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스발도의 행복 여행 철학하는 아이 13
토마 바스 지음, 이정주 옮김, 황진희 해설 / 이마주 / 2019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행복이란 기다리는 것이 아니라 찾아가는 것, 
혼자만의 욕구에 머무르지 않고 세상과의 소통 속에서 발견되는 것입니다. 

 

오스발도는 아주 평범한 사람입니다.
그는 모험이나 여행, 사랑 같은 건 한 번도 경험해 보지 못했지요.
그저 자신의 작은 방에서 하나뿐인 친구인 새 짹짹의 노랫소리를 듣는 것,
그것이 그의 유일한 행복이지요. 평범하고 규칙적이고 어김이 없던 그의 생활이 어느 날 달라집니다.
짹짹이 노래하지 않게 된 그날부터요.
오스발도는 하나뿐인 친구를 위해 새장을 창가로 옮겨 주기도 하고,
좀 더 큰 새장으로 바꿔 주기도 하지만 소용이 없습니다.
그러다가 우연히 낯선 가게에서 작은 화분을 발견합니다.
가게 주인은 화분을 받는 사람은 누구나 행복해진다고 했지요.
오스발도는 뛸 듯이 기뻐하며 화분을 가져와 짹짹 곁에 놓아둡니다.    

유일한 행복이 사라진 뒤 오스발도는 난생 처음으로 집을 떠나 모험을 시작합니다.
도시의 작은 방에서만 지내던 그가 자연 속으로, 그것도 정글로 떠납니다.
짹짹의 소리는 그 어디에서도 들리지 않고, 보이지 않았지요.
그동안 진정으로 마음이 원하는 것을 보고 듣지 못했던
그는 정글에서 잊고 지내던 본성을 회복하고 짹짹을 찾아냅니다.
반가움과 행복감도 잠시, 오스발도는 정글에 남기를 원하는 친구의 행복을 빌어주며 홀로 되돌아옵니다.
 
 오스발도가 일상에서 정글로 감에 따라 초록 면은 점점 커지고, 색도 짙어집니다.
빨강색 역시 마찬가지입니다.
처음에는 드문드문 가는 선으로 표현된 빨강색이 이야기가 진행될수록 굵어지고 짙어집니다.
인간은 자연속에서 잊고 있던 태초의 본성을 회복할 수 있고,
그래야만 진정한 행복에 눈뜰 수 있다는 메시지를 색으로 전합니다. 
빨강과 초록은 보색입니다.
혼자 있을 때보다 함께 있을 때 서로를 더 풍성하게 돋보이게 해 주는 보색처럼,
행복도 혼자가 아닌 함께 찾아갈 때 더 의미 있음을 나타냈지요.  
오스발도는 짹짹을 찾아 스스로 떠났기 때문에 행복해질 수 있었습니다.
짹짹의 행복을 인정하고 받아들였기 때문에 함께 행복해질 수 있었지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