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출처 : dohyosae > 聖人
성인 숭배
피터 브라운 지음, 정기문 옮김 / 새물결 / 2002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가톨릭에서 정의하는 성인이란 <일반적으로 하늘에서 하느님을 아무 중간 매개물이 없이 직접 뵈옵고, 복락을 누리는 모든 천사와 사람들을 가리키며, 특별한 의미로는 교회의 가르침을 따라서 하느님께 대한 영웅적인 덕행을 실천한 사람을 말한다. 좁은 의미로는 그의 생전에 덕행과 행적이 뛰어나서 교회가 모든 신자들의 귀감으로 선언하고 존경토록 선호한 자를 의미한다>라고되어 있다. 여기의 정의에 따르면 우리가 일반적으로 알고 있는 성인 혹은 성녀는 좁은 의미의 성인인 것이다. 그렇다면 왜 넓고 보편적인 의미를 지니고 있던 성인의 의미가 축소되면서 한정적으로 변모했을까. 이에 대한 추적이 이 책의 핵심이라 할 수 있다.

가톨릭 교회에서 거룩하다는 의미의 聖이란 단어를 사용하기 시작한 것은 5세기 경부터였다. 그전까지는 "성"이란 단어 대신 "사도"라는 단어를 앞에 붙여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가령 중세인들이 여행을 떠날 때 "성 크리스토폴이여, 우리를 보호해 주소서>라고 기도했다면 초세기 신자들은 "사도...여, 우리를 위해 빌어주소서>라는 형식을 사용하였다. 이런 흔적은 초기 교회의 지하무덤에서 돌에 새겨진 형태로 많이 발견되고 있다. 가톨릭 교회가 말하고 있는 넓은 의미에서의 성인이란 초세기에는 순교자를 지칭하는 것이었음을 알 수 있다. 즉 하느님께 대한 영웅적인 덕행을 실천하고, 하늘에 올라가 하느님을 뵈게된 사람들이 성인이었던 것이다. 그리고 순교자가 묻힌 땅은 신성한 장소가 되었다.  하지만 순교자가 많아지고 지역적으로도 광범위하게 되면서 성인이 양산되는 현상이 발생하는 것은 당연한 귀결이었다. 결국 교회가 성인 문제에 개입하게 되면서 성인으로 불릴 수 있는 조건의 정의가  점점 좁혀지게 된다. 이 결과 5세기 경에 성인이란 칭호를 사용할 때는 일반적으로 황제나 거룩한 직무를 띤 주교와 같은 사람에게 한정하여 이 칭호를 붙이기 시작하였다. 보편적이고 평등적인 가톨릭에서 신자들을 구분짓는 성인이란 제도를 도입함에 있어 무척 신중한 자세를 취했다. 왜냐하면 하느님의 피조물로서 인간은 신 앞에서 평등하였기 때문이었다. 그러므로 믿는자는 누구나 성인이 될 수 있는 자격을 갖춘 사람들이었다. 다만 누가 자신에게 주어진 능력을 힘껏 발휘하면서 하느님의 뜻에 합당하게 노력하느냐에 따라 성인이 되느냐 안되느냐가 가름될 뿐인 것이다. 즉 교회는 성인이란 자신의 노력과 신의 은총이 결합된 것이라는 것을 확인하였던 것이다. 그렇다면 노력과 은총이란 사실을 어떻게 구분하는가에 대한 문제가 제기되게되고 이를 판별하는 것은 교회의 몫이 되었던 것이다.

그렇다면 교회는 왜 성인이 필요하게 되었을까. 그것은 역사적인 변화에 따른 필연적인 결과였다. 초세기 교회가 박해을 받을 때는 누구나가 순교의 월계관을 받을 수 있었고 누구나가 영웅적으로 자신이 믿는 믿음을 죽음으로 증명할 수 있었다. 이 당시는 믿는다는 그 자체가 성스런 행위였다. 즉 초세기 교회와 신자는 거룩함 그 자체였던 것이다. 하지만 313년 이후 기독교가 로마의 국교로 공인되면서 순교는 제국내에서 공식적으로 사라지게 되었다. 이제 교회는 새로운 형태의 모범이 필요하게 되었다. 피와 죽음으로 대표되던 교회를 증거하는 행위가 아니라  좀더 시대의 흐름에 맞는 성인이 필요하게 된 것이다.  이제 교회는 순교자가 아니라 성인이 필요하게된 것이다. 이 결과 성인의 기준 또한 순교에서 내적인 수양과 헌신, 고행, 덕행, 청빈등이 중요한 요소가 되었던 것이다. 하지만 성인들은 결코 고통을 극대화하기 위해 감각적인 유혹을 자제해야만 했다. 이렇게 신앙 생활을 하는 사람들은 교회와 신자들의 입장에서 볼 때는 하느님의 현존을 의미하는 것이기도 했다. 즉 그리스도의 어디에나 내가 있기 때문에 네가 만나는 사람에게 친절하게 해주는 것은 나에게 해주는 것이라는 말처럼 성인의 삶 그 자체가 바로 신이 이 지상에 우리와 함께 계시고 있다는 것을 증명하는 것이기도 하였다.

중세의 성인 공경은 아주 특별했다. 그래서 마을마다, 교회마다, 집단마다 또는 개인적으로 수호성인 혹은 수호천사가 지정되었다. 그리고 성인의 이적이 일어나는 장소나 성당은 당연히 신자들의 순례지가 되었고, 중세인들은 이런 순례여행을 통해 또 다른 영적 체험을 할 수 있었다. 그리고 중세가 깊어갈수록 성인은 중세의 한 요소로서 자리잡게 되었다. 이제 중세 교회는 성인이라는 모델을 통해서 모든 믿는자들이 더 엄격하고 신심이 깃든 삶을 살도록 명령하였다. 교회의 이상과 중세인들의 삶 사이에 놓여진 그 간극이 중세의 진정한 삶의 공간이었던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