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한산성 - 개정판
김훈 지음, 문봉선 그림 / 학고재 / 2017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글에는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책을 읽다가 임금의 무능함에 답답한 적이 많았다. 이런 무능함을 돋보이게 한 요소는 무엇일까를 생각해보았다.


 가장 먼저 떠오르는 요소는 당상들에게 의견을 묻기만 하고 정작 둘 중 하나에 결단을 내리지 못하는 상황이 여러 번 발생한 점이다. 인조가 청이 왔을 때 문서를 보내야 한다고 말하지만 결국 김상헌 무리에 의해 어영부영 넘어갔다. 또한, 청을 혼란하게 만들 거짓 문서 하나에도 옥새를 찍느니 마느니, 격서를 누가 나가서 전달할 것인지 논의하던 때에도 결국 인조가 결정한 것은 하나도 없다. 상황에 따라서 자신에게 이롭게 된다면 다른 사람을 배신하고 싸우고 화해하고 비는 것은 필연적이라고 생각하는데 인조는 배신하지도 싸우지도 빌지도 못한 한심한 사람처럼 느껴졌다. 물론 인조의 입장도 생각해 볼 만한 부분이 인조가 반정으로 왕위계승권을 찬탈했다. 근데 그때 도와준 신하들이 언제 또 반정에 가담할지 모르는 상황이 너무도 불안해서 하고 싶은 말도 하지 못하는 과묵한 임금, 이도 저도 못 하는 미련한 임금이 됐겠지만, 한 나라의 임금으로서 성안에 곡식이 부족하며 백성들은 궁핍하고 시간이 지날수록 성한 몸을 지닌 조선병들은 없어지지만, 더 강하게 압박해올 청나라를 생각해 화친할지 말지 빨리 정했어야 했다. 얄팍하게 대신들의 대립하는 의견을 둘 다 수용했다가 척화파에겐 의리를 저버린 임금의 모습으로 실망을, 주화파에겐 조선에 대비되는 청의 부유한 상황에 절망감을 주었다고 본다. 


 두 번째 요소는 서날쇠이다. 대장장이 서날쇠는 실존 인물로 다재다능한 면모를 보여준다. 이 덕분에 울고, 고뇌하며, 군사들의 사기를 북돋우기 밖에 못 하는 인조와 대비된다. 서날쇠는 총을 다루어 보는 것은 처음이었지만, 총을 뜯어보며 한나절 만에 물리를 깨쳤다. 또한 바늘을 만드는데에도 기여를 하였다. 대장장이가 할 일도 아닌 죽공의 일을 생각해내며 김상헌도 생각지 못한 실을 구하도록 해결책을 제시한 서날쇠는 남한산성에 있는 와중에 여러 가지 크게 이바지하였다. 또한 위에서 말했던 격서를 보낼만한 인재인 서날쇠를 김상헌이 찾아 설득하였고 그에 서날쇠가 “나라에서 하라시니, 천한 백성이 어쩌겠습니까. ∙∙∙ 하기사, 포위가 풀려서 조정이 돌아가야 성안 백성들이 농사를 지을 수 있고, 저도 대장간을 굴려서 먹고살 수 있을 터이니.”(p.227~228) 라며 여러 지역에 격서를 전달하며 지원을 요청하였다. 인조처럼 고뇌만 하며 신세 한탄이나 하는 사람보다 자신이 할 수 있는 일을 묵묵히 해낸 그가 진정 나라를 위한 사람이 아닌가 싶다.


 마지막으로는 칸의 통치력이다. 처음 제시한 명을 배신하고 왕자와 대신을 보내라는 요구는 마지막까지 바뀌지 않았다는 점이 칸과 인조의 차이임을 깨닫게 되었다. 칸은 자신이 원하는 것을 확실히 취하도록 하며 적에게 최소한의 배려를 해주는 왕이 자질을 가진 것 같다. “칸의 결정은 신속하고 단호했다. 칸은 구운 오리고기에서 뼈를 발라내며 군대의 진퇴를 결정했고, 입을 우물거려 오리 뼈를 뱉으며 명령을 내렸다.”(p.23) 이 말처럼 칸이 남한산성에 들어온 후 조선이 심양에 쳐들어오거나 남한산성으로 지원군이 올 경우를 가정하고, 겨울이 지나 언 강이 녹았을 때 돌아갈 수단을 대비하는 과정에서 모두 자기 생각과 의지대로 명령하는 모습이 인조와 너무 달랐고, 직접 군을 통치하는 모습이 우리가 청에 질 수밖에 없다고 알려주는 극적인 요소였던 것 같다.


 필사적으로 살아가려 했던 인조였던 것을 아는 만큼 상황이 좋지 않아서 이렇게 아무것도 못 했던 게 안타까울 따름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