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래톱 이야기 범우문고 37
김정한 지음 / 범우사 / 2002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모래톱 이야기는 작가 김정한이 실제로 본 이야기를 소설화 한 것이다. 고등학교때 국어 교과서에서 이 글의 일부를 보고 관심을 가졌지만 제대로 읽을 기회가 없어서, 이번 기회를 통해 글의 전문을 읽고 감상문을 쓰고 싶어서 이 글을 택하게 되었다. ‘모래톱 이야기’는 1인칭 관찰자 시점의 글이다. 건우의 담임선생님 역할로 나오는 관찰자 ‘나’가 낙동강 하류의 조마이섬에서 삷의 터전을 지키게 위해 노력하는 건우네 식구들의 모습을 관찰하며 느끼는 점을 중심으로 글이 진행된다. 이 글의 주요 등장인물에는 나(건우의 담임), 건우, 갈밭새 영감(건우의 할아버지), 건우 어머니, 윤춘삼 총 5명이 있다. 건우는 6.25전쟁때 아버지를 여의고 어머니와 할아버지, 삼촌과 함께 살고 있다. 건우네 가족은 낙동강 하류의 조그만 섬인 조마이섬에서 살고 있다. 하지만 이 조마이섬은 이 섬 주민들의 땅이 아니다. 선조 때부터 여기에 발을 붙이고 살아오던 사람들과는 무관하게 소유주가 계속해서 봐뀌고 있다. 일제 때는 을사조약에 의해 억울하게 일본 사람의 명의로 되었다가, 해방 후에는 한 국회의원의 명의로, 또 그 뒤로는 앞강의 매립허가를 받은 유력자의 명의로 계속해서 땅의 주인이 바뀌고 있는 것이다. 정작 이 섬의 주인이 되어야 할 사람들은 이 섬에서 발붙이고 수십, 수백년동안 대대로 살아온 주민들이 되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형식적으로는 다른 사람의 명의로 되어있기 때문에, 이 섬의 주민들은 불안에 떨며 살 수 밖에 없다. 이러한 주민들의 고통과 억울함에 대해서는 건우가 쓴 일기 ‘섬 얘기’에서 자세히 살펴볼 수 있다. 건우는 어린 나이에도 불구하고 무언가를 고발하려는 듯한, 냉철하고 날카롭게 글을 썼다. 이러한 건우의 저항 정신은 건우의 할아버지로부터 전해진 것이다. 건우의 할아버지인 갈밭새 영감은 조마이섬은 물론이고 낙동강 하류의 마을 전체에서 유명하다. 바로 그의 삶의 터전을 지키기 위한 투철한 저항정신 때문이다. 갈밭새 영감과 같이 등장하며 ‘나’와도 아는 사이인 일명 송아지 빨갱이, 윤춘삼도 역시 갈밭새 영감과 유사한 성격을 가졌다. 이 두사람은 ‘나’를 만나 술을 마시며 자신들의 억울한 사연과 분통한 심정에 대해 하소연을 한다. 이들의 얘기를 들은 ‘나’는 좀더 마을에 대해 관심을 가지게 되고 두 사람의 저항적이고 의지적인 모습에 감탄하기도 한다. 그러던 어느날, 마을에 큰 홍수가 나서 낙동강 하류 마을 전체가 위험에 처하게 되었다. ‘나’는 건우와 함께 힘겹게 조마이섬으로 가지만, 무슨 영문인지 갈밭새 영감은 경찰에 체포되어 잡혀갔다는 소식을 듣게 된다. 엉터리 둑을 막아 놓고 섬을 통째로 집어삼키려던 유력자의 앞잡이를 죽였다는 것이 그 이유이다. 섬의 명의를 가지고 있는 유력자가 마음대로 지어 놓은 둑으로 인해 마을 전체가 물에 잠길 수 있는 상황에서, 갈밭새 영감이 둑을 허무는 것을 방해하는 깡패를 강물에 태질해버린 것이다. 결국 갈밭새 영감은 기약 없는 감옥살이 신세가 되고 건우는 9월 새학기가 되어도 학교에 나타나지 않는다. 그 뒤 조마이섬을 군대가 정지하고 있다는 암시적인 문장으로 글이 마무리 된다. 글을 읽고 마음이 참 무거워 졌다. 조마이섬의 주민들은 그 곳에 삶의 터전을 잡고 오래도록 살아 왔지만, 섬의 명의를 주장하며 나오는 유력자에게 대항하지 못한다. 그들은 아무런 힘이 없는 사회의 약자들인데 반해, 유력자는 법과 배후세력을 등에 업고 기세등등한 사회의 강자이다. 그러기에 이러한 상황속에서도 삶의 터전을 지키기 위해 싸우는 갈밭새 영감과 윤춘삼과 같은 사람들의 저항 정신을 투철한 의지를 높이 살 수 있는 것이다. 