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 4 | 5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영혼들의 여행 - 우리는 왜 여기에
마이클 뉴턴 지음, 김도희.김지원 옮김 / 나무생각 / 1999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결국 이 책을 읽는 동안에

내가 이 책을 만난 것이 절대 우연이 아님을 알게 되었지만,

우연히 가까운 지인이 읽는 것을 보고 제목이 흥미를 끌어 읽게 된 책이다.

 

최면 요법을 통해 사람들에게서 전생의 기억외에도

사후 세계의 기억이 있다는 걸 알아낸 뉴튼 박사의 인터뷰 내용을 기록하고 있는 이 책은

그렇게 정리된 책이기에 더욱 사실적이고 현실적으로 느껴진다.

 

주어지 현실에 대한 고민과 방황속에 보낸 10~20대,

마음 속의 갈증을 풀기위해

기의 세계와 삶에 대해서 관심을 가지고 나름대로 많은 방황과 고민을 했었다.

그때 만난 대부분의 책들이 그린 사후세계는 어둡고 무섭고 두려운 세계,

그러나 이 책에 그려진 사후 세계는 얼마나 아름답고, 근사한가?

또 얼마나 따뜻하고 유머에 가득 차 있는가?

지금 우리가 살고 있는 현실은

우리의 배움을 위해서

모두 우리의 동의 속에서 이루어진 것이라는 책 속의 내용은

현실 또한 얼마나 아름답게 만드는가?

가끔 달아나고 싶고,  부수고 싶고, 바꿀수만 있다면 수 십번도 넘게 바꿨을 것 같은

숙명같은 현실이

스스로가 배움을 위햇 선택했다니!!

나를 제외한 세상 모두는 나의 배움을 위해서 존재하고 있다니,

현실은 아름다울 수 밖에 없는 것이다.  기꺼이 나를 위해 존재하므로

(그렇다고 현실속의 인간들의 더러운 탐욕과 이기심이 모두 온당하다는 것은 아니다.) 

 

 

읽어야 할 때가 되어야  자연스레 만난다는 것을 알지만,

만일

이 책을 20년만 일찍 만났더라면 나의 인생은 어떻게 되었을까?

(물론 그 때는 우리나라에 소개도 되지 않았지만)

그 고민많던 사춘기 시절에

이 책을 만났더라면 지금쯤 더 깊은 이해와 성찰을 가지고

하루 하루 더욱 가슴뛰는 삶을 살아가며

주위의 모든 이들에게 감사하는 삶을 살았을 것이고

아마 그때의 내 모습보다는 100배는 행복해하며 살았을 것 같다.

 

이 책을 읽고난 후 만나는 사람들 대부분에게

이 책을 소개한다.

소중하고 아름다운 책이다.

하루빨리 이 책을 만나는 행운이 여러분에게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페미니즘의 도전 - 한국 사회 일상의 성정치학
정희진 지음 / 교양인 / 2005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어떤 사람의 강의를 듣고 그것을 한 문장으로 표현한다는 것은 참으로 어려운 일이다. 그렇지만 명쾌한 강의 내용 때문인지 정희진 선생님의 여성학 강의는 한 문장보다도 짧은, 한 단어로 표현할 수 있을 것 같다.
 그것은 '칼날'이다.
 강의 듣는 내내 머리가 쉴 틈을 주지 않는 선생님의 해박한 지식 그 자체도 놀라웠지만, 냉철한 통찰력과 그 예리한 논리의 칼날 앞에서 '페미니즘'에 대한 스스로의 몰이해를 솔직히 인정하지 않을 수 없었다. 한마디 한마디가 구체성을 가지고 내 자신의 입장이 무엇이고 현재 내가 서 있는 곳이 어딘지, 그 동안 '척'하고 살아 온 나의 가면의 껍질을 예리하게 벗겨내었다. 그리고 어느 순간 스스로가 양파가 되어버리는 듯했다. 선생님의 강의 내용을 따라서 마치 페미니스트인 척 살아온 내 가면을 한 꺼풀 한 꺼풀 벗겨나가다 보니 나라는 놈이 적어도 페미니즘의 관점에선 진정성이 없는 가면의 덩어리일 뿐이어서 결국에 아무 것도 남아버리지 않을 것 같은 공포를 확인할 수밖에 없었다.
 정희진 선생님의 강의 내용 중 가장 기억에 남는 것은, 어떤 위치에서 봐야하는가 하는 근본적인 시점의 변화를 요구하는 대목이었다. 남성의 위치에서 여성 문제를 바라보는 것의 한계를 지적한 대목이다. 남성이라는 것 자체가 이미 권력의 위계에서 상층을 차지하고 있는 이상 그 위치에서 여성 문제를 바라보는 것은 이미 권력을 선점한 자본가가 노동자에게 시혜자적인 입장에서 어떤 문제에 접근하는 것과 다를 바 없다는 것이다. 그러나 여성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본다는 것은 가부장적인 한국사회에서 살아온 나에게는 내 뼈와 살뿐 아니라 피를 바꾸는 일처럼 어려운 일인지도 모른다.
 이런 선생님의 주장은 우리에게 여성운동과 관련해서 새로운 성찰과 아울러 근본적인 도전을 요구한다. 그리고 이러한 인식의 변화를 어떻게 운동으로 이끌어 가야할 것인가에 대한 진지한 고민도 요구한다.


 어설픈 페미니스트였던 나의 한계를 드러내준 최근의 대화 한 토막이 혹 정희진 선생님의 강의와 관련해서 생각해볼 점이 있는 것 같아, 소개하면서 이 글을 마치고자 한다.

나 : "주말이 딸 아이 생일이었는데 아침에 아내가 피곤한지 못 일어나기에, 밀린 설거지하고, 미역국 끓일 준비도 하고, 밥도 했어요. 그런데 뒤늦게 일어난 아내가 '고맙다'는 말도 안 하니까 섭섭한 마음이 들더라고요. 그런 표현 좀 하면 더 잘하고 싶은 마음이 들텐데… "
어느 여선생님 : "그래요. 근데 그거 당연하잖아요. 평상시에 아내가 밥해주면 고맙다고 하시나요?"
나 :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 4 | 5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