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61년
이인화 지음 / 스토리프렌즈 / 2021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글에는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미래의 이야기이며. 이도문자를 사용하는 인공지능이 출현하였다는 설정으로 이야기는 시작된다. 설정이 특이하다 세종대왕님의 이름을 따서 이도문자라 칭한듯하다. 이 책의 초반 여러 가지 설정에 대해 나오는데 남한이 전쟁을 겪고 방사능 피폭으로 인해 나라가 사라졌다는 설정이다. 여기에 살짝 반감이 들었다.~~한글은 살리고 땅을 없애다니....이제까지 대체역사소설을 통해 이와 비슷한 소재의 글들을 많이 읽었었지만 과거의 일을 바꾸어서 현재의 상황을 바꿀 수 있다는 설정은 소설을 좋아하는 이라면 한번쯤 꿈꾸었을 일이리라~~

 

재익심은 다말과의 토론이후 과거로 향한다. 그는 경무관 박진용의 몸에 들어가는데 성공한다. 사건의 대부분은 1896년에서 이루어지지만 2049년 과 현재인 2061년이 자주언급되기도 한다. 너무 방대한 세계관으로 전체 내용에 대한 설명이 많아 자칫 내용에 대한 집중이 흐트러질수도 있을거 같다. 2061년 인공지증이 경고한 데모닉바이러스의 최초감염자인 1896년의 남자를 차지하기 사건이 벌어지게된다. 그 후 이수지가 마사라는 여인의 몸으로 1896년으로 이동해온다. 데모닉바이러스가 몸에 남아있는 영국인을 차지하는 것과 훈민정음혜례본을 지키느냐 사라지기느냐 엎치락뒤치락하면서 이야기는 전개된다. 마지막순간 훈민정음혜례본을 사이에 두고 지키려는자와 소각하려는자 사이에 싸움이 일어나고 재익은 반대파의 총에 맞고 쓰러진다. 소각하려는 자들에 맞서 이수지와 소각하려는자들간에 충돌이 일어나고 모두 죽음을 맞는다. 재익은 총을 맞았지만 다행히 목슴을 건지고 훈민정음혜례본을 지킬 수 있었다. 이후 더 이야기가 진행되고 이전과는 다른 방향으로 발전한 미래의 한국이야기가 있으면 어떨까 하는 생각이 들었지만 이야기는 그 시대에 남아있는 사람들의 몫으로 돌아가면서 마무리된다. 요즘 열린 결말의 영화나 다른 매체들을 많이 보게 되는데 이 책도 열린 결말이라 할 수 있을거 같다. 미래가 변하느냐 변하지 않느냐 훈민정음혜례본이 처음발견되는 것은 1940년인데 재익의 참견으로 그 역사 당겨지고 그 역사를 발판삼아 한국이라는 나라가 미래에서 이전과는 다른 모습으로 살아남을 수 있는지에 대한 결말을 원했으나 아쉽게도 재익은 2061년으로 돌아가는 순간으로 마무리 된다. 한글이 세계공용어가 된다는 것을 중심으로 이야기가 진행되는 이야기였다. 다소 아쉬운 부분들이 있기는 하지만 소설만의 가치가 아닌 우리들의 아쉬운 역사들을 마주할 수 있는 부분들도 많았다. 우리의 땅에서 우리가 아닌 다른이들이 주인이었던 그때를 이렇게 소설에서 다시 만나볼줄은 몰랐다. 가볍게 읽기 좋은 책인줄로만 알고 선택한 것이었는데 1896년의 짧은 기간동안 벌어진 하나의 사건으로 수 없이 많은 이들이 얽혀진 사건, sf적인 요소가 가미되기는 했지만 역사적인 사실을 지키고 보존하려는 이들과 자기들이 원하는 미래의 모습으로 바꾸고자하는 세력간의 충돌이 액션영화를 보는듯하게 다가왔다. 다시 한번 세종대왕의 훈민정음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살펴볼 호기심이 생겼다. 다음번에는 세종대왕님에 관한 책들을 살펴보고 싶어졌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