섬을 걷다 - 모든 것을 내려놓고 홀로 떠나는 섬 여행
강제윤 지음 / 홍익 / 2009년 1월
평점 :
절판


어제는 꽃이 피는가 싶더니 오늘은 또 눈이 내린다. 제법 많은 눈이 쌓인다 했더니 햇볕이 나자 눈은 흔적도 없다. 삶 또한 그러하다. 돌이켜 보면 삶이 내 소망대로 이루어진 적은 거의 없었다. 하지만 나는 내 삶이 실패했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애초부터 삶에는 실패나 성공 따위란 없는 것이다. 성공한 삶도 없고 실패한 삶도 없다. 서로 다른 삶이 있을 뿐이다.
 

  삶은 비교 대상이 아니다. 누구도 삶을 벗어날 수 없는 것처럼 누구도 삶의 판관일 수 없다. 어제는 어제의 삶을 살았고 오늘은 오늘의 삶을 산다. 너는 너의 삶을 살고 나는 나의 삶을 살아간다. 그것이 전부다. 나는 늘 삶에 대해 서툴다. 그렇다고 내 삶이 실수투성이인 것을 책망할 생각은 없다. 누구나 그렇듯이 나 또한 처음 살아보는 삶이 아닌가.

 

  온전한 걷기란 단지 다리 근육의 운동만을 의미하지 않는다. 그것은 잠들어 있는 생각을 깨우고 생각의 폭을 넓히는 정신의 운동이기도 하다.

 

  사람의 마음이 늘 무겁거나 가볍기만 하겠는가. 무겁기만 하다면 가라앉아 버릴 것이고 가볍기만 하다면 날아가 버릴 것이다. 사람이 세상에 발붙이고 살 수 있는 것은 사람의 마음에 추가 있기 때문이다. 무거움과 가벼움을 오가며 균형을 잡아 주는 균형추. 마냥 마음의 오고감에 휘둘리며 살 이유가 없는 것은 그 때문이다.

 

  섬을 꿈꾸면서도 섬에 붙들려 섬으로 가지 못했다. 한 섬을 버린 뒤에야 나는 비로소 모든 섬으로 간다. 내가 섬으로 가는 것은 걷기 위해서다. 움직이기 위해서다. 움직이는 존재, 동물이라는 사람의 정체성을 되찾기 위해서다.

                                                                      - 본문 중에서 발췌 -

 

 

 

 

 

정말 오랫동안 활자 위를 걸었다.

시인의 여정을 따라 장장 한 달여는 걸은 것 같다.

내가 워낙 더디 읽는 사람이기도 하거니와

한 걸음 한 걸음 옮겨놓기가 쓸쓸해지는 책이어서이기도 했다.

어쩌면 그가 실제로 섬을 걸었던 기간은 이것의 열 배, 스무 배, 그 이상은 될 것이다.

그가 이야기한 섬이 어느 섬이었는지는 중요하지 않았다.

다만 그가 섬을 찾고 받아들이고 기억하는 방식이 마음에 진하게 와닿았고

그가 그리는 갯내 나는 삶의 풍경, 짭쪼름한 마음의 무늬들이 참으로 좋았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내 안에 자리잡은 '섬에 대한 관념'을 변화시킨 것이 고마운 일이다.

이 책을 읽는 중간 나 역시 섬에 다녀왔다. 

그섬에 머무는 동안 전과 조금 달라진 것이 있었다면

부끄럽지만 그건 순전히 시인을 닮고 싶었던 내 어설픈 따라하기의 결과였을 것이다.

 

바다는 섬의 희망이고 절망이다.

육지로 가는 뱃길을 열어 주는 통로인 동시에 단절이다.

라는 책의 한 구절에 놀랐다.

최근에 하고 있던 생각과 같아서였다.

 

그래, 누군가의 선언처럼 우리 모두는 하나의 섬이다.

그 섬을 둘러싼 바다를

희망이고 통로로 만드는 것도

절망이고 단절로 만드는 것도

다 섬이 마음 먹기 나름인 것이다.

비록 거센 폭풍우가 앞을 영영 열어주지 않을 것처럼 보이더라도

분명 그 바다에는 우리가 나아가야 할 길이 있다.

다만 감추고 있을 뿐이다.

나는, 포기하지 않고 그 길을 찾아나서리라.

뚜벅 뚜벅.

물 위를 걸어야 한다 해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