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우리말 / 말넋 2023.8.5.
오늘말. 조촐하다
하늘을 슥 바라볼 틈을 낸다면 하늘숨을 조촐히 마십니다. 아무리 둘러보아도 틈바구니가 없다면, 하늘빛을 만날 만한 곳으로 넌지시 빠져나오기로 해요. 누구나 숨을 쉬기에 살아갑니다. 바람이 가만히 흐르고 구름이 가볍게 구르는 터전에서 하루를 보낼 적에 싱그럽습니다. 하늘넋을 누리지 못 하는 곳에서 아무렇지 않을 수 있나요? 이럭저럭 숨만 쉬고 밥만 먹으면 될까요? 몸에 맞추어 옷을 입듯, 삶에 들어맞는 길을 걷습니다. 해가 잘 들어야 따뜻할 뿐 아니라 풀꽃나무가 푸르게 자라요. 햇볕에 바람에 별빛을 한 줌씩 살살 누리는 곳에서 두런두런 어울릴 만합니다. 오늘 하루가 즐겁지 않다면, 아직 하늘을 못 보았기 때문일 수 있어요. 우물우물하지 말고 밖으로 나와요. 스스럼없이 마당에 서요. 바쁜 일은 좀 넘기고서 스스로 하늘지기가 되어 봐요. 파랗게 물들면서 모두 하늘님입니다. 우리는 다 한사람이자 하늘지기예요. 그냥그냥 어정쩡하게 지나치지 말고, 산들바람으로 이곳에서 기지개를 켜요. 네발나비가 부전나비 곁에서 팔랑입니다. 달개비꽃 곁에 까마중꽃이 핍니다. 아지랑이가 오르고 햇살이 눈부십니다. 조금조금 가을로 갑니다.
ㅅㄴㄹ
하느님·하늘님·하늘네·하늘사람·하늘어른·하늘넋·하늘숨·하늘얼·하늘지기·한사람 ← 옥황상제
알맞다·맞다·걸맞다·들어맞다·비슷하다·엇비슷하다·들다·잘·제때·솜씨있다·맞추다·늦지 않다·때마침·다·모두·모조리·그런대로·그럭저럭·그냥·건성·꼬집·움큼·주먹·줌·춤·가볍게·넌지시·가만히·살며시·살살·살짝·슬며시·슬슬·슬쩍·슥·슬렁·쓱·턱·톡·딱·봐주다·넘기다·누리다·마침·만하다·아무래도·아무렇지 않다·어렵잖다·어설프다·어정쩡하다·어줍다·얼렁뚱땅·얼추잡다·우물우물·우물쩍·엉성하다·이럭저럭·함부로·조금·조촐하다·어울리다·즐겁다·흐뭇하다 ← 적당, 적당량, 적량(適量)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