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 왕자>로 본 번역의 세계
이정서 지음 / 새움 / 2019년 1월
평점 :
품절


최근 동양 고전을 몇 권 읽었다. 한자인데다 고어여서 원문으로는 그 의미를 전혀 파악할 수 없었다. 친절하게도 의역된 해설서들이 많이 나와있었다. 야심 차게 두어 권을 골라 동시에 읽었다. 이 책에서 쓰인 바를 읽고 전혀 이해되지 않던 것이 저 책의 해석을 읽고는 이해가 되기도 했다. 그러다 어느 부분은 두 책에서 쓰인 해석이 완전히 달라 미궁에 빠지기도 했다. 해석이 있기 이전에, 번역의 문제였을 것이다.

 

이 책 <'어린 왕자'로 본 번역의 세계>는 <어린 왕자>의 원문과 직역된 <어린 왕자>를 나란히 싣고, 역자 노트를 챕터마다 붙였다. 기존의 번역들과 원문을 비교해가며 어떤 문장이 어떻게 의역되었던지, 어떤 문장이 역자에 의해 보충되고 생략되었던지 상세하게 다루었다. 사실 번역된 짧은 문장만 읽어서는 무엇이 문제인지 알 수 없기도 했다. 하지만 문학을 번역한다는 것은, 그것이 어떤 맥락 속에서 어떻게 쓰인 말인지를 정확하게 우리 말로 번안하는 일이다. 단지 한 문장을 우리 말로 읽을 수 있다는 것에서 그쳐서는 안 될 일이라는 것이다. 너무나도 사소해 보이지만 조사 하나로도, 시제 하나로도 의미는 완전히 달라질 수 있다. 이야기의 긴장감이 일순간 확, 사그라들 수도- 캐릭터가 완전히 달라질 수도 있다. 그렇다면, 번역은 더욱 중요해질 수밖에 없다.

우리가 읽어왔던 <어린 왕자>는 굉장히 파편적인 것이었다. 모두가 <어린 왕자>를 읽었지만, 누구도 <어린 왕자>의 줄거리를 명료하게 이야기할 수 없었다는 점에서 그랬다. 그것은 이 소설이 서사를 가지고 있지 않아서가 아니라, 전체 맥락이 고려되지 않은 번역본을 읽었기 때문이다. 때문에 서사는 기억나지 않고, "만약 네가, 예를 들어, 오후 4시에 온다면, 나는 3시부터 행복해지기 시작하겠지."같은 달콤한 문장만 남은 것이다.

 

역자가 왜 이렇게까지 주석을 달아가며 번역의 중요성에 대해 열변을 토해야 했던지, 여러 번 생각했다. 그것은 유럽풍으로 옷을 갈아입은 천문학자가 소행성 B612에 대해 논증하는 장면과도 같았다. 이미 어른이 되어버린 우리가 아이의 새로운 친구에 대해 물을 때, 본질에 대해서는 전혀 묻지 않고 "그 애 나이는 몇 살이니? 형제는 몇 명이니? 몸무게는 얼마니? 아버지 수입은 얼마나 되니?"하는 곁가지들만으로도 그를 알았다고 믿어버리는 것과 다르지 않았다. 덕분에 <어린 왕자>를 다시 볼 수 있게 되었다. 그에 대한 오해를 풀 수도, 그의 눈높이에 맞춰 나를 낮출 수도 있었다. 여러모로 감사한 일이다.

 

 

 

 

"어떤 위대한 번역가라 해도 작가가 쓴 문장보다 좋은 문장을 만들어 낼 수 없습니다.
어떤 위대한 학자라 해도 작가가 쓴 문장보다 나은 의미를 담은 문장을 창작해 낼 수 없는 것입니다. 번역은 그야말로 작가가 쓴 의미를 찾아가는 고된 노동인 것입니다."


본문 중에서, 393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