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타트업 코리아 - 틈새와 기회를 발견하다
오컴(Occam) 지음 / 미래의창 / 2016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스타트업획기적인 아이디어로 산업구조의 빈틈을 노리는 신생 기업들로 미국 실리콘밸리에서 등장했다각 나라마다 스타트 업 업체들의 성격이 다르겠지만 대한민국에서 스타트 업 업체들은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번성했다고 볼 수 있다. 


 이 책 안에는 스마트 폰 사용자라면 어플리케이션 다운 (앱 스토어플레이 스토어어플에서 한 번 쯤 보았을 법한 업체들부터 lot 사물 인터넷 사용 업체까지 다루고 있다이 업체들이 어떻게 기존 시장을 뚫고 성공할 수 있어는지 잘 설명해주고 있다이는 대부분 소비자들이 기존 시장 업체들에게 가지고 있던 불편함을 잘 공략하고 있었다


인상깊었던 것은 소비자가 느끼는 기술적 불편함이 아니라 구조적 불편함을 타파했다는 것이다책 안의 업체 중 <직방>은 이미 확고한 부동산 중개업 구조에 혜성처럼 등장했다기존의 부동산 중개업이 가지고 있는 불편함을 사업의 기회로 잡았다직방을 통한 부동산 계약은 외면적으로 보면 더 복잡해졌다.


 (소비자)- (부동산) - (거래로 진행되는 기존 거래는 직방을 통하면 (소비자) - (직방) - (부동산) - (거래)로 기존 시장에 한 단계 더 삽입하게 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직방이 성공적인 스타트업으로 등장한 이유는 부동산 거래가 가지고 있는 위험성을 줄여주었기 때문일 것이다.

 

 이 책은 사업이 가지고 있어야 할 본질에 대해 다시 생각해보게 한다이 신생기업들은 기존 대기업들이 구축해 놓은 효율성 등을 이겨낼 수 없다하지만 소비자들이 가지고 있는 피로감과 니즈를 정확하게 파악해 서비스를 제공했다높은 수익성을 가지는 분야만이 사업성이 있다는 것이 아니라 명확한 타겟과 니즈가 있는 곳에 사업성이 있다는 것을 느끼게 해주었다.

 

높은 수익에 비례하는 리스크는 스타트업의 특성인만큼 쉽게 도전할 수 있지만 꾸준히 위험에 대비하고 사업의 주된 아이디어의 허점을 보완하고자 하는 노력을 멈추면 안된다소개 된 분야의 사업가들의 인터뷰는 사업을 시작했을 때의 포부와 본인 사업의 보완점소비자들에 대한 감사함을 볼 수 있었다흔히 취업이 어려운 이 때 청년실업의 한 해결 방안으로 스타트업과 같은 창업시장을 언급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이 책은 창업의 용기를 불어넣어주지만 확실한 사업 아이템과 추진력이 없으면 성공하기 어렵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