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 4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논증의 기술 - 논리적으로 생각하고 말하고 쓰기의 모든 것
앤서니 웨스턴 지음, 이보경 옮김 / 필맥 / 2004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얼마 전 버스를 기다리면서 들은 이야기가 있다. 초등학교에서 백일장 및 사생 대회를 개최했는데 자기 딸이 글짓기 우수상을 타왔단다. 글 솜씨가 전혀 없는 딸이 백일장에서 상을 탔다는 사실을 믿을 수 없어 딸에게 물었더니 그 딸 대답하길, 다른 애들은 글쓰기 싫다고 그림 그렸는데 자신은 그림 그리는 거 보다 글 쓰는 게 빨리 끝날 거 같아서 글 썼더니 자기 반에서 3명 밖에 글 쓴 사람이 없어서 자기가 상을 받게 되었단다. 비단 이는 그 여자 아이에게만 해당하는 이야기가 아니리라. 오늘날 많은 이들이 글을 쓴다는 것에 대해 일종의 두려움을 지니고 있는 듯 하다. 하지만 잘 써야 한다는 강박관념, 부담감이 원인은 아닌 듯 하다. 음성 언어로는 잘 표현하던 것도 문자로 옮겨 적으려 들 때면 도통 실마리가 풀리지 않는다는 것이 많은 이들의 공통점이다.

하지만 모든 것이 그렇듯 글 쓰는 것 역시 왕도는 없다. 많은 글을 읽고, 무엇보다도 많이 써 보는 것이 글쓰기 실력을 배가할 수 있는 지름길인 것이다. 물론 자신의 감정을 솔직하게 글로 적어나가는 것 역시 도움이 될 것이다. 하지만 논리적으로 다른 이를 설득하는 목적을 지닌 글은 소설, 수필 등과는 또 다르다. 이를 위해서는 논증이라고 하는 것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한다. 논증. 이 단어를 들었을 때 당혹감을 느끼는 이들이 있을지도 모르겠다. 하지만 학창 시절, 교과서에서 종종 보곤 했던 논설문을 생각한다면 이해가 빠를 것이다. 하나의 결론을 이끌어내기 위해 저자는 그 결론을 뒷받침해줄 수 있는 근거나 증거들을 제시하는데, 그것이 바로 논증이니 말이다. 그리고 대다수의 이들은 연역법과 귀납법이 무엇인지 이해할 테니 말이다.

논증은 단순히 내가 이렇게 생각하니 이것이 정답이다 혹은 내 친구가 그렇다고 말했기 때문에 이것이 옳다고 말하는 것이 아니다. 자신의 주장을 보다 탄탄히 만들기 위해 우리에겐 우리가 주장하고자 하는 것과 관련된 분야의 문헌들을 찾아보는 등의 노력이 필요할지도 모른다. 하지만 그 작은 수고를 통해 탄생한 우리의 글은 막연히 우리 스스로의 감정이나 짐작 등에 기반한 글에서는 느껴지지 않던 힘을 지니고 있다. 특히 우리가 인용한 글이 객관성을 띄고 있으며, 그 분야의 권위자에 의해 쓰여진 경우 그 정도는 더할 것이다. 물론 무턱대고 많은 예만을 나열하는 것은 나의 글을 오히려 난잡하고 정신 산만하게 만드는 방법이 될 수도 있다. 하지만 논리적 근거의 마련을 위해 나의 주장뿐만 아니라, 그것에 반하는 주장까지 섭렵했을 때 우리는 비로소 우리 자신의 글을 객관적으로 바라볼 수 있는 시각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며 우리의 글이 지니고 있는 약점까지도 이해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얇은 두께의 이 책이 말하고 있는 바는 너무도 간단하고, 또 어찌 보면 평이하다. 하지만 대다수의, 잘 쓰여지지 못했다 평가 받는 글들은 그 간단함을 위배한 경우가 많다. 기본적인 맞춤법의 위반에서부터 시작하여, 이들 글들의 대부분은 한 번만 주의 깊게 읽어본다면, 그것이 무엇인진 모르더라도, 어딘가 이상하다 싶은 것이 존재한다. 그리고 이들 대부분은 짧게만 몇 분, 길게는 며칠 후에 다시 읽어보았을 때 발견할 수 있고, 수정할 수 있는 것들이다.

물론 글 쓰는 재주를 타고 난 사람들도 있긴 있을 것이다. 하지만 많은 부분, 잘 쓰여진 글들은 끊임없이 쓰여지고 수정되는 노력으로부터 비롯된다고 나는 믿는다. 그 노력을 조금 더 효과적으로 만들기 위해 이 책을 읽는 것은 어떨까 생각해 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 4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