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마을을 지켜라 - 풋내기 경찰관 다카기 군의 좌충우돌 성장기
노나미 아사 지음, 박재현 옮김 / 샘터사 / 2016년 7월
평점 :
오랜만에 손에 쥔 책은 노나미 아사의 '마을을 지켜라'이다. 이래저래 복잡한 요즘, 읽기 가벼운 일본 소설은 언제나 삶의 활력을 준다. 술술 읽히는 문장들과 그 안에 담긴 따뜻한 이야기는 꽤 괜찮은 선택이었다. 노나미 아사는 와세다대학교 사회과학부를 중퇴하고 광고 대행사에서 근무하다 88년에 등단한 여류작가이다. 박진감 넘치는 경찰소설 <얼어붙은 송곳니>로 115회 나오키 상을 받았다.
기존에 읽은 일본소설 중에서도 재미있는 책들의 공통점을 찾아보면 나오키상 수상 작가들의 작품들이 많았다. 아무래도 내 취향은 나오키상과 잘 맞는걸로.
이번 소설 <마을을 지켜라> 역시 경찰 소설이다. 풋내기 경찰관 다카기 군의 좌충우돌 성장기가 책을 설명하는 한 줄의 문구이다. 450페이지가 넘는 장편소설이지만 그래도 술술 읽힌다. 전반적으로 재미있다. 20대 초반의 사회 초년생인 다카기의 성장기가 마음에 와닿기도 하고 여러 부분 공감을 하면서 입가엔 미소가 넘쳤다. 각종 사건이 발생하고 풀어나가는 장면에서는 손에 땀을 쥐는 박진감으로 책장 넘기는 속도가 점점 빨라졌다.
다카기는 경찰학교를 나와 가스미다이 역전 파출소에서 3개월간 수습 생활을 가진다. 특별히 경찰이 되어야하겠다는 목적없이 실연 때문에 선택한 일, 욱하는 성질에 사명감따윈 없기 때문에 마주치는 일들 모두가 성가실 뿐이다. 반면 우수한 성적의 동기 미우라와 열혈 경찰의 모습을 한 반장 미야나가는 다카기 눈에는 이상하게 열심인 사람들일 뿐이다.
하루에도 사소한 수십가지 일로 파출소를 찾는 많은 사람들을 마주하며 다카기 세이다이는 좀처럼 흥미를 느끼지 못한다. 경찰 제복을 입고 있는 자신과 피어스를 귀에 한 자신과의 접점을 찾지 못한 채 겉돌뿐이다. 동기가 공적을 세울 때 자신은 아무것도 하지 못했기에 질투도 느끼고 경찰이라는 이유로 여성들과 데이트도 하기 힘든 자신의 처지를 비관하기도 한다. 하루에도 여러 번씩 신고전화로 골치 아프게 만들었던 한 청년과의 만남은 세이다이를 조금씩 변화하게 만든다.
아직 스스로 경찰이라고 자부하지도 못했던 풋내기 순경 세이다이는 조금씩 생활에 익숙해지며 새로운 목표를 만든다. 욱하는 성질에 만사가 귀찮은 모습은 그대로지만 그래도 어른이라는 삶의 무게와 경찰이라는 책임감이 아주 조금은 마음 속에 자리잡은 세이다이의 성장기는 보는 이로 하여금 흐뭇한 미소를 짓게 만든다.
<책속의 한 줄>
"내가 최고의 용기를 느낄 때가 언제인지 알아?"
"압수 수색할 때요?"
"범인이 자백할 때야."
(중략)
"생각해봐. 여기서 한 번 더 힘을 내면 공적을 세우거나 칭찬받을 수 있다면 누구든 쉽게 용기를 내겠지. 그러나 범인은 솔직히 털어놔 봤자 기다리는 건 재판이나 징역, 그런 거야. 자칫 잘못하면 콩밥을 먹는 정도가 아니라 일생이 끝장 날지도 몰라. 그걸 알면서도 각오를 다지지 않으면 안 되는 용기라는 건 굉장하다고 생각해."
몰랐다. 용기라는 게 도전적인 일을 실행할 때 혹은 불가능하다는 일에 뛰어들 때나 생기는 건 줄 알았다. 범인들이 자신의 잘못을 인정하고 자백하는 것이 엄청나게 큰 용기라는 사실을 이 대목을 읽으며 다시금 알게 되었다. 우리도 그렇다. 뭔가 잘못되었다는 것을 알았을 때 그 이야기를 솔직히 이야기를 하고 사과를 구하고 반성을 하고 되돌아가는 데에 어려움을 느낀다. 그러나 그런 사실을 인정하고 되돌아갈 줄 아는 것이 비로소 진정한 용기있는 삶이란 사실을 팍팍한 형사 가토 선배를 통해 알게 되었다.
오랜만에 만난 대학친구들은 다들 자기들만의 인생을 살아가고 있는 모습을 봤을 때 세이다이는 자신은 크게 달라지지 않았음을 알고 낙담한다. 어떠한 목적의식없이 살고 있는 스스로를 탓하며 무기력에 빠진다. 그러나 일련의 방화사건을 겪고 나며 하나의 목표가 생긴다. 그 이유가 어떠하든 상관은 없다. 중요한 건 그에게 목표가 생겼다는 것이다. 하나의 목표가 생기자 세이다이는 다시금 힘을 낸다. 삶이란 게 그렇다. 목표 없이 사는 삶은 재미가 없다. 우리는 늘 아무런 바람없는 잔잔한 강물과도 같은 삶을 원한다고 말하지만 막상 그런 삶이 눈 앞에 계속해서 펼쳐지면 지루함을 느낄 지도 모른다. 세이다이 또한 그렇게 느꼈다. 바쁜 역전 파출소가 아니라 한가한 도심 속 파출소에서 근무를 했을 때 이런 삶은 나와는 맞지 않는다고 느낀다. 물론 그런 삶이 천성적으로 맞는 사람들도 있다. 그러나 나는 아니다. 나는 뛰고 걷고 지치고 쉬고 다시 뛰는 삶을 원한다. 때문에 집에 있을 때에도 뽈뽈거리며 온 집안을 돌아다니는 걸지도 모르겠다.
세이다이를 보며 그가 하는 고민이 내가 하는 것들과 크게 다르지 않다고 생각했다. 사회 초년생의 삶을 준비하는 지금의 내 시점에 세이다이를 만난 건 어쩌면 행운일지도 모르겠다. 그가 조금씩 어른이 된 것처럼 나도 곧 어른이 될 수 있겠지? 나이만 많이 먹은 어른말고 내 삶에 책임을 지는 그런 어른 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