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 4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작가의 방 - 우리 시대 대표 작가 6인의 책과 서재 이야기
박래부 지음, 안희원 그림, 박신우 사진 / 서해문집 / 2006년 6월
평점 :
품절


선물로 받은 책이었다. 서울도서전에 갔다가 우연히 저자 사인회가 있어서 저자 박래부 씨의 사인까지 넣은 책을 얻었다. 아주 정성껏 이름을 적는 저자의 모습이, 뭐랄까, 찡했다. 담백하지만 진솔한 저자의 모습을 보았달까? 그건 글도 마찬가지였다. 요즘처럼 수식어와 자랑, 배설에 가까운 이런저런 토로들이 책이라는 이름으로 나오는 시대에 박래부의 글은 산속 옹달샘 같이 청량했다.

 사흘 만에 다 읽었다. 더 빨리 읽을 수도 더 천천히 읽을 수도 있엇지만, 빨리 읽으면 심심할 것 같고 천천히 읽기엔 다른 작가들 얘기가 궁금했다.

이문열은 글보다 정치적 입장 때문에 좋아하지 않았는데 모처럼 작가 이문열을 만난 것 같아서 새로웠다. 뭣보다 거리를 두면서도 그 사람을 있는 그대로 보려는 박래부의 글 덕에 이문열을 조금 이해하게 된 것 같다. 김영하는 역시 재미있었고 작은 냉장고 앞에 먼지털이가 눈에 들어와 혼자 웃었다. 꽤 깔끔한 사람인가 보다는 생각도 들었다. 강은교는, 사실 시를 잘 몰라서 그냥 덤덤했는데, 서재를 보면서 참 열심인 시인이구나 싶어 고개가 숙여졌다. 포스트잇을 붙이지 않으면 정리가 안될 만큼 책이 많은 방은, 옷이나 가구가 많은 방보다 아름답다.

 공지영, 김용택, 신경숙은 많은 독자들의 사랑을 받는 작가들이라 다소 상업적인 냄새가 나지 않을까 싶었다. 하지만 지금도 엄청난 양의 독서를 하면서 철마다 책을 솎아내는 공지영, 전보다 책을 안 읽는다고 자책하며 아이들의 환경에 공분하는 김용택, 그리고 문학책 만큼이나 사회, 경제, 자연과학 등의 책을 많이 읽는 신경숙을 보면서 이들의 성취가 우연이 아님을 알 수 있었다.

책을 읽고 독자리뷰를 보니 다양한 의견들이 올라와 있다. 그나저나 내가 알기론 이처럼 유명한 작가들의 서재를 주제로 한 책은  처음인 것 같은데, 이런 책이 앞으로도 종종 나왔으면 좋겠다. 실망했다는 사람도 있고 상업적이란 사람도 있지만, 한국의 부자들을 소개하는 책보다 작가들을 얘기하는 책이 상업성치곤 더 건강한 상업성이며, 무엇보다 이 책을 읽고 여기 나온 몇 권의 책은 나도 꼭 읽어야겠단 생각이 들었으니 책 한 권이 주는 효용이 이만하면 되지 않나?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 4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