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실은 유물에 있다 - 고고학자, 시공을 넘어 인연을 발굴하는 사람들 아우름 27
강인욱 지음 / 샘터사 / 2017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진실은 유물에 있다'
고고학자, 시공을 넘어 인연을 발굴하는 사람들

책의 앞표지 그림이 고고학자의 단면을 보여준다. 마치 땅 속에 숨겨두었던 귀한 보물이라도 발견한 듯 땅을 파서 조심스레 유물의 형태를 확보하는 사람은 다름아닌 고고학자다.

책의 뒷표지에는 책의 주제와 관련된 저자와의 문답이 나온다. 고고학자들이 유물 속에서 무엇을 찾고 있는가란 물음에 저자는 작은 뼛조각이나 토기 조각에서 과거 사람들의 사연과 기억을 찾아낸다고 답한다. 그렇다. 일반인이라면 무심히 지나쳤을 사소한 물건 하나라도  고고학자의 눈에는 다르게 보인다. 

고고학자는 시간과 공간을 넘나들면서 저 멀리 과거로의 여행을 떠났다가 현재로 되돌아온다. 그 연결고리가 유물이다. 그래서 고고학자가 발굴하는 유물을 과거와 현재를 잇는 인연의 끈이라고 표현한다. 유물의 존재는 과거에만 머무르지 않는다. 고고학자의 눈에 포착되면 그것은 현재와 연결된다. 저자의 말에 동의하는가? 그렇다면 얼른 책장을 넘겨서 고고학자의 일상을 엿보기로 하자.

책의 저자 강인욱은 고고학자로서의 외길을 묵묵히 걸어왔다. 서울대 고고사학과를 시작으로 러시아과학원 시베리아분소 고고민족학연구소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경희대 사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저자의 약력에서 책을 향한 무한신뢰가 생긴다. 적어도 고고학에 관해선 그 깊이를 헤아릴 수 있겠다.

책의 여는 글에서 저자는 초등학교 3학년 말에 사회과부도를 펼쳐 보면서 지도 속 여러 나라를 꿈꾸며 역사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고 한다. 그 관심이 중고등학교 시절에도 이어져 고고학과 진학을 결정했다. 

저자는 고고학을 '다양한 시간과 공간에 살던 사람들의 모습을 유물을 통해 밝히는 학문'이라고 했다. 그래서 그는 새로운 유물과 유적을 만나면 가슴이 뛸 정도로 기쁘다. 하지만 고고학이 일반인들에겐 어렵게 느껴지기에 이번에 고고학에 관한 관심을 불러 일으키는 책을 내게 되었다.

책의 차례는 총 2부로 나뉘어져 있다. 제 1부는 <마음은 사라지지 않는다>, 제 2부는 <고고학자의 노트>다. 책장을 넘기면서 저자가 현장에서 유물을 발굴하면서 체험한 고고학의 실체를 느껴볼 수 있다.

제 1부 <마음은 사라지지 않는다>
저자는 매년 시베리아를 중심으로 하는 동북아시아 북방 지역으로 떠난다. 그 곳은 기온이 낮고 땅이 농사짓기에 척박한 초원이다. 옛부터 초원에서는 목초지를 찾아서 여기저기 떠돌아다니는 유목민의 삶이 펼쳐지고 있다. 황량한 그 곳에서도 고고학의 가치가 있는 유물이 발굴되고 있다. 고고학의 목적은 화려한 보물찾기가 아니라 과거 사람들의 삶을 밝혀내는 것이기에 오늘도 내일도 고고학자들의 손을 거친 발굴 작업은 멈추지 않고 지속된다. 

고고학자가 말하는 나이 듦의 가치는 어떨까? 사람이 늙는다는 것은 고고학의 층위처럼 인생의 경험이 한 층 한 층 쌓여 가는 과정이다. 사람이 노화한다고 해서 과거의 경험과 기억이 사라지는 것은 아니다. 사회 곳곳에서 늙은이의 지혜와 경험이 유감없이 발휘될 수 있다. 

고고학자들에게 감동을 주는 것은 유물 속에 사소한 듯 숨겨져 있는 부분들이다. 돋보기로 찬찬히 유물의 각 부분을 관찰하다 보면 치밀하고 사실적인 묘사에 전율이 인다. 

고고학 역사보다 유물 위조의 역사가 더 오래되었다. 고대 로마 시절부터 유물을 위조해 팔아먹는 사람들이 존재했다. 고고학자들은 자신의 이름을 널리 알리려는 욕심에서 나아가 국가가 침략을 합리화하거나 자국의 역사를 찬양하는 수단으로 삼기도 한다. 가까이 일본의 사례가 있다. 그러니 정직하게 유물을 발굴하고 지켜 내는 과정이 중요하다.

제 2부 <욕망과 희망>
저자는 고고학을 인연, 유유상종, 파괴, 사랑으로 정의하고 있다. 독자들은 머리 속으로 저자가 왜 그렇게 정의했을지를 생각해 본다. 그리고 저자의 의견과 비교해 보자. 여기에 정답은 없다. 

고고학의 미래도 AI 시대를 비켜갈 수 없다. 고고학자들은 유물을 기록, 분류, 실측, 보관하는 데 대부분의 시간을 쓴다. 이런 작업의 상당수는 AI로 대체할 수 있다. 또한 3D 프린터를 이용해서 발굴 당시우 가장 정확한 정보를 기준으로 복제품을 손쉽게 만들어 낼 수 있다. 조상의 과거를 알고자 하는 호기심과 인간 자체에 대한 탐구 정신이 있는 한 고고학은 계속 발전할 것이다.

책의 닫는 글에서 저자는 고고학자의 끈기와 노력으로 토기의 조각들을 맞춰서 복원했던 예를 들고 있다. 끝으로 과거의 진실은 유물 속에 숨어 있다는 것을 강조한다.

고고학에 관해 무지했던 독자들에게 고고학이 무엇을 연구하는 학문인지를 인지하는 시간이었을 것이다. 그들에겐 유물의 의미가 중요하다. 현재를 살아가는 우리가 조상들이 살아온 지나간 과거와 맞닿아 있는 접점에 유물이 있다. 그 유물의 진실을 찾아서 고고학자들은 지금 이 순간에도 메마른 땅에서 구덩이를 파고 있지 않을까?

https://m.blog.naver.com/geowins1/22122913765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