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 사회적 창업하기 - 사회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직업으로 삼다 브리지 플러스 총서 시리즈 1
구도 게이 지음, 브리지 Bridge 옮김, 함께일하는재단 기획 / 에이지21 / 2012년 6월
평점 :
절판


현재 한국에서 사회적기업을 창업하겠다고 하는 청년들은 크게 두 종류로 나뉘는거 같다.

진심으로 사회적 미션을 자신의 소명으로 삼아 그 문제를 해결하기위해 사회적기업을 창업하는 경우와, 사회가 요구하는 더 나은 인재상이 되기위한 하나의 수단으로서의 창업.

본인은 물론 전자의 입장으로 창업을 준비하고 있지만(그렇게 주장하지만^^;), 후자의 경우가 무조건 잘못되었다고는 생각하지 않는다. 이 사회가 나은 병패일뿐만 아니라, 그 나름의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이 책을 읽는 사람이라면 아마도 후자보다는 전자의 사람일 가능성이 높을 것이다. 나이는 20대 중반에서 30대초반, 가진 돈은 없고, 자신의 주력분야라고 할 수 있는 능력도 갖추지 못했을 가능성이 클것 같다.(물론 아니길 바라지만...) 하지만 사회적기업을 창업하려면 그 청년은 기본적으로 경영자의 마인드와 자질을 갖추고 있어야 하며, 그 외 사업에 필요한 필수적인 능력 또한 겸비하고 있어야 할 것을 요구받는다. 

저자 또한 위와 비슷한 시기에 창업을 시작하였다. 자본, 함께할 사람, 능력 등이 갖춰진 상태가 아니라 오로지 이 일을 해야 겠다는 사명 하나 만을 가지고 활동(사업)을 시작한 것이다. 그래서 더 와닫는 부분이 많았고, 존경스러웠다.

위에서 언급한 것과 같이 사업을 하는데는 함께할 동료도 필요하고, 자본도 필요하다. 그리고 사회적기업이라면 무엇보다 해결하려는 사회적문제에 대한 공감대를 형성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책에 나와 있습니다^^) 그것이 사업의 성패(사회적문제 해결)를 좌우하기 때문이다. 이 책을 읽다보면 바로 이러한 부분들에 대한 이야기가 나온다. 처음에 어떻게 해서 혼자 사업을 이끌고 왔는지, 함께할 동료들을 어떻게 찾게 되었는지, 그리고 기업으로서 모습을 갖추고, 본격적으로 어떻게 사회적문제를 해결하고 있는지에 대한 과정이 상세히 적혀있다. 

본인도 사회적기업 창업을 준비중이면서 아마 구도 게이씨와 비슷한 경험을 하게 될 것 같다. 2~3년 동안은 소위 삽질을 해야 어느정도 자리를 잡아갈 수 있을 것이다. 이제 창업을 준비한지 4개월. 앞으로 2~3년, 구도 게일씨에게 배운 인내심으로 내가 선택한 사회적미션을 해결하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