절망한 날엔 키에르케고르 필로테라피 4
다미앵 클레르제-귀르노 지음, 이주영 옮김 / 자음과모음 / 2018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키에르케고르는 불편함에 몸을 뒤트는 우리에게 '고통을 어떻게 생각하는가?'하는 질문을 던진다. 지금 그대가 느끼는 불편함이 불쾌하거나 참을 수 없는 것이라 가능한 피해야 한다고 생각하는지, 이겨내고 극복해야 할 장애물이라 생각하는지, 혹은 한 단계 도약할 수 있는 기회라 생각하는지. 또 이런 질문도 던진다. 고통에서 무조건 회복되어야 한다고 생각하는가. 으응? 그럼 평생 고통 속에 살아도 좋단 말인가, 하고 반문할지 모르겠지만 그의 뒷얘기를 들어보면 또 고개가 갸웃해진다. 예컨대 사랑하는 사람이 죽은 지 수년이 지나, 이제 그를 떠올려도 더 이상 슬프지 않다고 말했을 때- 그의 회복이 과연 건강한 것인지에 대해서다.

그가 던지고 있는 질문들이 신선한 자극이 되었다면, 절망을 불행한 과거처럼 치유해야 할 대상으로 생각할 필요는 없을 것 같다. 절망할 줄 안다는 것은 그렇지 못한 사람보다 외려 더 정상적이고 건강하다는 증거일 수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키에르케고르는 절망을 느끼는 마음은 비정상적인 것이 아니라 실존적인 고민을 표현하는 것이라 생각했다. 오히려 자신에 대해 전혀 모를 때 실존적인 고민은 할 수 없는 법이니까.

이처럼 이 책 <절망한 날엔 키에르케고르>는 절망과 불안의 감정에 대한 조금은 새로운 처방전을 내린다. 절망에 빠진 사람은 환자가 아니라는 그의 단언은 어쩐지 위로가 되고, 때로는 차갑게, 때로는 냉철하게 쓰인 그의 글은 외려 뜨거운 애정으로 와닿는다. 책을 읽는 동안, 지금 나를 불안하게 하는 것, 불편하게 하는 것들을 무수히 떠올렸다. 그리고 그가 했던 방식으로 생각의 각도를 조금 뒤틀어보았다. 생각보다 많은 것이 달리 보였다. 어떤 문제에 너무 깊숙이 빠져 있는 내가 (그제서야) 보이기도 했고, 문제가 아닌 문제들도 더러 있었다. 또 어떤 문제는, 그것을 생각하는 것만으로도 새로운 가능성이기도 했다. 마치 아담이 금단의 과일을 먹으면 선악을 분별하게 되며 동시에 죽는다는 금지의 법과 경고를 신에게서 받았던 것처럼.

'근대 인간'은 시대의 산물이다. 우리가 우리 스스로를 '주체'로 인식한 역사는 그리 길지 않다. 때문에 계속해서 생각하지 않으면 우리 스스로가 주체라는 사실을 망각하기 쉽다. 세상은 화려해졌고, 많은 것들이 빠른 속도로 변하고 있으며, 쉴 새 없이 많은 선택지가 우리 앞에 놓인다. 우리는 때로 그것이 자유라 믿으며, 인위적인 삶에 쉽게 만족해버린다. 하지만 정말, 오늘의 나는 '나의 삶'을 살고 있는가? '어쩌다 보니' 오늘을 살고 있네- 하는 생각이 든다면, '나는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다'라는 불안한 가능성을 다시 검토해보기를 바란다. 오늘도 불안 속에 있는 나에게, 또 우리에게- 칸트의 응원을 던진다. 용기를 내, 너만의 분별력을 사용해! 하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