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 4 | 5 | 6 | 7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한 사람이 배를 타고 강을 건너다가 빈 배가 그의 작은 배와부딪치면 그가 비록 나쁜 기질의 사람일지라도 그는 화내지않을 것이다. 그러나 배 안에 사람이 있으면 그는 그에게피하라고 소리칠 것이다. 그래도 듣지 못하면 다시 소리칠것이고 마침내는 욕설을 퍼붓기 시작할 것이다. 이 모든 일은그 배 안에 누군가 있기 때문에 일어난다. 그러나 그 배가 비어있다면 그는 소리치지 않을 것이고 화내지 않을 것이다.
세상의 강을 건너는 그대 자신의 배를 그대가 빈 배로 만들 수있다면 아무도 그대와 맞서지 않을 것이다. 아무도 그대를 상처입히려 하지 않을 것이다.
-오쇼 지음, 류시화 옮김, 삶의 길 흰구름의 길〉, 청아출판사 - P18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한 사람이 배를 타고 강을 건너다가 빈 배가 그의 작은 배와부딪치면 그가 비록 나쁜 기질의 사람일지라도 그는 화내지않을 것이다. 그러나 배 안에 사람이 있으면 그는 그에게피하라고 소리칠 것이다. 그래도 듣지 못하면 다시 소리칠것이고 마침내는 욕설을 퍼붓기 시작할 것이다. 이 모든 일은그 배 안에 누군가 있기 때문에 일어난다. 그러나 그 배가 비어있다면 그는 소리치지 않을 것이고 화내지 않을 것이다.
세상의 강을 건너는 그대 자신의 배를 그대가 빈 배로 만들 수있다면 아무도 그대와 맞서지 않을 것이다. 아무도 그대를 상처입히려 하지 않을 것이다.
- 오쇼 지음, 류시화 옮김, 삶의 길 흰구름의 길, 청아출판사 - P18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는 그저 몰도바를 하나의 기호처럼 여긴다. 분명한 건 신뢰와희망이 없는 나라는 불행한 나라라는 사실이다. 반면 그가 세상에서 가장 행복한 나라 중 한 곳으로 꼽고 있는 아이슬란드에 대해 쓴 내용은 흥미롭다. 요약하면 이렇다.
아이슬란드에서 작가는 대략 최고의 직업이다. 아이슬란드사람들은 자기네 작가들을 무척 사랑한다. 이것은 일종의 자아도취다. 아이슬란드에서는 거의 모든 사람이 작가 아니면 시인이기 때문이다. 책 없이 사느니 헐벗고 굶주리는 편이 낫다는속담이 있을 정도다. 정부는 작가들에게 최대 3년 동안 후하게보조금을 지급한다. 사실상 월급이라고 해도 될 정도다.
노벨상을 받은 아이슬란드 작가 할도르 락스네스는 "나는굶주리는 예술가라는 말이 이해가 된다. 나는 한 번도 굶어본 적이 없다"라고 말했을 정도로 아이슬란드 사람들은 자기나라 언어를 사랑하고 문학을 사랑한다. 이 작은 나라에선 작가와 예술가의 비율이 다른 나라보다 월등히 높다고 한다.
이 책을 읽으면서 우리나라 한편에 몰도바가 있는 건 분명한데 아이슬란드가 있는지는 느끼지 못했다. 그것이 오늘날 우리나라 사람들이 행복하지 않은 이유인지도 모른다. 저자의 말을 곧이곧대로 받아들이는 건 아니지만 어쨌든 그가 분석한 행복의 조건, 불행의 조건은 마음에 와 닿는다.
- P166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세트] 한국 재벌 흑역사 상.하 세트 - 전2권 한국 재벌 흑역사
이완배 지음 / 민중의소리 / 2018년 3월
평점 :
품절


김용민 이완배 민중의소리 화이팅!!!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 4 | 5 | 6 | 7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