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스마트 체인지 - 습관을 만드는 생각 작동법
아트 마크먼 지음, 김태훈 옮김 / 한국경제신문 / 2017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일반 자기 계발서에서 말하는 습관과는 달리, 저자는 습관은 뇌의 문제라고 지적한다. 이는 저자가 말하는 고시스템과 스톱 시스템으로 충분히 통제가 가능하다고 말한다.
이를 위해서
목표를 최적화하라. 고 시스템을 길들여라. 스톱 시스템을 활용하라. 환경을 관리하라. 주위 사람들을 끌어들여라.라는 다섯 가지의 시스템을 구축해 이를 실천하는 것이 습관을 재발견하고 재정립할 수 있다고 말한다.
실상 고 시스템과 스톱 시스템을 제외한 나머지 사항들은, 일반 자기계발서에서 늘상 말하는 것과 크게 다르지 않아 보인다. 고와 스톱 시스템 자체도 크게 볼 때는 마찬가지로 크게 다르지 않아 보이기도 한다. 하지만 일반 자기 계발서와 이 책의 가장 큰 차이는, 전자는 그 개념이 의지라고 말하는데 반해, 후자는 뇌의 작용이라고 말하고 있다는 것이 바로 그것이다.
물론 이도 더 넓고 크게 본다면 같은 것이지 않느냐고 반문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의지 자체도 뇌의 작용이 더해진 생각이 이어지고, 이 생각들을 토대로 의지로 넘어가서 정리되는 것이기 때문일 것이다. 그러나 우리가 생각하고 다짐하는 의지라는 것은 흔한 유혹에 너무나 쉽게 좌절되고 만다. 다이어트를 결심한 사람이 눈 앞의 케잌 한 조각의 유혹에 이 번 한 번만 먹고 나서부터 다이어트를 하자라거나, 금연을 결심한 사람이 이 번 한 대만 피고 금연을 하자라는 식의 유혹에 자신을 합리화 시켜버리는 것이다.
의지를 통해서 우리는 금방 좌절하고 이내 자신을 합리화한다. 하지만 이런 것들이 뇌의 작용 때문이라고 한다면 또다른 시각에서 자신을 바라볼 수 있는 기회를 가질 수 있다. 저자가 말하는 고와 스톱 시스템을 얼마나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느냐에 따라서 자신이 원하는 결과를 얻을 수도 있고, 그렇지 못할 수도 있을 것이다. 언제나 자신을 합리화시켜 유혹에 넘어가고 마는 사람이라면, 저자가 말하는 시스템을 구축하고 다시 한번 자신을 되돌아보고 또 다르게 쳐다볼 수 있는 계기와 경험을 얻게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