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자크를 읽고 싶어 어린 시절 읽었던 <고리오 영감>을 재독하려고 한다.번역본이 여러 개라 어느 것을 고를까요.
민음사와 문학동네 번역본을 미리보기로 미리보기했다.그런데둘이 달라도 너무 다른 거 아닌가?
이 정도면 다른 책 아닌가 싶을 정도다.


이번엔 문학동네

둘 중 택하라면
더 자세한 쪽이 끌린다.
물론, 자세하다 함에는 '의역'의 개입을 배제 못한다.
그러나 그런 의역이라도 없는 '정보'를 만들어 붙이는 경우는 드물다.
같을 내용을 필요 이상 친절하게 푸는 경우는 많아도.
-존경할 만한 이 하숙집의 풍속을 험담하는 사람이 없다
-이 하숙집은 (남녀노소 다 받아도) 그간 풍기가 문란하다는 비방 한 번 없다
이 둘은 달라도 너무 다르지 않나?
그리고 두 번역본은
'이 하숙집에 지난 30년간 묵은 적 없는 사람'의 종류가 다르다.
민음사는 그냥 젊은이,
문학동네는 젊은 여자다.
소설이란 문학에서는 이 둘의 차이가 엄청나다.
안 그런가?
궁금증을 참을 수 없어 프랑스 원문을 찾아보기로 했다.

뭐, 프랑스어는 한 글자도 읽을 줄 아는 게 없으니 그림의 떡이나
지금은 '번역기'란 첨단의 장치가 있다.
번역기를 돌려보니 이렇게 나온다.
번역기가 꼭 정답만은 아니겠으나.
일단 어떤 번역기는 이렇게 나온다.
바우케르 부인(본명 드 콩플랑스)은 파리의 라틴 지구와 생마르소 교외 사이에 위치한 생트제네비에브 신가(rue NeuveSainte-Geneviève)에 40년간 부르주아 기숙사를 운영해 온 노파입니다. 이 펜션은 '바우케르 집'이라는 이름으로 알려져 있으며, 남녀노소 모두를 수용하지만, 이 존경받는 시설의 도덕성에 대한 비방은 결코 없었습니다. 그러나 30년 동안 젊은이가 머문 적이 없었으며, 젊은 남자가 머물려면 가족이 매우 적은 생활비를 보내야 했습니다.
(구글번역기)
원어로는 '그냥 젊은이'로 나온다.
혹시나 싶어 이번엔 영문판을 번역기에 돌려보았다.
영문판은 이걸 찾았다.

번역기에 넣어보자.
바우케르 부인(본명 드 콩플랑)은 지난 40년간 라틴 지구와 생마르셀 외곽 사이에 위치한 누브-생트-제네비에브 거리에서 여관을 운영해 온 노파입니다. 그녀의 집(동네에서 _Maison Vauquer_로 알려진)은 남녀노소를 가리지 않고 받아들이며, 그녀의 존경받는 숙소에 대해 단 한 마디의 불평도 없었습니다. 그러나 동시에 사실 30년 동안 그녀의 집에는 젊은 여성이 한 명도 머문 적이 없으며, 만약 젊은 남자가 장기간 머문다면 그의 생활비가 매우 적다는 확실한 증거입니다.(구글번역기)
흠...
영어 번역도 번역이니 번역한 사람에 따라 또 결과물이 다를 것이라...
무조건 이 번역문에 의지할 순 없지만,
아무튼 이 영어 번역문에는 '젊은 여성'으로 되어 있다.
기계 번역이 사람보다 못하다 하나,
프랑스어에서 '젊은 남자'와 '젊은 여자'를 분간 못할 정도는 아니겠지, 하고 믿어줄 때
원서로는 '젊은이'(남녀 굳이 구분없이)가 맞지 않나 싶은데,
정확한 건 오로지 프랑스어를 아는 사람들의 몫이겠다.
비단, 30년 동안 이 하숙집에 묵지 않은 존재가 그냥 젊은이이냐,
젊은 여자이냐를 떠나
<고리오 영감>의 한글 번역본은 서두부터 몹시 다르다.
뭐, 문투나 스타일의 문제가 아니라 내용이 다르니까 말이다.
독자로선, 뭘 골라야 하느냐고, 글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