소설 속에서, 홍수에 맞서 살기위해 애쓰는 주민들의 모습을 보고 ‘용감하기 보다 차라리 처참하다’는 표현을 쓴 것을 보면 이 곳 주민들은 이 섬이 자신들의 삶이 터전이며 이 곳을 지켜야만이 살 수 있는, 즉 자신들의 목숨과도 같은 곳으로 생각한다. 즉 이 섬의 주민들은 자신들의 다른 이익을 생각 하는 것이 아니라, 순수한 마음에서 선조들로부터 줄곧 살아온 이 보금자리를 지키고 싶을 뿐인 것이다. 하지만 권력을 가진 유력자는 이 곳을 그냥 즐길거리로 생각한다. 자신에게는 이 곳이 전부가 아니며 그저 법적으로 자신의 명의로 되어있고 뒤에 권력을 가진 배후자들을 두고 있기 때문에 그 섬을 다른 용도로 개척해서 자신이 사용하고 싶은 것이다. 마을 사람들의 입장은 전혀 생각하지 않는 것이다. 문둥병자들을 섬에 정착시켜 섬마을 사람들을 쫒아내려는가 하면 섬에 일부러 둑을 설치하여 홍수가 났을 때 섬이 물에 잠기도록 하는 행동을 봤을 때 그 방식이 너무나 유치하며 부당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소설을 읽고 참 많은 생각이 든다. 마음이 너무나 무겁기도 하다. 분명 지금 현실에서도 이러한 일들이 발생하고 있을 수도 있다. 문득 영화 ‘1번가의 기적’이 떠올랐다. 이 영화에서도 1번가 달동네에 사는 사람들이 그 곳을 재개발 하려는 업자들에 대항해서 삷의 터전을 지키기 위한 투쟁이 나타난다. 이 글의 작가는 무엇을 말하고자 이 글을 썼을까.. 그것은 아마 이러한 하층 계급 사람들의 삶에 우리들이 좀 더 관심을 가지게 만들고 이러한 부당한 사실들을 고발하기 위해서가 아닐까? 이러한 부당한 현실을 정당한 방향으로 바꾸고 이끌어 갈 주체가 바로 우리 민중들이기 때문에 우리들에게 이러한 사실을 더 알리고 싶었던 것 같다. 하지만 결국 이 글의 결론은 권력자들의 승리로 끊난다.강자에 맞서 투쟁하던 갈밭새 영감도 결국 체포되고 건우는 사라지게 된다. 즉 부당하게 삶의 터전을 뺏으려는 유력자에 대항해 싸우는 인물이 나오지만 결국은 패배하게 되는 결말을 그리고 있는 것이다. 우리 현실도 그렇다. 현실에서도 이러한 일들이 분명 일어날테지만, 결과는 똑같을 것이다. 당장의 법질서를 바꾼다고 해결 될 일이 아니다. 아직은 나도 이에 대해 확실한 대답이 안나온다. 하지만 이 글을 읽고 분명히 무언가 잘못되고 있다는 것을 느꼈고, 우리사회의 농민, 도시 변두리의 하층 빈민들에 대해 좀 더 관심을 가져야겠다고 생각했다. 국가적 입장에서 보면 분명 재개발을 통해 개척을 해서 좀더 국가적 발전을 이루는 것이 우선이 되겠지만, 국가의 주인인 민중들의 삶을 파괴시키면서 하는 국가의 정책은 잘못되었다고 생각한다. 이번 한미 FTA 사건만 봐도 그렇다. 분명 국가적으로 보면 조약 체결이 불가피하다고는 하지만, FTA조약 체결로 인해 분명 우리 농민들은 삷의 기반이 무너질 수 밖에 없는데 이러한 우리 민중의 의견을 무시한체 너무나 급하게 소위 날치기로 국회 의결을 해버리고 조약 체결을 신속히 진행하는 것은 부당하다고 생각한다. 일부 사람은 체결 후 대책에 대해 생각해보면 된다고 하지만, 대책부터 세우고 일을 진행해야 하는 것이 맞는 것 같다. 국가의 주인인 국민들의 권리가 중요시 되는, 모든 국민이 부당한 침해 없이 권리를 누리며 조화를 이루며 살 수 있는 그 날까지 우리 모두 국가의 정책에 관심을 가지고 참여해야 할 것이다. 모든 부당함은 우리 손으로 바꾸어 가야 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이 글은 독자들로 하여금 하층 빈민들의 고통과 억울함을 알 수 있게 해주었다는 점에서 가치가 있다. 소설속의 조마이섬 주민들과 같이 삷의 터전을 빼앗기며 고통을 겪는 사람들이 더 이상 생겨나지 않았으면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