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지 R. R. 마틴 걸작선 : 꿈의 노래 1 - 머나먼 별빛의 노래 조지 R. R. 마틴 걸작선 : 꿈의 노래 1
조지 R. R. 마틴 지음, 김상훈 옮김 / 은행나무 / 2017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은행나무 출판사에서 서평단을 모집해서 신청했다가 책의 일부를 받아서 읽게 되었다. 이 책의 전체는 아니고, 한 파트 부분을 떼어낸 분량만큼 읽어서 전체 스토리 리뷰는 불가능하지만 적어도 내가 읽은 부분에서 느끼기에 이 책이 상징이 무척 훌륭하게 되어있다는 거다.

 요새 배우고 있는 구조학에서 기표와 기의에 대해서 좀 알아가고 있는데 그 부분들을 응용해보면 상징이 지닌 의미에 대해서 생각할 수 밖에 없다. 이 책은 전체적으로 몇 가지 상징들을 두고 기표와 기의를 치밀하게 짜내린 그런 구조를 가지고 있다. 우선 네크롤의 입장에서(이 파트에서는 네크롤의 시선을 따라가며 소설이 전개된다) 바라보는 악의 무리들을 '천사'라고 부르는 점이나, 이들 즉 천사들이 죽이고 있는 젠시족을 성체라고 칭하는 것까지. 사실 천사들은 젠시족을 굉장히 하찮은 종족으로 취급하고, 생명체라기보다는 어떤 물체로 간주하고 있는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칭하기를 성체라고 칭해서 聖體 라는 기호와 굉장히 어긋나있다는 인상을 받게 된다. 

 소설의 전체적인 부분은 제노사이드에 대해서 다루고 있다는 인상을 받았다. 우선 이념과 사상, 종족이 맞지 않다는 이유로 강자가 약자들에게 일방적으로 폭력을 휘두르고 학살하고 추방하는 장면은 이 작품이 SF임에도 불구하고 현대와 굉장히 닮아있고, 지금도 지구 건너편에서 실시간으로 일어나고 있는 일들이기 때문에 완전히 남의 이야기같지 않게 느껴진다. 다만 배경이 SF라서 레이저건이라거나 뭐 그러한 이질적인 것들이 등장하지만, 작가가 최종적으로 투영하고자 했던 현실은 결국 지금 우리가 앓고있는 문제들이었다고 볼 수 있을듯하다. 

 사실 천사들이 젠시족을 학살하는 데에 대단한 이유는 없다. 그냥 영토싸움이고, 약육강식이라고 천사들의 입장에서는 생각해볼 수 있다. 그렇지만 이게 약간 미국의 역사와 맞물리는 부분이 있는 것 같은데.... 발달한 기술과 지식을 가진 종족이 원주민들을 쫓아내고 있는 구도가 만들어져 있기 때문이다. 일단 젠시족과 천사만 두고 비교하면 젠시족은 조금 미개한 입장이고, 천사들은 기술과 힘을 다 갖추고 있기 때문에.... 그렇지만 평화롭게 살던 젠시족들을 모두 죽인 다음에 매달아놓고 다른 젠시족들을 잡아서 그 시체를 보게하는 다소 끔찍한 방식으로 젠시족들을 퇴치 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주인공(이라고 보이는) 네크롤은 그런 천사들로부터 젠시족을 지키기 위해서 노력하고 있는데 네크롤에게 그럴만큼 강력한 힘은 없어서 라이서에게 기대고 있다. 그렇지만 라이서도 그렇게까지 막강한 존재는 아니라서 계란 두개가 바위를 때리고 있는 격. 어쨌든 과연 이 투쟁이 어떻게 이어질지는 흥미로운 부분이다. 

 주인공의 이름들이 좀 생소해서 적응하는 데에 시간이 걸렸다. 일전에 치아누 아차베 소설을 읽었는데 이름들이 너무 낯설어서 정말 속도가 더뎠고 괴로웠떤 게 다시 떠오를 정도로 이름을 외우기 어려웠음. 미국작가 아니었나 싶었는데 SF니까 색다른 이름들이 등장할 수 밖에 없었다. 

 파트 이름이 아주 관건이다. <일곱 번 말하노니, 살인하지 말라.> 내가 알기로는 성경의 구절이고, 그렇기 때문에 이 '천사'에 대해서 생각할 수 밖에 없는 것이다. 하나님과 천사들, 아주 개운할 정도로 상징설정을 잘해놔서 읽다보면 벅차오르는 감이 든다. 이런 구조를 좋아하는 독자들이라면 좋아할 것 같다.

 부분만 떼어 읽었지만 재미있게 읽었다. 낯선 작가인데 시리즈물이라서 좀 더 읽어볼만한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아낌없이 뺏는 사랑
피터 스완슨 지음, 노진선 옮김 / 푸른숲 / 2017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처음 제목을 읽었을 땐 좀 의아한 부분이 있었다. 원제가 <The girl with a clock for a heart> 였기때문! 나름 의역이 되어있는 제목인데 그 이유를 생각하면서 책읽기를 시작했다. 책에 대한 사전 정보가 거의 없이 읽어서(그걸 선호함) 처음 도입 부분에서 뭔가를 찾는 주인공의 모습에 흥미를 느꼈다. 무난한 스릴러소설 시작이라는 생각을 했고, 어쨌든 프롤로그격인 부분이었는데 이렇게 시작한 게 잘 한 거라는 생각이 들었다. 제목에서 많은 힌트를 얻을 수 없는 글은 도입부를 읽으면서 읽을지 말지 고민하게 되니까! 

