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콜로지카 Ecologica - 정치적 생태주의, 붕괴 직전에 이른 자본주의의 출구를 찾아서
앙드레 고르 지음, 임희근.정혜용 옮김 / 생각의나무 / 2008년 11월
평점 :
품절


   돈을 많이 벌면 행복해질 수 있다. 교과서에 단 한 줄도 나와있지 않는 말이지만 그동안 배웠던 것은 이 말 뿐인 것 같은 기분이 들 때가 있다. 88세대의 아픔을 극복하여 정규직으로 취업했다고 하면 축하한다는 말과 함께 연봉은 얼마나 되는가 물어본다. 잘 만든 물건이 아니라 얼마나 비싼 물건인지가 명품의 척도가 된다. 삶의 척도가 돈이 되는 것, 자본주의를 살아가는 우리에게는 당연한 것으로 받아들여진다. 앙드레 고르는 이 자본주의에 물음을 던진다. 

   경제성장 목표 몇 퍼센트, 마치 경제가 지속적으로 성장만 해준다면 삶의 질은 자연스럽게 높아질 것이라 말하는 요즘이다. 국민소득 1만, 2만 달러를 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자본주의는 자본의 총량을 늘리는 것을 지향점으로 삼는다. 그러나 저자는 자본주의는 병들어 있다고 한다. 자본주의의 붕괴를 막기 위해 정치적 생태주의를 주장한다. 

   마을의 우물을 다 같이 나누어 마셨을 경우, 공동체의 삶의 질에는 기여하지만 우물 사용료 등으로부터의 소득이 존재하지 않기에 국내총생산의 측정에는 포함되지 않는다. 반면, 누군가 우물을 소유하여 사용료를 받게 된다면 이는 소득의 발생으로 간주되어 국내총생산은 늘어난다. 저자는 GDP의 증가가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이러한 예시를 들어 설명한다. 

   또한 실질적으로 노동에 의해 무언가가 생산되는 것이 아닌 중간 수수료로 발생하는 소득과 같은 생산 없는 소득의 증가를 염려한다. 과도한 중간과정을 거치는 것이 소득의 증가라는 측면에서 긍정적일지 몰라도 전체적으로는 재화의 올바른 공급이라고 볼 수 없다는 것이다. 

   자본주의는 소비를 기초로 하기에 재생의 경제가 아니다. 소비를 권하기 때문에 불필요한 생산이 늘어나게 된다. 우리는 새로운 휴대폰이 나오면 충분히 잘 사용 중인 휴대폰을 바꾸는 경향이 있는 것도 이런 소비 문화를 조장하는 자본주의의 영향이 있기 때문일 것이다. 

   저자는 자본주의를 부인하고 공산주의를 바라는 것은 아니다. 더 많이 벌고 더 많이 써야 한다는 기존의 이념에서 벗어나 ‘생산적 탈성장주의’를 주장한다. 낭비를 부추겨 소모전의 양상을 띠는 자본주의가 아닌 실질적인 생산에 초점을 두며 성장 지향의 사고를 바꾸고자 한다. 

   자본주의를 바라보는 저자의 관점이 우리가 배워왔던 그것과 다르기에 논란의 여지가 있을 수도 있다. 그러나 경제 성장이 가져올 풍요를 믿으며 실제로 과거에 비해 엄청난 경제성장을 경험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지금의 사회가 뭔가 문제가 있지 않는지 고민해 본 사람이라면 이 책을 접해보길 바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