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인형책갈피BooKiss-양

평점 :
품절


완전 귀여움...ㅋㅋ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0개의 상품이 있습니다.



0개의 상품이 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아리랑 - 조선인 혁명가 김산의 불꽃 같은 삶
님 웨일즈.김산 지음, 송영인 옮김 / 동녘 / 2005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외국인의 눈으로 보는 한국사! 몰랐던 사실을 알수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이범의 교육특강 - 대한민국 학부모와 선생님이라면 꼭 읽어야 할 교육필독서 미래를 바꾸는 행복한 교육 시리즈 1
이범 지음 / 다산에듀 / 2009년 8월
장바구니담기


각 대학들이 표방하는 공식적인 건학이념 등이 존재한다. 그러나 한국의대학들에게 뭐니뭐니해도 가장 중요한 철학은 보다 상위 서열을 점하기 위한 '대학 경쟁의 철학'이라고 할수 있다. 대학들이 서열화되어있고 특히 상위 서열의 대학들이 학벌권력을 향유하고 있는 상황에서, 제아무리 그럴듯한 학교 나름의 철학을 표방한다 할지라도 실제로는 한 단계라도 상위 서열로 올라서려는(또는 최소한 현재의 서열을 유지하려는) 의지가 공식적인 건학이념이나 철학을 압도한다.-59쪽

날이 갈수록 학문의 영역이 서로 침투하고 영향을 주며 새로운 분야가 탄생하는 현대의 상황에 맞지 않다. 그리고 고등학교에서 폭넓은 과목 선택이 가능하거나 아니면 지망하는 전공에 따라 특화된 과목만을 이수하도록 요구받을 경우, 문과와 이과의 구분은 전혀 불필요하다. 일제 잔재를 청산하는 의미에서라도, 문과/이과 구분은 하루빨리 없어져야 마땅하다.-84쪽

우리나라에서 선발경쟁이 유난히 격렬한 이유는, 대학 서열이 매우 확고하게 자리잡고 있는데다가, 한 단계라도 상위 서열의 대학에 진학하게 되었을때 얻게 되는 인생의 프리미엄이 매우 크기 때문이다.-88쪽

우리나라 학교는 워낙 오랫동안 이러한 의무를 방기해왔고, 학부모들도 여기에 철저히 적응하여 그런 요구는 학원에나 하는것이라고 생각한다. 학교에 그런 요구를 하는 것은 상상도 하지 않는 것이다. 특히 우리나라 학교는 뒤처지는 아이들을 '버리고' 가는 것이 일상화된 곳 아닌가?-95쪽

석차 표기는 교육의 가장 기초가 되는 학급 또는 학년 단위부터 서열화를 조장하여 교육목표를 왜곡시킨다. 제 아무리 공교육이 '강화'되어 학생들의 절대 성취도가 10점씩 높아져도 석차는 그대로이다. 또 학생들이 모두 공부파업을 하여 절대 성취도가 20점씩 낮아진다 해도 석차는 그대로이다. 이렇듯 석차는 학생들의 절대적인 성취를 전혀 반영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교육적으로 볼 때 매우 희한한 지표이다.-249쪽

'특수한' 교육을 위해서 '특수한' 학교를 설립해야 한다는 주장은 편견에 불과하다. '보통' 학교에서 '특수한' 교육을 행하는 방법은 여러가지 있을 수 있다. 선진국에서 특목고가 거의 없는데도 다양한 교육이 가능한 것은, 일반 학교에서 유연하고 다양한 교육이 가능한 체제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즉 특목고 문제의 해법은 일반 학교의 철저한 개혁을 통해, 특목고가 별도로 존재해야 하는 근거 자체를 없애는 데 달려있는 것이다.-252~253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나를 바꾸는 기적의 시간관리 타임블록 - 열정과 꿈의 色색을 쌓아라
박종남 지음, 켄트 김 감수 / H.House(에이치하우스) / 2009년 10월
평점 :
절판


정말 플랭클린 다이어리보다 배우기 편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