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족경제론과 한국경제 창비신서 135
정윤형 외 / 창비 / 1995년 6월
평점 :
품절


아직까지 박현채의 민족경제론을 읽어보지 못했다. 원래 민족경제론을 구해 읽으려 했는데 뜻을 이루지 못해 대안으로 택한 책이 이 책이다. 이 책은 여러 경제학자들이 민족경제론의 의의와 현재적 가치를 논한 책으로서 민족경제론으로 접근해들어가는 하나의 단서가 되는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이이화의 역사풍속기행
이이화 / 역사비평사 / 1999년 6월
평점 :
품절


우리 전통시대의 생활문화와 제도생활, 경제생활 등에 대해 이이화 선생님 특유의 문체를 통해 쉽고 흥미진진하게 읽을 수 있는 책이다. 이 책을 통해 나는 전통시대에 대한 상식을 넓힐 수 있었고, 예전시대의 각종 제도와 문화, 관습에 대해 알 수 있었다. 일독을 권할 만한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전태일 평전 - 신판
조영래 지음 / 아름다운전태일(전태일기념사업회) / 2009년 4월
평점 :
구판절판


나는 참 부끄러운 일이지만 대학생이 되어서야, 그것도 2학년때야 이 책의 존재를 알게되었다. 그리고 이 책을 완독한 뒤 앞으로 어떤 삶을 살아가야 할지에 대한 많은 고민을 안게 되었다. 전태일은 우리시대의 사상가였고, 자생적 민중운동가였다. 가장 인간적일 때 가장 진보적이라는 명제를 알 수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전환시대의 논리 창비신서 4
리영희 지음 / 창비 / 1990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전환시대의 논리는 1970년대에 나온 책이지만 지금 읽어보아도 오늘의 우리의 진로에 영향을 끼칠 수 있는 책임을 알 수 있다. 중국에 대한 새로운 인식을 통해 반공이데올로기 일변도의 한국사회에 새로운 눈을 뜨게 한 이 책이 지금도 절실하다. 그래서 나는 이 책을 선택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한국 사회주의의 기원 역비한국학연구총서 21
임경석 지음 / 역사비평사 / 2003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일제 식민지 시기는 한편으로 새로운 국가건설을 준비하던 시기이기도 했다. 새 나라를 어떤 나라로 만들어야 할 것인가. 그럴 때 젊은이들의 심장을 울린 것이 사회주의였다. 이 책은 한국사회주의의 기원을 공개된 러시아 문서에 대한 촘촘한 분석을 통해 실증적으로 잘 그려내고 있는 역저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