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타주의자의 은밀한 뇌구조 - 인간의 선량함, 그 지속가능성에 대한 뇌과학자의 질문
김학진 지음 / 갈매나무 / 2022년 1월
평점 :
우리가 선량하며 정의롭고자 하는 진짜 이유는?
친사회적 행동과 이타적 동기의 근원에는 '타인으로부터 인정과 호감을 받고 싶은 마음'에 기인한다고 저자는 말합니다. 그렇다면 다음의 질문에 대해 어떠한 답변을 기대할 수 있을까요?
누군가에게 잘 보이기 위해 남을 돕는 행위는 불순한 동기일까요? 타인에게 인정받고자 하는 욕구가 이타적 행동의 동기로 용납될 수 있을까요? 위기에 처한 사람을 구하기 위해 일말의 망설임도 없이 목숨을 던지는 수많은 영웅들의 이타적인 행동은 어떻게 설명할 수 있을까요? 사람들은 왜 남을 돕는 행위를 드러내길 부끄러워할까요?
열길 물 속은 알아도 한 길 사람 속은 모른다는 속담처럼 인간행위의 결과가 어디에서 출발했는지를 알기란 참으로 어려운 주제일 것입니다. 특별히 타인으로부터 인정받고 싶어하는 욕구란 다양한 사회적 상황에서 나타나는 감정의 주요 원인이 되지만 가장 인식하기 어려운 문제이기도 합니다.
이런 어려운 주제를 다룬 책이 갈매나무를 통해 출판되어 눈길을 끕니다. 인간의 선량함에 대한 뇌과학자의 질문을 통해 다양한 도덕적, 윤리적 판단과 친사회적 행동의 기저에 있는 심리학적, 신경과학적 원리들에 대한 친절한 설명과 더블어 친사회적 행동과 이타적 동기가 뇌의 어떤 활동에서 기인하는지를 제시해 주고 있습니다.
우리는 출생과 동시에 발달과정 내내 타인 혹은 사회가 규정한 가치들에 끊임없이 영향을 받으며 성장합니다. 사회적 가치와 규범은 곧 나를 정의하는 데 필수 재료로 작용하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점을 생각한다면, 나를 인식하는 과정에서 타인의 시선, 즉 평판이 매우 중요한 요소가 될 것입니다.
이타적인 행동을 하는 심리는 타인에게 인정받고 싶어하는 뇌 영역의 욕구 부위이기에 잘만 이용한다면 긍정적인 사회를 만드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고 합니다. 이타적 행동은 타인으로부터 호감을 이끌어낼 수 있으며, 사회 구성원으로서 위치를 공고히 해 줄 수 있는 것으로도 보입니다.
뇌는 이타성을 추구할 수 밖에 없고, 인간의 뇌는 살아남기 위해 가장 유리한 가치를 선택해야만 하기에 건강하고 합리적인 이타주의는 결국 인정과 과시가 아닌, 내면의 성찰을 통애서 얻어지는 것입니다.
책은 총 세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1부 칭찬에 중독된 뇌
2부 그 사람은 왜 착한 일을 할까?
3부 뇌는 이타성을 추구할 수 밖에 없다
목차만 보아도 흥미를 불러일으킬 만 한데요, 다양한 뇌실험과 검사를 통해 이타적인 행동에 대한 흥미로운 의견을 제시해주고는 있지만 내용이 다소 어려운 점이 있었습니다. 그리고 우리의 뇌는 태어나면서 부터 완전하지 않고, 자라면서 여러 환경에 노출되면서 형성되어가기에 인간의 심리를 뇌과학으로 딱 잘라 설명하기에는 다소 무리가 있다는 생각도 듭니다.
그러나 공감 능력과 관점 이동 능력이 모두 타인과 원활한 소통을 하는 데 제일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과 복내측 전전두피질에는 우리가 다양한 상황들을 현명하게 해결해오면서 얻은 귀중한 삶의 지혜들이 녹아 있다는 사실을 통해 뇌구조와 인간의 심리욕구의 연결고리를 알아가는데는 많은 도움이 된 거 같아 가치있는 독서 시간이 되었습니다.
* 출판사에서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한 서평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