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 인간 과학 - 우주 생명 정신을 주제로 한 석학들의 대화 더 생각 인문학 시리즈 6
한스 페터 뒤르 외 지음, 여상훈 옮김 / 씽크스마트 / 2018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주 생명 정신을 주제로 한 석학들의 대화


신 인간 과학


한스 페터 뒤르, 클라우스 미하엘 마이어 아비히, 한스 디터 무췰러,

볼프하르트 판넨베르크, 프란츠 M. 부케티츠 지음 · 여상훈 옮김 / 씽크스마트 펴냄





 나는 과학을 잘 하지는 않지만, 굉장히 좋아해서 과학 분야의 책을 종종 빌려 보거나, 과학 중에서 정말 관심이 큰 분야는 사서 읽어보곤 한다. 일정한 기간 동안 어느 때는 행성에 관심이 커져서 천문학에 관련된 책을 읽고, 어느 때는 빛에 관심이 커져서 물리학에 관련된 책을 읽거나 하는데 항상 매 순간 가지고 있던 의문점은 과연 종교와 과학 간의 관계이다. 나는 한 번도 종교를 가져본 적이 없는, 약간 무신론에 가까운 사람이다. 그래서 그런지 성서는 하나의 소설처럼 느껴졌고, 신은 없다고 생각하지만 그렇다고 유신론을 부정하지는 않는다. 그래서 신학과 과학을 아우르는 이 책은 나에게 여태 가져왔던 의문을 풀어줄 수 있을 것이라는 생각이 들었고, 내용 자체가 어려워서 읽는 데에도 시간이 비교적 더 걸렸으며, 앞장으로 다시 돌아가서 읽어보곤 했다.




 이 책은 신은 계속 '존재'할 것인가?, 인간은 어떻게 '진화'하는가?, 과학은 모든 것에 '답'할 수 있는가? 와 같이 보편적이면서도 궁극적인 의문에 대해 양자물리학, 생물학, 신학, 자연철학 분야의 권위 있는 독일 출신 다섯 학자의 토론을 정리하여 담은 책이다. 누구나 궁금해하지만 해답을 찾기는 힘들고, 해답을 찾는 자체가 인간이 할 수 있는, 또는 인간에게 주어진 임무가 맞을까 싶은 그런 생각도 들지만 인간이 마땅히 생각하고 고민해 봐야 할, 당위성이 큰 질문들이라고 할 수 있다. 굉장히 심오하고 깊이 있는 내용들이 오가기 때문에 이 책을 통해서 좀 더 깊은 사고력과 지식을 얻을 수 있었다.


 '창조의 꽃'이라는 식으로 인간이 스스로를 특별한 존재라고 생각하고 그 때문에 과오를 범하는 일은, 역사 속에서 신과 인간의 연결이 끊어졌을 때마다 일어났어요. 이는 결코 그냥 넘어갈 수 없는 사실입니다. 인간은 이성을 타고났지만, 인간의 행동은 비이성적으로 무책임합니다. 비이성적이고 무책임한 행동을 신학자들은 '죄'라고 부르지요.

우리 인간은 무엇인가를 바꿀 수 있는 경우에도 바꾸지 않고 버팁니다. 그런 의미에서, 인간은 이성을 타고났으면서도 비이성적으로 행동하는 아리송한 '특권'을 가지고 있다고 하겠습니다.

126쪽 '생명은 왜 생겨난 것일까?' - 볼프하르트 판넨베르크

모든 동물과 식물이 나름대로 유용한 능력을 나누어 받았지만, 사람만은 아무것도 얻지 못한 채 털 가죽도 발굽도 없는 가련한 신세였지요. 이를 보고 프로메테우스는 제우스 몰래 불을 훔쳐서 인간에게 주었고, 불을 다루는 지식까지도 가르쳐주었습니다. 그래서 사람만이 이성을 가지게 되었고, 사회생활에 필요한 요령도 배우게 되었다고 하죠. 그러니까 이성이라는 장점은 우리에게 결여된 것에 대한 보상으로 주어졌다는 말입니다.

169쪽 '정신도 진화의 산물일까?' - 클라우스 미하엘 마이어 아비히



 우리 인간은 동물이면서도 다른 모든 동물들은 가지고 있지 않은 '이성'이라는 독자적인 성향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모든 인간들이 이성적으로 행동하는 것은 아니다. 그래서 과오를 범하게 되고 이를 '죄'라고 부르는데, 이를 신과 인간의 연결이 끊어졌을 때라고 표현하게 된다. 이 부분이 인간과 신이 어떻게 연결되어 있는지 생각할 수 있었다. 또한 동물 중에서 왜 유일하게 인간만이 이성을 가지고 있는지를 이야기하고 있는데 옛 신화이긴 하나 꽤 그럴듯한 설명이라고 할 수 있다.


자연과학을 연구하는 과정에서 관찰자는 천지만물을 관통하는 보편적이고도 포괄적인 법칙을 찾아낸다. 이 법칙은 놀랄 만큼 그 형태가 단순해서, 관찰자는 그런 법칙들이 '신의 역사(役事)'를 드러내는 증거라고 믿게 되기도 한다. 예를 들어, 모페르튀(프랑스의 수학자)나 라이프니츠(독일의 철학자)는 '해밀턴의 원리'(역학의 법칙을 지배하는 '최소 작용의 원리')에 대해, 그것이 예정된 방향으로 세계를 이끌어가는 신의 섭리라는 사실, 그리고 이 세계가 가능한 가장 최선의 세계라는 사실을 입증하는 명백한 증거라고 생각한다.

224, 225쪽 '물리학과 초월성' - 한스 페터 뒤르


 '최소 작용의 원리'가 신의 섭리라는, 나로서는 선뜻 이해하기 힘든 부분이지만 어쩌면 가끔 신비한 현상, 우연한 상황 등이 너무 신기해서 어쩌면 어느 존재는 이를 이미 알고 있을지도 모른다는 이런 의견에 의문을 품을 때가 있다. 과학과 신학이 어떻게 연결되어 있는지를 생각해볼 수 있는 부분이다.



 토론이라서 어떤 논점에 대해서 찬성, 반대 또는 두 의견 중 하나가 결정되는 건가 싶었지만 주제 자체가 둘 중 하나로 결정될 수 없는 주제로, 저명한 과학자들이 서로 의견을 내고 반박하는 과정에서 많은 깨달음과 지식을 얻을 수 있었다.



 나는 신이라는 존재는 믿기 나름이라고 생각하지만 그래도 종교는 과학을 거들 수 없는, 과학으로 모든 것을 설명할 수 있을 것이라는 사상을 갖고 있었다. 또한 철학은 인간의 삶을 내적인 영역에서 풍요롭게 해줄 뿐, 외적인 영역은 역시 과학으로 모든 것을 설명하고, 과학으로 수렴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했다. 하지만 이 책을 통해서 뉴턴은 자연과학에 대해서 종교를 빌려 설명하였고, 아인슈타인 역시 "종교 없는 과학은 없다."라는 말과 함께 철학자 스피노자의 추종자였다는 것을 알게 되니 신학, 철학, 과학은 서로 대립되어 있는 학문처럼 느껴지지만 결국 서로 뗄래야 뗄 수 없는 아주 깊은 관계라는 것을 깨달았다. 또한 나의 과학에 편협된 생각도 깨우칠 수 있었고, 이로 인해 조금 더 넓은 생각과 시야를 가질 수 있게 되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