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상한 정상가족 - 자율적 개인과 열린 공동체를 그리며
김희경 지음 / 동아시아 / 2017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이제 더 이상 '이상하지 않은' 가족들을 위해


'가족' 하면 연상되는 단어나 이미지가 있(었)다.
따뜻함, 내 편, 온기, 뭉클함, 짠함, 책임감 등등
'일반적'이라는 말을 함부로 하면 안 되지만, 내가 생각하는 선에서는 '일반적으로' 떠오르는 이미지들이다.
하지만 이러한 이미지들이 모두에게 공통적으로 해당되는 것도 아니다.
'일반적'이고 '이상적'이고 '평범'한 '가족'이라는 것이 있을까?
있다면 그것은 '만들어진 이상'일 수도 있지 않을까?
이러한 의문에 대한 답을 <이상한 정상가족>이라는 책이 내게 해주었다.

 

한국 사회의 가족주의와 '정상가족' 이데올로기가 현재의 한국 사회에서 많은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는 내용에 충격을 받았다.
정상적이고 일반적인 형태의 가족이 대표적이면서 바람직하며, 나머지 그렇지 못한 가족의 형태는 소수이며 바람직하지 못하고 '이상한' 형태라고 나도 은연중에 계속 생각해왔던 것이었다.
하지만 시대가 바뀌었고, 개개의 가족 형태는 모두 존중되어야 한다.
단지 소수라고 해서 무시받거나 외면받아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유독 우리나라는 혈연을 굉장히 중요시한다.
물론 그러한 가족 형태가 잘못된 것은 아니다.
하지만 그러한 가족 형태만이 옳은 것이고 나머지는 다 배척당해도 괜찮은 것이 아니다.
왜곡되고 편향적인 가족주의에서 벗어나 이제 다양성을 받아들이는 자세가 필요하다는 것을 강하게 느꼈다.

 

그리고 아이(자녀)에 대한 체벌과 폭력의 경계를 확연히 구분 지을 수 있을 것이라 생각했었는데, 이 책을 읽고 생각이 많이 바뀌었다.
적어도 내가 부모가 되어 아이를 낳게 되면, 나는 아이를 엄하게 훈육(?)하며 필요한 경우 '사랑의 매'를 들 생각이었다.
하지만 그러한 체벌 행위는 부모의 입장에서는 좋은(?) 의도를 갖고 하는 행위이지만, 당하는 아이의 입장에서는 의도가 어찌 되었든 신체적인 고통은 똑같다고 느낀다는 것이었다.
가족주의, 이데올로기, 한국 사회의 문제와 나아가야 할 방향 등 거창한(?) 목적으로 이 책을 읽지 않더라도, 적어도 체벌과 폭력에 대해 새롭게 깨닫게 된 것만으로도 나는 이 책이 읽을 가치가 있다고 생각한다.

 

단순히 주장을 나열하는 것이 아니라 구체적인 자료들을 근거로 제시하며,
저자가 직접 현장에서 경험했던 내용들을 풍부하게 담아내어 더 직접적으로 와 닿는 책이다.
현재 부모거나, 부모가 될 예정인 사람들이라면 꼭 읽으면 좋을 책이라고 생각한다.
내 아이, 내 가족부터 달라진다면 자연스럽게 우리 사회도 '가족주의'에 대한 생각들이 서서히 바뀌어갈 것이라고 기대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이상한 정상가족 - 자율적 개인과 열린 공동체를 그리며
김희경 지음 / 동아시아 / 2017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내 가족부터 달라진다면 자연스럽게 우리 사회도 ‘가족주의‘에 대한 생각들이 서서히 바뀌어갈 것이라고 기대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아인슈타인의 시계, 푸앵카레의 지도 - 시간의 제국들
피터 갤리슨 지음, 김재영.이희은 옮김 / 동아시아 / 2017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시간, 전선, 철도, 지도, 제국, 그리고 물리학과 철학의 이야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아인슈타인의 시계, 푸앵카레의 지도 - 시간의 제국들
피터 갤리슨 지음, 김재영.이희은 옮김 / 동아시아 / 2017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시간, 전선, 철도, 지도, 제국, 그리고 물리학과 철학의 이야기

