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스마스에 영화를 한 편 보았다. 원래는 <소방관>을 보려고 했는데, <하얼빈>이 24일 개봉했다고 해서 25일 저녁 타임에 봤다. 영화 평이 하도 좋아서, 그리고 예고편이 기대감이 들게해서 봤는데, 결과적으로 만족한 영화였다.
요즘 영화관에 갈 땐 큰 맘 먹고 가야한다. 올 여름까지 8천원에 볼 수 있던 CGV가 갑자가 내부 공사로 인해 문을 닫았다. 그 두배인 1만5천원에 영화를 보려면 결코 실망스러운 영화를 보면 돈이 아까워서 안 된다. 그래서 검증된 영화만을 보게 된다.
25일 본 영화 <하얼빈>은 촬영, 영상, 음악, 연기, 서사 등 어느 것 하나 빠지는 거 없는 웰매이드 영화였다. 하지만 단 하나 아쉬웠던 점은 '고뇌하는 인간'으로서의 안중근의 모습이 미미했다는 점. 고뇌하는 인간 안중근의 현빈은 별로 안 보였다는 사실이다.
영화의 서사는 우리가 아는 안중근 업적을 착실히 따라간다. 너무 단순한 이야기라 빼고 더할 게 없을 정도로 매우 심플하다. 하지만 감독은 그런 심플한 이야기에 '아마도 이렇게 거사가 이루어 졌을 거야'라는 상상을 했고, 그걸 매우 사실적으로 영상화하는데 성공했다.
이 영화의 매력은 여기에 있다. 실제 블라디보스토크처럼 보였던 라트비아 촬영 씬과 몽골 사막 씬 등은 영화를 넘어 거의 사진 미학의 정점을 보는 듯했다. 다큐멘터리 영화도 이런 영상미는 보기 힘들다.
당시 시대상으로 관람자를 데려가 실제 독립 지사들이 그렇게 활동했을 거라는 상상을 현실로 구현해 냈다. 몰입감의 원천이라 아니 할 수 없다. 이건 순전히 감독의 역량이다. (특히 미술감독 기보묵이라는 분이 놀라웠다.)
무엇보다 압도적인 영화 오프닝 장면. 그리고 마지막 다시 등장한 그 얼음판 씬의 수미상관된 영상 미학은 정말 혀를 내두르게 한다. 화면으로 보여지는 압도적인 얼음판에 홀로 누워 있는 안중근의 모습은 미술관에 걸어도 전혀 손색이 없는 300호 작품이었다.
아울러 마지막 바로 그 시작 장면과 동일한 얼음판을 걷는 안중근의 내레이션. 마지막 내래이션만으로도 이 영화는 돈 값을 충분히 하고도 남는다. 현재의 시대상과 절묘히 유비되면서 감독이 영화에서 말하려는 메세지가 너무도 명확히 다가왔다. 영화를 본 사람이면 누구나 알 것이다. 감독이 이 영화에서 말하는 바가 무엇인지.
당시 이토 히로부미를 척결하기 위해 싸운 독립군은 대한의군. 안중근은 이 대한의군 참모 중장의 신분으로 이토를 격살했다. 이를 위해 이름 없이 숨진 대한의군 동지들은 20-30대의 청년들이었다. 현재 굥 탁핵을 위해 거리로 나와 탄핵봉을 흔드는 이들이 약 1세기 전 청년들과 겹치는 것은 우연일까.
예술영화치고는 2시간이 너무 빨리 지나간다. 이건 영화관에서 봐야 할 영화다. 액션 영화인줄 알고 다소 실망하는 관객들이 있긴 하겠지만 감독의 마지막 메시지만으로도 볼 가치는 충분하다. 반드시 보시라!
[덧]
1. 유일한 아쉬움이 배우 캐스팅. 특히 현빈. 김명민이나 조진웅이 안중근 배역을 하면 어땠을까 하는 아쉬움.
2. 현빈 보다는 이동욱이 더욱 빛났던 영화.
3. 김훈의 <하얼빈>이 원작이 아닌가보다. 김훈 소설을 얼른 읽어봐야 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