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시 찾은 한국고대사 해외 유적
신형식 지음 / 주류성 / 2012년 6월
평점 :
품절


<다시 찾은 한국고대사 해외유적>

저자 : 신형식

 

 

고교시절 <다물>이란 책을 읽고 우리역사에 비상한 관심을 가졌었다.

함께 책을 읽었던 친구는 사학과에 진학하기도 했다.

하지만 어린 시절 고대사에 대한 관심은 나이가 들면서 차츰 사그러 들었다.

역사에 대한 꺼진 불씨가 최근 다시 살아나게 된 것은 순전히 책읽기 때문이다.

지난 3년 동안 나름대로 계획을 세워 책을 읽어왔다.

계획적이라고 하지만 지나놓고 보니 그것은 참으로 무작정이었고 닥치는 대로 읽었다.

역사와 철학이 바탕이 되지 않으면 깊이 있는 읽기가 되지 않겠다는 느낌을 가졌다.

이런 생각을 하고 있던 차에 <다시 찾은 한국고대사 해외유적>을 접하게 되었다.

이 책이 우리역사를 차근차근 공부할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을 것 같았다.

하지만 책을 받고 많은 시련이 있었다.

하는 일이 많아지기도 했고 가족들의 여름휴가가 있어 조용히 읽을 시간을 많이 확보하지 못했다.

시간은 오래 걸렸지만 바쁜 중 틈틈이 기록하며 밑줄 그으며 읽었기에 더 소중한 기억이 오래갈 것 같다.

이제 본격적으로 이 책에 대해 말해 볼까한다.

이 책의 저자는 신형식 교수로 오랫동안 우리나라 고대사를 연구해 온 학자이다.

저자는 우리 고대사의 실체를 확인하기 위해 다녔던 답사를 토대로 이 책을 썼다.

실제 유적지를 둘러보며 문헌의 한계를 넘고 현재 중국이 주장하는 동북공정의 문제점도 지적한다.

 

이 책의 내용과 구성은 다음과 같다.

1. 현대 고대사의 시대구분과 전개과정

2. 우리 고대국가(고구려, 백제, 신라, 발해)의 해외 유적 탐방과 해설.

3. 현재 우리가 알아야할 역사문제 제시

이런 내용을 좀 더 알차게 전달하기 위해서

다양한 사진자료들이 들어있고 각 장 뒤편에 ‘더 알아보기’를 두어서 이해를 돕고 있다.

그렇다면 저자는 고대사의 흔적들을 찾아 어디를 다녀와서 역사적 사실임을 증명하려 하는지 그 내용을 정리해보겠다.

 

먼저 고구려다.

고구려 문화유산을 대표하는 것은 산성과 무덤이라고 한다.

천리장성이라 일컬어지는 곳을 밟으면서 중국으로부터 우리나라를 지키는 방패역할을 했던 고구려의 실체를 확인했다.

또한 고구려는 다양한 사상을 가지고 있었다고 한다.

그 내용을 알 수 있는 것이 바로 무덤의 벽화들이다.

벽화의 내용과 그림은 화보로 잘 살펴볼 수 있다.

고구려는 그 지형적인 특징으로 유적과 유물이 대부분 지금의 중국 북서쪽에 위치해있다.

 

두 번째는 백제다.

백제는 한강유역을 중심으로 발달한 고대국가이다.

백제의 해외유적으로 일본지역을 주로 탐방하였다.

한 편 백제와는 아주 멀리 떨어져 있는 지금의 광서장족자치구에 남아 있는 백제의 흔적을 찾아갔다.

이로써 백제가 위로는 고구려 옆으로는 신라의 위협에 끼어 일본뿐 아니라 중국에도 그들의 문화를 전해주었음을 알 수 있다.

 

세 번째는 신라다.

삼국을 통일한 국가인 신라의 해외 유적은 한강유역을 차지한 이후의 것으로 주로 산동반도 일대에 흩어져 있다.

산동반도 일대의 신라촌들이 당시 서해을 통해 신라가 활발히 해상활동을 펼쳤던 것을 알 수 있다.

저자는 신라가 삼국을 통일한 것을 긍정적 입장으로 바라본다.

비록 영토와 인구수가 대폭 축소되는 통일이었지만 당시의 상황과 신라의 역할을 통해 통일의 의미를 찾아야한다고 말한다.

 

마지막 발해다.

고구려의 유업을 이은 발해의 유적은 두만강, 압록강의 북쪽이다.

발해는 300년 역사동안 5번의 천도로 수도가 4개가 된다.

그 중 저자는 동모산을 비롯한 일부 수도와 영광탑등을 둘러보며 만주지역을 차지했던 발해의 실체를 확인한다.

 

이 책의 장점은 무엇보다 실제로 찍은 많은 사진이다.

고대사 공부를 할 때 참고가 될 만하다.

저자가 갔던 곳을 실제 가볼 수도 있을 것 같다.

둘째, ‘더 알아보기’는 궁금할만한 내용을 선정하여 자세히 설명한 점이 돋보인다.

셋째, 동북공정의 잘못된 점등 몇가지 현재 우리가 가져야한 역사의식을 고취시킨 점도 좋다.

하지만 자주 보이는 오탈자와 반복되는 내용은 눈에 거슬렸다.

그리고 답사시기가 약 10여년전이라 현재성을 담기는 좀 부족하지 않을까 생각된다.

중학생이상이면 충분히 볼 수 있으며 학생의 경우 교과서를 읽으며 그림과 함께보며 이해가 쉬울 것 같다.

개인적으로 이 책을 통해 고대사를 대략적으로 정리할 수 있었다.

하지만 감히 고대사에 대한 평가를 할 처지는 아니라 저자의 입장에 대한 수용에 그친다.

 
type=text/javascript>//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