 

 

세계는 실시간으로 움직인다.
우리는 지구 반대편의 사람과 거리낌 없이 소통할 수 있다.
다른 나라의 시간이 궁금하면 스마트폰의 '세계시계'를 통해서 또는 인터넷으로 시간을 쉽게 알 수 있다.
생소한 나라가 있다면 지도를 검색해서 위치가 어딘지 찾을 수 있다.
그런데 그럼 이러한 편리함은 언제부터 어떻게 가능했을까?
현대를 사는 우리들은 아주 쉽고 편리하게 얻을 수 있는 이러한 정보들은 실은 수많은 사람들의 노력의 역사가 모여서 이루어진 것이다.
그리고 놀랍게도 여기에 아인슈타인의 상대성이론과 앙리 푸앵카레의 수학이 나온다!


이 책 <아인슈타인의 시계, 푸앵카레의 지도>는 '시간의 동기화', '시간의 좌표화'에 대해 이야기를 한다.
하지만 이러한 말이 어렵고, 수학이 싫고, 상대성이론의 내용이 무엇인지 궁금하지 않은 사람이라도 '시간과 지도의 역사'로 이 책을 읽을 수 있다.
우리가 몰랐던 아인슈타인과 푸앵카레의 관계도 재미있다.
책에서는 앞부분에 푸앵카레를 다루면서 아인슈타인보다 더 깊이 있게 다루는 듯하다.
사실 아인슈타인에 대해서는 어느 정도 알지만, 수학에 관심이 많지 않은 사람이라면 푸앵카레는 잘 못 들어본 사람도 있을 것이다.


19세기 후반부터 20세기 초반까지, 철도와 전신을 놓고, 무선 통신을 확산시키고, 식민지 제국을 건설하면서 시계와 지도는 발달했다.
그렇지만 각 나라마다 도량형이 다르듯 각자 정하는 시간과 위치가 달랐다.
시간이 달라지고 경도가 통일되지 않으면 지도에서 정확한 위치를 표기할 수가 없다.
그래서 전 세계인들은(물론 유럽과 미국인들 위주였지만) 시간(시계)과 지도를 통일시키기로 했다!
시간이라는 추상적인 개념을 구체화하면서 우리가 살고 있는 모든 것들과 연결을 시킨다는 게 쉬운 일이 아니다.
따라서 그러한 과정들이 어떻게 지나왔는지를 보는 것은 참으로 흥미로운 일이다.
그것도 방대한 조사를 통해서 책으로 썼다니 저자가 참 대단하다는 생각이 든다.


시계와 지도의 통일 못지않게 아인슈타인과 푸앵카레라는 동시대의 인물들의 역사적 기여도 주목할 만하다.
거의 비슷한 시대를 살았던 이 두 천재들은 서로 영향을 주고받으며 역사적 업적을 이룩했다.
이러한 내용들로 파악해보건대, 두고두고 읽으면서 소장할 만한 가치를 가진 책이다.
과학자, 역사학자, 과학철학자들이 보면 아주 좋겠지만, 관련 분야의 전문가가 아닌 일반인이 보더라도 즐거움을 줄 책이다.
비록 유럽 중심의 이야기가 펼쳐지더라도 그들의 업적은 퇴색되어서는 안 되기 때문이다.
아인슈타인의 상대성이론이 시계나 지도 제작(식민지 제국 건설)과 깊은 관련성이 있었다는 사실을 알게 된 것만으로도 이 책을 읽을 가치가 있다고 생각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중력파 과학수사대 GSI
오정근 지음, 정은규 그림 / 스토리존 / 2017년 4월
평점 :
구판절판


중력파 과학수사대 GSI와 함께 신기하고 재미있는 중력파 이야기로 모험을 떠나보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