  책을 읽고나니 왜 제목이 아낌없이 뺏는 사랑인지 너무 잘 알았다. 아, 정말 연애소설이 아니었지만 거의 연애스릴러 소설이었는데 조지(남자주인공)가 리아나에게 엄청나게 휘둘려서 답답해서 죽는 줄 알았다. 처음에 리아나의 부탁으로 위험을 무릅쓰고 매클레인에게 돈을 갖다주러 갔다가 된통 얻어맞는 장면도 그렇고, 그 외에도 리아나랑 얽히는 일엔 무슨 일이든 조지가 피해를 입거나 다치게 됐는데 조지는 다쳤을 때만 좀 힘들어 하다가 나중에 리아나를 보면 다시 괜찮아지는 그야말로 사랑의 병에 걸려있어서 독자인 내가 책 속에 들어가서 조지 멱살이라도 잡고 싶었다. 

  근본적인 문제는 조지의 그런 마음을 알고 이용해먹는 리아나에게 있겠지만, 조지는 그보다 아이린이라는 번듯한 여자친구가 있는데(아이린이 좀 깐깐해서 그렇지 성격도 좋은 것 같은데!) 왜 과거의 여자친구인 리아나에게 그렇게 휘둘리는 건지 읽으면서 고구마답답을 느꼈다. 조지가 리아나가 아니라 아이린과 있는 삶이 자기의 진짜 삶이라고 생각하는 장면이 나오는데 정말 그 부분이 반갑게 느껴졌다. 

 물론 이건 소설이기 때문에 조지가 리아나에게 끌리는 것이 어떤 장치인지 잘 알지만, 현실에 대입해서 생각해보면 아이린과의 삶이야 말로 정말 행복한 삶이라는 생각을 하게된다. 조지는 자신의 평화롭고 안전한 삶에 지루함을 느껴서 리아나의 삶 속에 개입해서 느끼는 스릴감을 좋아하지만, 리아나는 조지에게 그저 받기만 하는 사람이잖아. 리아나가 뺏는 형태는 아니고 조지가 갖다 바치는 형태라서(..) 다행이라면 다행일까; 

  결과적으로도 조지가 리아나에게서 벗어나지 못했고 앞으로도 벗어날 수 없을 것 같아서 착잡했다. 아이린은 착실하게 자기 직업에서도 성공을 거두고 책임감도 가지고 있고 미래에 대한 계획도 있는 사람이니까 아이린과의 삶을 선택하는 게 이상적일텐데 조지의 마음 속에는 여전히 리아나가 있어서. 아이린과의 삶이 보통의 삶이겠지만, 조지의 인연은 리아나인걸까 생각했다. 제목을 잘 번역했다. 책 읽기 전에는 이 책을 짐작할 수 없지만 읽고나면 그래 이 사랑은 아낌없이 뺏는 사랑이야, 라는 생각이 저절로 든다. 그리고 리아나에게 좀 야속해지기도 한다. 난 리아나가 조지에게 자기의 모든 것을 보여주지 않았다고 생각한다. 조지에게 하는 말이나 행동이 점점 진실성을 갖춰가고는 있지만 그것도 결국엔 어떤 위장의 일부일 것 같다. 

  리아나의 비밀을 하나씩 알아가는 과정들은 나름 재미있었다. 역시 정체를 속인다거나 다른 사람의 이름일 빌린다거나 하는 내용들은 재미있고 그런 걸 다른 사람이 파헤쳐가는 스토리 전개는 클리셰지만 재미있음. 

 피터 스완슨은 처음 보는 작가인데, 이 책을 출판한 출판사가 푸른숲이라서 망설임없이 읽게 됐다. 에드윈 멀하우스~ 이 책 나온 출판사... 
어쨌든 재미있게 읽었고, 분량도 많지 않고 생각보다 금방 읽을 수 있었다. 좀 더 다양한 책 읽게 된 것 같다. 예전의 나에 비해서. 좋은 것 같다. 책 편식 안하기로 했고 안하려고 노력하고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한나 아렌트의 정치사상 세트 (전3권) (반양장) - 전체주의의 기원 + 인간의 조건 + 예루살렘의 아이히만
한나 아렌트 지음, 이진우.박미애.김선욱 옮김 / 한길사 / 2017년 3월
평점 :
품절


한나 아렌트에 대해 더 깊게 이해할 수 있게 도와줍니다. 묶음판매 해서 한꺼번에 읽을 수 있다는 게 좋네요. 일반교양 공부할 때 한나 아렌트 읽으면 매우 좋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인간의 조건 한길그레이트북스 11
한나 아렌트 지음, 이진우 옮김 / 한길사 / 2017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사유와 고찰에 대해서 깊게 생각하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평소 한나 아렌트를 좋아했기 때문에 더 흥미롭게 읽을 수 있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아무도 아닌
황정은 지음 / 문학동네 / 2016년 11월
평점 :
품절


이 무렵의 한국사회에 대해서 이 책보다 더 잘 표현한 책이 있을까 싶을 정도다. 문학에 완벽한, 이라는 표현은 모순이겠지만 이 책을 다 읽은 순간 완벽하다는 생각이 들었다. 몇 번이고 읽게 된다. 다작했으면 좋겠다. 이 작가의 더 많은 글을 읽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