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관의 치 - 위대한 정치의 시대
멍셴스 지음, 김인지 옮김 / 에버리치홀딩스 / 2008년 4월
평점 :
품절


군에서 읽은 책입니다... 내용은 아무래도 당태종 찬양일색이고 중언부언하는 감이 적잖이 

있습니다. 제가 이책을 읽을 당시에 이중텐 교수가 쓴.. 제목은 잘 기억나지 않네요. 하여간 

 중국 정치 시스템을 까는 책이 있는데 그 책과 동시에 읽었기때문에 좀 비판적으로 읽었던 

기억이 납니다.  

말할 필요도 없이 당태종이야 정치 군사 양면에서 일류의 인물입니다. 수 멸망 이후의 

혼란을 단시간에 극복하고 태종 사후 측천무후 때 청조를 제외하고 중국 역사상 최대 판도를 

구축할 수 있었던 것도 첫 단추를 꿰멘 자의 역랑 덕분이겠지요. 

하지만 즉위와 양위 과정에 있었던 궁중 암투는 이후 중국역사에 반복적으로 확대

되풀이되었고 (당태종은 후세 야심가들에게 대표적인 성공사례로 떠받들어지고  

정관정요는 이들을 위한 최고의 가이드였지요. 세조도 당태종을 팔아먹었으니) 

이전 시대인 5호 16국을 반면으로 삼아 주변 이민족을 휩쓸었지만  

정작 절도사가 난립해 제국이 해체되게 되버리니...  

중국 역사상 평화가 안정적으로 이어지는 시기는 매우 짧은데 당은 무려 100여년

 넘게 성세를 이어갔고 이전과 비교해 매우 성공적인 시스템을 갖춘 것으로 보였으나

최전성기인 현종 때, 민생에는 별다른 문제가 없음에도 녹사의 난 한방에 

제국이 날라가버리니 결국 치명적인 권력구조의 약점을 지녔던 것이지요. 

이 후 송이나 명이 지나친 문신우대와 중앙권력 집중의 양상을 나타내게 되는 것도 

당의 패착을 본받아서일테구요. 

무엇보다 당 태종이 가장 지탄받아야 할 점은 고구려 정벌입니다.  

고구려가 수양제에게도 대들고 중국문명에 그냥 순종하지 않고 독자적인 세력권을 

유지하려했으니 당의 입장에선 눈엣가시였겠지요. 하지만 고구려는 여타 이민족들과 

전혀 다른 성격의, 성공적인 농경유목혼합의 안정적인 국가였고 뚜렷한 역사관과 지역관을 

기반으로 하여 동북아의 안정에 기여한, 중국 입장에선 정말 고마운 존재였는데

[고구려는 이미 자급자족의 성공적인 문명권을 이룩했기 때문에 다른 이민족처럼 존속을 위해  

성장함과 동시에 중국으로 밀고 들어가 중원을 지배하려하는 압박을 받지 않아도 되는 국가 

였음 최전성기인 장수왕 때나 문자명왕 때도 주변을 간접지배하는데 만족했고 

고구려 산하의 여러 민족들(예를 들어 돌궐)이 수세기 동안 고구려 산하에 있음에도

중국처럼 일방적으로 흡수된 것도 아니며, 그렇다고 내부 반발세력으로 연달아 반란을 일으키 

지도 않은 점(심지어 그 당과의 전쟁에서도 끝까지 고구려를 지원함)을 볼 때 고구려가  

이데올로기적으로 강력한 지지를 받는 문명권을 구축했다고 개인적으로 생각합니다.] 

 고구려의 뒤를 이은 발해 시절때까지 동북아는 안정적인 문명을 구축해 중국에 위협이 

되지 않았지요. 하지만 거란에게 발해가 멸망당하고 요서 넘어의 지역이 낙후된 이래로 

중국은 이곳에서 발흥한 이민족에게 연거푸 점령당하게 됩니다. (금, 청)

한무제가 한반도의 일부를 경영한 역사가 있었지만 그 선례를 통해 한반도가 이미 독특한

문명권을 구축하고 있으며 무리하게 강제점령할 필요 자체가 없다는 사실을

간파하지 못한 것은 당태종이 카이사르나 아우구스투스 같은 장기의 전략관이 부족했다고

볼 수 밖에 없습니다. 몽골고원에서 발흥하는 여러 유목민족들을 억제하는 

전략적 파트너인 셈이였는데 말이지요.  

물고기를 잔뜩 잡아 만선이 되었을 때 배의  

상태를 염려할 수 있는 선장과 같은 지도자야  말로 시대를 앞서가는 자겠지요. 

당태종은 테크닉은 누구보다 앞섰지만 미래를 보는 혜안은 부족했다고 생각합니다. 

그럼 동아시아 역사상 최고의 경세가가 누구냐? 그건 공부가 부족해서 아직까진 

전혀 짐작도 못하겠습니다. 앞으로도 꾸준히 독서를 계속해야 되겠지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