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량한 말 바로잡기

 행복 幸福


 행복이 가득하다 → 기쁨이 가득하다 / 즐거움이 가득하다

 행복을 빌다 → 잘되기를 빌다

 행복에 젖다 → 기쁨에 젖다 / 흐뭇하다

 행복을 누리다 → 기쁨을 누리다


  ‘행복(幸福)’은 “1. 복된 좋은 운수 2. 생활에서 충분한 만족과 기쁨을 느끼는 흐뭇한 상태”를 가리킨다고 해요. 이 한자말은 거의 둘째 뜻으로 쓰는데, ‘만족’과 ‘기쁨’을 느끼는 ‘흐뭇함’을 나타낸다고 하지요. ‘만족(滿足)’은 “1. 마음에 흡족함 2. 모자람이 없이 충분하고 넉넉함”을 가리킨다 하고, ‘기쁨’은 “욕구가 충족되었을 때의 흐뭇하고 흡족한 마음이나 느낌”이라 하며, ‘흐뭇함’은 “마음에 흡족하여 매우 만족스러움”이라 해요. ‘흡족(洽足)’은 “조금도 모자람이 없을 정도로 넉넉하여 만족함”이라고 합니다. 한국말사전에 나온 뜻풀이를 하나하나 살피면 모두 겹말풀이에 돌림풀이입니다. ‘행복 = 만족 + 기쁨 + 흐뭇함’이라는데 ‘행복 = 흡족/충분/넉넉 + 충족/흐뭇함/흡족 + 흡족/만족’인 얼거리요, ‘흡족 = 넉넉/만족’이라 하니 끝없이 돌고 도는 말풀이가 될 뿐입니다. 어쩌면 우리는 행복이 무엇인지 제대로 모르는 채 사느라 이 한자말을 제대로 풀이할 생각마저 못한다고 할 만할 수 있어요. 즐거울 적에는 ‘즐겁다’라 하고, 기쁠 적에는 ‘기쁘다’라 하며, 흐뭇할 적에는 ‘흐뭇하다’고 하면 됩니다. 때로는 ‘좋다’나 ‘재미나다’ 같은 낱말로 손볼 수 있습니다. 2017.7.19.물.ㅅㄴㄹ



물고기들은 더없이 행복한 나날을 보내고 있었습니다

→ 물고기들은 더없이 즐거운 나날을 보냈습니다

→ 물고기들은 더없이 기쁜 나날을 보냈습니다

→ 물고기들은 더없이 재미난 나날을 보냈습니다

→ 물고기들은 더없이 아름다운 나날을 보냈습니다

《마르쿠스 피스터/지혜연 옮김-무지개 물고기와 흰수염고래》(시공주니어,1999) 5쪽


쌀을 사는 사람도 파는 사람도 행복하지 않겠어요

→ 쌀을 사는 사람도 파는 사람도 즐겁지 않겠어요

→ 쌀을 사는 사람도 파는 사람도 기쁘지 않겠어요

→ 쌀을 사는 사람도 파는 사람도 흐뭇하지 않겠어요

→ 쌀을 사는 사람도 파는 사람도 반갑고 고맙지 않겠어요

《후쿠오카 켄세이/김경인 옮김-즐거운 불편》(달팽이,2004) 156쪽


공주는 오래오래 행복하게 살았대요

→ 공주는 오래오래 즐겁게 살았대요

→ 공주는 오래오래 재미있게 살았대요

→ 공주는 오래오래 잘 살았대요

《배빗 콜/노은정 옮김-내 멋대로 공주》(비룡소,2005) 30쪽


행복이 찡하게 온몸으로 번진다

→ 기쁨이 찡하게 온몸으로 번진다

→ 즐거움이 찡하게 온몸으로 번진다

《요시모토 바나나/김난주 옮김-아르헨티나 할머니》(민음사,2007) 24쪽


이 나라 국민은 가장 행복한 사람들입니다

→ 이 나라 사람은 가장 기쁜 사람들입니다

→ 이 나라 사람들은 가장 즐겁게 삽니다

《아라이 마키/사과나무 옮김-해바라기》(크레용하우스 펴냄,2015) 38쪽


어떻게 살다뇨? 행복하게 살아야지요

→ 어떻게 살다뇨? 즐겁게 살아야지요

→ 어떻게 살다뇨? 기쁘게 살아야지요

→ 어떻게 살다뇨? 웃고 노래하며 살아야지요

《강윤중-카메라, 편견을 부탁해》(서해문집,2015) 117쪽


네잎클로버가 있어도, 우리는 별로 행복하지 않은 거 아냐

→ 네잎토끼풀이 있어도, 우리는 그다지 안 즐거운 거 아냐

→ 네잎토끼풀이 있어도, 우리는 그리 안 신나는 삶 아냐

→ 네잎토끼풀이 있어도, 우리는 썩 안 좋은 삶 아냐

《요시다 사토루/문기업 옮김-일하지 않는 두 사람》(대원씨아이,2016) 29쪽


엄마는 네가 행복해지기를 바라서 이러는 거야

→ 엄마는 네가 잘되기를 바라서 이렇게 해

→ 엄마는 네가 즐겁게 살기를 바라서 이래

《이마 이치코/한나리 옮김-백귀야행 25》(시공사,2017) 171쪽


나 행복해요

→ 나 즐거워요

→ 나 기뻐요

→ 나 좋아요

《오치아이 사요리/강동욱 옮김-은여우 13》(대원씨아이,2017) 82쪽


행복을 잃었다 해도

→ 즐거움을 잃었다 해도

→ 기쁨을 잃었다 해도

《오사다 히로시·이세 히데코/황진희 옮김-아이는 웃는다》(천개의바람,2017) 27쪽


(숲노래/최종규 . 우리 말 살려쓰기/말넋)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