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희의 아이 1
덴도 아라타 지음, 송태욱 옮김 / 현대문학 / 2014년 8월
평점 :
품절


엄청난 빚을 진 아빠는 자취를 감추고 엄마는 정신을 놓아 버렸다. 마코토는 채무를 변제하기 위해 히로뽕을 제조하는 위험한 일을 하게 되고 쇼지는 자리보전하고 누워있는 엄마의 병수발을 든다. 가오리는 유령을 보게 되었고 "구려"라는 말을 입에 달고 산다. 앞이 보이지 않는 답답한 현실에서도 아이들은 참 장하고 착하다. 결코 비뚤어지지 않고 자신의 몫을 묵묵히 해낸다. 자신의 실수로 인한 죄 갚음도 쉬운 일이 아닐진데, 부모의 실수와 나약함에서 비롯된 빚과 병수발을 큰 원망도 없이 받아들인다. 부모가 그리 강한 성품의 소유자도 아니었는데, 이런 굳은 심지는 과연 어디서 온 것일까. 자신의 앞가림도 하기 벅찬 하루하루를 살면서 다른 사람을 생각한다. 이런 아이들이 과연 현실에도 존재할까...

 

안정된 가정이 풍비박산 나고, 믿고 의지하던 아빠가 사라지고 삶이 힘겨워지자 아이들은 자신에게 있어 가장 빛나던 재능을 잃었다. 노래를 즐겨부르던 마코토는 음을 구분하지 못하게 되었고, 그림에 재능이 있던 쇼지는 색을 구분할 수 없게 되며, 태어나자마자 엄마의 냄새를 맡았던 가오리는 냄새를 인지하지 못하게 되었다. 아이들의 힘겨운 삶을 보며 책 읽기가 내내 불편했던 나는, 아이들 스스로 자신의 재능을 감춰버린 것은 아닐까 생각했다. 희망이야말로 가장 잔혹한 고문이라는 얘기를 어디서 들은 듯 하다. 벗어날 길이 전혀 보이지 않는 현실에서 자신의 가장 빛나는 부분을 감추고 덮어둬야만 결핍에 대한 절망과 잃어버린 것에 대한 회한의 무게를 조금이나마 줄일 수 있지 않을까 싶은 것이다.

 

덴도 아라타의 작품에서 가족은 항상 중요한 구심점이 되는 것 같다. 이전에 읽은 작품들에서도 가족은 항상 이야기의 출발점이었다. 문제가 있는 가정은 결국 파탄이 나고 비극의 끝을 향해 달려가지만, 아무리 어려운 환경에서도 함께 하는 가족의 위대함과 소중함을 보여주며 상처 받고 떠나왔어도 그 근원은 가족에 있음을 강조한다. 가족의 의미가 예전에 비해 많이 퇴색된 것이 사실이고 그 형태도 많이 바뀌어 왔다. 과거의 가족은 혈연으로 연결된 공동체였던 것이 비해, 지금은 함께 힘든 시간을 버티고 어떤 상황에서도 옆을 지켜주는 존재의 의미가 더 강해진 듯 하다. 피 한방울 속에 들어 있는 유전자의 문제가 아니라 서로 부대끼고 시간과 공간을 공유하며 살아가는 일이 중요해 진 것이다. 작품 속에서도 마코토의 출생이 다른 아이들과 다르지만 그 셋은 이 세상 그 어느 누구보다도 가까운 무리, 가족이다.

 

이 책에서 유독 마음에 드는 부분이 있었다. 한심한 엄마 아이코가 유일하게 잘한 일, 마코토가 쇼지의, 쇼지가 가오리의 이름을 지어주게 한 것이다. 마코토의 출생이 다르다는 설정 상 그 셋을 이어줄 다른 장치가 필요해서일 수도 있겠으나, 아이코의 예감처럼 이름은 세 아이들을 이어주는 강력한 끈이 되었다. 힘겨운 상황 속에서도 비뚤어지지 않고 자기 스스로를 지키며 잘 살아가는 아이들은 과연 떡잎부터 다르더라. 평생 타인에게 불리게 될 이름이 얼마나 중요한지, 그 이름이 한 사람의 성격을 결정짓고 인생을 어떻게 이끌어 갈지 너무도 잘 알았던 것 같다. 마코토가 3일을 고민하여 지은 이름이나, 쇼지가 갓 태어난 아기의 탯줄을 자른 후 지은 이름은 정말 너무 따뜻하고 애정이 듬뿍 묻어났다. 그 어떤 에피소드도, 선별한 단어를 골라 만든 그럴듯한 문장도 이 장면만큼 작품을, 작가의 의도를 잘 설명해주지는 못할 것이다.

