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마음의 무늬를 어루만지다 - 어제의 나와 화해하는 내 마음 셀프 테라피
조영은 지음 / 레드박스 / 2019년 1월
평점 :
지금 내 마음은 이상하다. 늘 그랬다. 그런데 생각해보니 우리는 마음이 불편할 때, 이상신호를 보내올 때만 마음을 들여다본다. 그러니 늘 이상할 수밖에. 심리학자처럼 마음을 잘 알면 상황이 좀 나아지지 않을까 싶어 심리학 책도 읽어보고, '마음 다스림'이라는 키워드로 검색되는 여러 책들도 들춰보았지만 늘 돌아오는 답들은 비슷했다. 이 책 <마음의 무늬를 어루만지다> 역시 그 대답들과 크게 다르지 않은 이야기를 던진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책은 위로가 되었다. 표지 이미지처럼 어두운 밤을 반짝, 밝혀주는 촛불 같았다. 책은 초를 켜기 위해 성냥을 찾아드는 순간에 큰 방점을 찍는다. 다시 말해 마음의 이상신호를 감지하고 스스로 이 책을 찾아 들었다는 것 자체에 진한 밑줄을 긋고 있는 것이다.
사람이라면 누구나 심리적인 문제를 겪게 마련이고, 죽기 전까지 평생 동안 마음이 일으키는 갖가지 어려움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 혹자는 (혹은 어떤 책의 카피는) '인간은 쉽게 변화할 수 있고 심리 문제를 완전히 해결할 수 있다'라고 외칠지 모르겠지만, 그것은 실로 불가능한 일이다. 주지하다시피 우리는 각자 다른 기질을 타고 태어났으며, 다른 경험들을 쌓아왔기 때문에 심리적인 문제에서만큼은 질문이 같다 하더라도 같은 해법이 적용될 수 없기 때문이다. 하지만 그 다름 가운데서도 어딘지 모르게 비슷한 지점들은 있다. 각자 다른 환경에 처했지만, '지금, 여기'를 살고 있다는 것만큼은 선명한 공통점이기 때문이다.
이 책은 미국의 심리학자인 제프리 영(Jeffery E. Young)이 만성적인 심리장애를 극복하기 위해 개발한 '심리도식치료(Schema Therapy)' 이론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 '심리도식'이라는 말이 좀 낯설었는데, 책에 의하면 '광범위하고 만연화된 패턴'으로서 성장 과정에서 우리 안에 자리 잡은 기억과 감정, 신체 감각, 인지로 구성되며 자신과 타인에 대한 상, 대인관계상 등을 포함하는 개념이라고 한다. 다시 말해 '타고난 기질과 쌓아온 경험이 만든 오늘의 내'가 어떤 특정 선택(혹은 행동)을 끊임없이 반복하는 것. (제대로 이해했다면) 그것이 이 책 제목에 쓰인 '마음의 무늬'다.
꽤 복잡하고 어려운 이론을 베이스로 하고 있지만 책은 쉽게 쓰였다. 특히 성격 유형을 몇 가지로 나누고 그 유형에 맞는 해답을 제시하고 있지 않아서 좋았다. (그 경우 나의 성격을 굳이 어떤 것에 끼워 맞추게 되니까) 책은 이론을 소개하는 것보다 버림받음, 정서적 결핍, 사회적 소외, 특권의식, 자기희생 등의 18가지 키워드를 풀어내는 데 더 집중하고 있는데 그 점도 좋았다. 저자가 심리상담가로 일하며 만나왔던 수많은 케이스들이 집약되어 있어서 그랬을 것이다. 무엇보다 '감정'이라는 것을 다시 생각하게 되었다. 감정은 찰나의 것, 믿을 수 없는 것이라고 생각했었다. 하지만 감정은 우리 안의 것, 혹은 밖의 것을 '느껴서' 만들어내는 마음의 형태다. 그것은 나의 오늘을 드러내는 동시에 앞으로의 나를 움직이게 할 원형적 에너지다. 그러므로- 나의 마음의 무늬를 잘 살필 것. 늘 같은 지점에서 펜끝이 맴돈다. 오늘도, 나에게 잘하자!라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