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레인 쇼월터, <그들만의 문학 A literature of their own>

<(모든 하위 문학에는) 전통적인 지배 양식을 모방하고 지배 전통의 예술 평가 기준과 사회적 역할 개념을 내면화하는 첫번째 단계, 지배 전통의 기준과 가치에 저항하면서 소수 집단의 권리와 가치를 옹호하고 자율권을 요구하는 두번째 단계, 그리고 마지막으로 지배 문화와의 대립에서 벗어나 자신의 안으로 방향을 돌려 정체성을 추구하는 자기 발견의 단계가 있다. 여성 작가에게 맞는 용어로 이 단계들을 이름 붙이자면 각각 여성다운feminine, 여성해방적 feminist, 여성적 female 단계라 부를 수 있겠다〉. - P11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샌드라 길버트와 수잔 구바, <다락방의 미친 여자>

패트리셔 메이어 스팩스Patricia Meyer Spacks, 캐롤린 하일브런Carolyn Heilbrun, 캐서린 스팀슨Catherine Stimpson, 일레인 쇼왈터와 같은 여성 비평학자들은 잃어버리고 은닉된 여성 문화의 진실을 복원하면서 공통적으로 여성의 글에 나타나는 회피와 은닉의 현상을 규명해 왔다. 여기에서 밝혀진 여성들이 애써 숨겨온 은닉된 플롯은 바로 여성 작가 자신의 글쓰기에 관한 이야기이다. 즉 여성 작가가 불안 가운데 여성이자 작가로서 자신의 정체성을 찾는 이야기, 작가로서 자신의 삶을 탐색하는 이야기가 여성 작품에서 은닉된 채 이어져 온 여성만의 이야기인 것이다. - P99

길버트와 구바는 19세기 여성 텍스트가 미친 여자라는 저자의 분신을 통해 수정주의적이고 혁명적일 수 있었다고 설명하는 점에서 독창적이다.
그러나 토릴 모이는 길버트와 구바의 이 독창적인 저서가 남근중심적 비평 방법을 그대로 따르고 있어 여성 해방으로서 모순에 빠졌다고 지적한다. 우선 길버트와 구바는 저자와 텍스트를 동일시하는 오류를 범하고 있다. - P104

여성 저자를 텍스트의 기원으로 간주하는 태도는 남성/여성의 이분법에서 우열의 위치만 바꾼 것, 창조의 주인을 아버지, 남성에서 여성으로 대치한 것에 불과하기 때문에 가부장적이고 권위중심적인 비평 태도를 답습하는 것이라고 설명한다. - P104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메리 울스턴크래프트

울스톤크래프트는 『메리』에서는 여성이 신의 섭리를 온몸으로 받아들이고, 동료 인간의 불행에 대해서 연민을 베풀 수 있는 고결한 도덕성을 지닌 인간으로 완성되기 위해서 감수성의 개발을 강조한 반면, 『여성 권리의 응호』에서는 여성도 사회와 역사와 인간에 대해 바른 안목을 갖고, 인격과 판단력을 갖춘 인간이 되기 위해서 이성의 개발을 우선적인 의무로 삼을 것을 강조한다. 그리고 미완으로 남기고 죽은 작품인 『마리아』에서는 여성이 남성의 착취와 학대를 확고히 거부하고 당당하게 자신의 정열 passion에 정직하고 충실할 것을 주장한다. - P30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행복한 페미니즘
벨 훅스 지음, 박정애 옮김 / 큰나(시와시학사) / 2002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결국은 백인 권력으로 귀결되는 것을 지원함으로써 개혁주의 페미니즘은 주류 백인 우월주의적 가부장제가 자기 권력을 유지하는 데 도움을 주었고 동시에 페미니즘의 진보적 정치성을 훼손시켰다. - P9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완전한 행복
정유정 지음 / 은행나무 / 2021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한번 펼치면 결코 손에서 놓을 수 없다. 금요일 저녁 퇴근 후에 읽기를 추천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9)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