 

[ 갓난아이의 이름은 쇼지가 되었다. 쇼지의 이름은 마코토가 지은 것이다. 아이코는 형제가 서로 이름을 지어 주면 유대가 깊어질 것이라고 생각해 노부미치에게 의논했고 그도 승낙했다.

 마코토는 사흘을 생각해서 크레용으로 도화지에 '쇼지正二'라고 썼다. 동생이니까 이二 자를 붙이는 것은 정해 놓고 있었다고 한다. 올바르다正는 글자는 습자 교실에서 처음으로 배운 한자로, 의미가 영웅의 첫 번째 조건이라고 배워 마음에 들었던 모양이다.

 그는 막 태어난 동생에게 말했다.

 "영웅이 돼라, 쇼지. 영웅이 돼."

 쇼지는 여동생에게 '가오리香'라는 이름을 붙였다. 그 이유를, 갓난아이가 태어나서 곧바로 엄마한테 코를 들이대면서 엄마의 좋은 냄새를 열심히 맡으려는 것처럼 보였기 때문이라고 했다.   - p. 291 ]

 

어린 가오리는 짐승이 되고 싶다고 한다. 항상 무리를 지어 생활하고 외부의 위협에도 함께 대응하면 살 수 있다고, 버틸 수 있다고 깨닫는다. 집에서 풍기는 냄새가 아무리 구리고, 따뜻했던 엄마의 미소가 결코 돌아오지 않아도, 심지어 아빠가 같이 떠나자고 할 때에도 가오리는 두 오빠 곁으로 돌아온다. 가오리는 오빠들이 밤중에 어떤 일을 하는지, 쇼지가 가족을 지키기 위해 무엇을 희생했는지 정확히 모르지만 본능적으로 느낀 것 같다. 머물러야 할 곳, 함께 있어야 하는 사람에 대해서 말이다.

 

[ "이리 와. 흩어지지 마. 함께 있지 않으면 잡아먹힌다."

 보이가 놀란 표정으로 가오리 곁으로 다가온다. 주뼛주뼛 세다도 온다. "누구한테 잡아먹혀?" 하며 리야와 노체도 왔다. 골은 일단 교실을 나가 여동생을 데려와서 가오리 옆에 앉았다.

 "함께 있으면 괜찮아. 무리를 지어 모여 있으면 당하지 않아."   - p.255 ]

 

[ 보이고 보이지 않는 것을 의심할 생각은 이제 없다. 자신이 신뢰하는 사람이 보인다고 하니 그것은 거기에 존재하는 것이다. 사실인지 어떤지는 의미가 없다. 모든 것은 신뢰의 문제다.   - p. 364 ]

 

[아기와 나]에 보면 아빠랑 진이, 신이가 여행을 갔는데 어떤 사람이 진이가 차에 기스를 냈다고 따지는 장면이 있다. 아빠는 그 사람에게 "우리 진이는 그런 애가 아니다."라며 당연하다는 듯이 말한다. 그런 무한한 믿음과 신뢰는 상대방으로 하여금 좀 더 자신있게 세상을 살아갈 수 있게 하는 것 같다. 나를 믿어주는 존재가 있다는 것 하나만으로 등이 펴지고 배에 힘이 들어간단 말이지. 

 

과연 어떤 결말이 나오려나 궁금했는데 작가가 느닷없이 배신을 때린다. 길게 끌어온 것에 비해 마지막은 좀 허무하게, 다소 흐지부지 마무리 된다. 아이들이 그토록 무겁게 짊어져 온 짐을 내려놓는 과정이 한순간에 확 끝나버린다. 작가의 뒷심이 여러모로 아쉬운 결말이었다. 게다가 제목이 [환희의 아이]다. 물론 작가 마음이긴 하다만 여러모로 내용과 연결짓기엔 무리라고 생각된다. 그래서 별 하나 뺀다. 4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