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하버드 불면증 수업 - 약 없이 푹 잠드는 하버드 의대 6주 수면 프로그램
그렉 D. 제이콥스 지음, 조윤경 옮김 / 예문 / 2019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본 책의 저자는 하버드 의대 및 메사추세츠 의대에서 수면제 연구, 불면증 치료 임상 진료 분야에서 30년 이상 종사한 수면 전문의이다. 작가가 연구 결과 알아낸 2가지 사실은 다음과 같다. 첫째, 불면증 환자들이 정상적으로 수면을 취할 수 있는 효과적인 비약물적 방법을 개발하지 못하였다. 둘째, 불면증은 생각과 행동 때문에 발생하는 학습된 질병이다. 이 사실들을 바탕으로 저자는 이 책을 통해 독자들에게 정상적으로 수면을 할 수 있게 돕는 비약물적 프로그램을 소개하고자 한다.



꿈을 꾸는 동안 안구가 빠르게 회전하므로 꿈 수면을 급속안구운동

Rapid Eye Movement, REM 수면, 즉 렘수면이라고도 부른다.

p 43 2장 수면과 불면의 메커니즘 이해하기

- 평소에 렘수면이라는 단어가 뜻하는 의미는 알고 있었지만, 단어의 본 어원은 모르고 있었다. 급속 안구 운동. 한국어로 번역하다 보니 조금 낯설긴 하지만 이 책을 통해서 처음 그 정확한 어원을 알게 되었다.

수면의 생리에 대한 연구를 종합해서 보면 불면증은 수면 및 각성 시스템의 균형이 깨져서 발생한다고 추측할 수 있다.

p 54 2장 수면과 불면의 메커니즘 이해하기

- 저자의 이론에 따르면 나를 비롯한 주변에 불면증을 갖고 있는 사람들은 바로 이 균형이 깨졌다고 해석해야 한다. 각성과 수면 시스템의 균형. 저자는 이 수면 시스템을 활성화하고 수면 단계를 설정하는 방법을 배움으로써 불면증을 극복할 수 있다고 이야기한다.


- 4장에서는 프로그램 소개에 앞서 독자들의 기초 수면 패턴을 파악할 수 있는 <60초 수면 일기>양식을 제시하고 있다. 독자들이 6주 프로그램에 임하면서 매일 아침 이 양식대로 자신의 수면 일기를 쓰도록 조언한다.

- 흔히들 사람들은 친구들과 혹은 직장 동료들과 잠에 대한 이야기를 나눌 때, "아~ 몇 시간 밖에 못잤어."라고 말하며 수면에 대한 부정적인 생각을 내뱉는다. 하지만 저자는 이런 생각을 하는 것이 낮 동안의 컨디션에도 영향을 준다고 한다. 나도 가만히 생각해보면 저런 말을 함으로써 그 날의 컨디션 혹은 기분이 좋지 않음을 수면에서 찾으려고 했던 것 같다. 앞으로는 이런 부정적 아이디어 전파 하는 것을 줄여야 겠다는 생각이 든다.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 수면은 우리가 하루 중 재충전을 하는 시간으로써 어느 누구에게나 중요한 시간임이 틀림없다. 하지만 현대인들은 수면 부족, 수면 장애 등 수면과 관련한 문제를 흔히 갖고 있다. 이 책은 지금 당장 심각한 수면 문제가 없는 사람들이라도 수면의 질을 높일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을 알 수 있도록 컨텐츠 구성이 되어있다.


특히 수면과 관련하여 어려움을 겪고 있는 주변인들이 있다면 꼭 한 번 읽어보는 것이 좋겠다는 생각도 들었다. 책을 통해서 불면증을 갖고 있는 사람들의 내면도 엿볼 수 있는 부분들이 있기 때문이다.

불면증을 갖고 있는 사람들이라면 수면제 복용 대신 이 책을 통해 6주 프로그램을 실행해 보는 것도 추천하고 싶다. 저자는 이 한 권의 책을 통해서 사람들이 스스로 불면증을 컨트롤 할 수 있는 조언을 충분히 체계적으로 제시하고 있기 때문이다.

평소에 잠을 사랑하는 나로서는 '잠'에 대한 지식을 좀 더 쌓을 수 있는 좋은 기회였다. 더 나은 수면의 질을 통한 더 나은 '낮 생활 컨디션'을 원하는 사람이라면 꼭 한 번 읽어볼만한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