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초한지 1 - 짧은 제국의 황혼, 이문열의 史記 이야기
이문열 지음 / 민음사 / 2008년 1월
평점 :
구판절판


이문열씨의 소설을 오랜만에 읽었다.
평역<삼국지>말고는 그의 소설을 언제 읽었는지 가물가물하다.

많은 사람들의 청춘에 각인되어 있을 이문열의 문장은 나에게는 교양쌓기의 시작이었다.
지금 그 교양쌓기가 허술하고 빈틈많기 짝이 없지만.
고등학교 국어실력으로 읽었던 <황제를 위하여>의 감흥을 아직도 기억한다.
감히 누가 이런 소설을 지어낼 수 있었겠나, 우리 이문열이 아니라면.
<젊은 날의 초상>을 읽고 하단 낙동강 출렁거리는 물결 주위를 음주한 몸으로 몇 번을 갔었던가.
이문열 이름 석자만 들어가 있으면 짬뽕식의 편집으로도 잘도 팔려나갔던 그의 소설들.

자칭 "시대의 아이들"과 싸우기 시작하면서 그는 공공의 적이 되었고, 그의 분신들은 매장의 대상이 되었었다.
그의 시대는 빨리 지나갔다. 그런데, 그가 분탕질 당하는 시대는 더 빨리 지나갔다.
이제 오고 있는 시대는 그에게 무엇을 가져다 줄지.
이제 오고 있는 시대 속에서 그는 무엇을 건져낼지.

비록 이문열 지음이라고 되어있긴 하지만 완전한 창작이라고 보기는 어려울 듯 하고,
정권 교체기를 이용한 출판전략이 절묘한 것 같다.

저자 사인본이 온다는 문구에 구매를 했는데 이문열씨 사인이 없어서 실망했다.
차라리 완간된 뒤에 삼사십푸로 할인되었을 때 구매하는건데.

등장인물들에 대한 묘사 특히 내면묘사는 자신의 평역<삼국지>와 거의 비슷했다.
겉표지의 디자인은 평역<삼국지>를 따라 가지 못하고, 책 속 꾸임은 평역<삼국지>와 거의 흡사하다.
그러다 보니 각 장마다 지도가 삽입되지도 않았고, 주註도 없다.
하지만 <삼국지>처럼 원문에 얽매일 필요가 없으니  줄거리나 문장의 호흡이 마음대로 요리되어 있다.

중국역사물 중에서 삼국지,열국지,사기는 독서 좀 하는 사람들에게 필수인 것 처럼 알려져 있다.
역사는 반복되기에 역사를 알아야 미래를 알 수 있다는 말이 사실인지 모르겠으나
중국의 역사물은 재미로 읽기에 안성맞춤이다.
더 많은 것을 얻기 위해 중국역사물을 읽으면 피곤해진다.
우리나라 역사물은 읽기가 싫다.

김정산씨의 <삼한지>, 김홍신씨의 <대발해> 는 한국역사소설로서 역작임에 틀림없는 것으로 여겨지나 읽기가 싫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