슷한 인물같다.
<죄와 벌> 읽을 때도 여주인공을 사랑하게 되었는데 나는 마음이 훌륭한 여성에게 반하는 거 같다.
키티가 레빈의 형 간호를 하는 부분이 인상깊고 사랑스러웠다. 자칫하면 레빈과 키티 둘 사이에 갈등이 생기고 사이가 악화될 수 있었는데 키티가 현명하고 따뜻하게 행동해서 오히려 둘 사이가 좋아졌다. 레빈도 키티를 다시 보고 더 사랑하게 되었을 것이라 확신한다.
레빈은 형이 죽어간다는 소식을 듣고 혼자서 가려고 한다. 형의 여자친구는 창녀이다. 레빈은 키티가 창녀와 만나게 하고 싶지 않다. 키티가 어떻게 생각할지 걱정이 된다. 그리고 급히 떠나는 데 키티를 데리고 가기 부담스럽다. 그녀를 짐이라 생각한다. 그녀를 신경쓰고 케어할 자신이 없다. 자신 조차 처음 맞딱뜨리는 상황, 어떻게 행동해야 할 지 모르겠다. 그런 혼란스럽고 압박감있는 상황에서 그녀까지 신경쓸려고 생각하니 벌써 부담스럽다. 하지만 키티는 꼭 함께 가야겠다고 우긴다. 부부는 일심동체. 키티는 남편을 곁에서 돕고, 남편의 형도 보고 돕고 싶다. 레빈은 처음에는 키티가 혼자서 있기 심심해서 자신을 따라 나선다고 생각한다. 결국 키티가 계속 우겨서 같이 가지만 달갑지 않다.
도착해보니 숙소가 없다. 허름한 숙소 뿐이다. 레빈은 벌써 화가 난다. 자신은 허름한 숙소에 묵는 게 상관없지만 아내가 그런 숙소에 묵는게 싫다. 예상했던 상황이 펼쳐지자 화가 난다. 하지만 키티는 불평하지 않는다. 필요한 것을 주문하고 숙소를 청소하고 꾸민다.
레빈은 형을 만난다. 비참한 몰골이다. 죽어가고 있다. 무슨 말을 해야 할지. 어떻게 해야 할지 모르겠다. 방은 지저분하고 형도 지저분하다. 죽음과 어둠이 방과 형에게 깊게 드리워져 있다. 키티는 자연스럽게 행동한다. 레빈의 형을 위해 모든 것을 한다. 방을 청소하고 의사를 부르고 형이 편해질 수 있는 모든 것을 한다. 레빈은 자신에게 집중하지만 키티는 상대방에게 집중한다.
키티는 큰 도움이 되었다. 키티가 함께 오지 않았으면 상황이 훨씬 안 좋았을 것이다. 키티는 모든 것을 더 나아지게 한다. 사랑하지 않을 수 없다.
3권은 어떤 이야기들이 펼쳐질지 기대가 된다. 책을 다 보고 영화도 봐야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