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진보인데 왜 보수의 말에 끌리는가? - 인지 과학이 밝힌 진보-보수 프레임의 실체
조지 레이코프 & 엘리자베스 웨흘링 지음, 나익주 옮김 / 생각정원 / 2018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책 제목을 잘못 붙여서 묻힌 책이다

 

인지구조, 언어, 정치적 프레임을 설명하는 책

 

책의 내용은 좋았고

몇가지 의문점만 정리하려 한다

 

1.

자애로운 부모는 아이를 통제의 대상으로 보지 않는다. 자녀들이 꿈을 꿀 수 있도록 부모의 권한을 위임한다. 엄격한 아버지는 아이를 지켜야하는 대상으로 본다. 절대적인 자신의 권력으로 아이를 따끔하게 혼내야한다.

 

자애로운 부모 정치 진영, 진보주의자들은 선거 홍보를 함에 있어서 자신들의 공약을 내세운다. 유권자들이 그 공약을 읽고 자신을 선택하길 바라기 때문이다. 반면 엄격한 부모 정치 진영, 보수주의자들은 선거 홍보에 있어 공약을 하나하나 내세우기보다는 레이건정부가 그러했듯 가치, 정체성, 도덕성을 내세운다. 엄격한 부모진영에서 이러한 홍보를 하는것은 유권자들이 비합리적임을 알고 있기 때문이다.

 

이 책에서는 진보주의자들도 더이상 이태 그래왔던 것처럼 공약 내세우기를 그만두고, 유권자들이 가치에 집중한다는 사실을 인정해 선거운동 전략을 바꾸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이 자체가 모순이 아닌가? 자신의 자녀(유권자)들이 부모(정당)의 권력을 위임받기에는 우매하다는 것을 인정한것이 아닌가? 이런 자녀들에게는 엄격한 훈육이 필요한것을 인정한 것이 아닌지 묻고싶다.

 

 

2.

유권자들은 가치, 도덕적 정치, 언어의 프레임에서 벗어날 수 없다는 전제에 완전히 동의할 수 없다.

 

(이들이 말하는 실재에 대한 객관적 인지가능성에 의문을 두는게 아니다. 나는 객관적 인지는 불가능하다는것과 동시에 실재는 존재하지 않는다는 상대주의의 입장에도 반대한다.)

 

책에서, 이중 프레임을 가진 유권자들은, 그들의 어떤 프레임이 강화되는지에 따라 표를 찍는다고 하였다. 그러나 실제에서는 가치가 아니라 자신의 이익에 따라 표를 찍는 사람이 존재한다. 내가 그러한데, 나는 자애로운 부모 가치와 엄격한 부모 가치사이에서 혼란스러워 하지 않는다. (가치A vs 가치B) 나는 오히려 나에게 경제적 이익이 되는것과 내가 가진 자애로운 부모 가치 사이에서 혼란스러워하고 있다. (이익vs가치A)

 

이것은 어떻게 설명할 수 있는지 궁금하다.

 

 

--------------

이것은 아직 일회독 밖에 하지 않은 상태에서 든 물음이다.

2번질문은 어쩌면 이회독이나 삼회독쯤 했을때 책에서 답을 얻을 수 있을지도 모르겠다.

 

 

3.

이책은 미국의 민주당과 공화당을 중심으로 서술한 미국인의 책이다. 이책에서 나누는 보수와 진보의 기준을 한국에 적용할 수는 없다고 생각한다. 한국의 보수와 진보는 무엇을 정체성으로 삼고 있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