햄릿 꿈결 클래식 2
윌리엄 셰익스피어 지음, 백정국 옮김, 김정진 그림 / 꿈결 / 2014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어릴 때 우리집엔 셰익스피어 작품집이 있었다.

꽤 두꺼운 네 권의 책으로 되어 있었는데 세로줄로 쓰여 있는 책이었는데다 한자도 섞여있는가 하면

조그마한 글씨로 각주도 깨알같이 달려 있어서 그 책을 읽으려면 자를 대고 읽어야 했다.

그렇지 않으면 같은 줄을 반복해서 읽게 되거나 건너뛰는 일이 발생하곤 했기 때문에.

읽기 쉬운 책이 아니었지만 어린 아이들을 위해 줄거리 위주로 엮은 책이 아닌

원문을 번역한 희곡으로 된 셰익스피어 작품집이었기 때문에 무척 읽고 싶었던 나는 틈나는대로 읽었다.

무지 유명한 고전인데 어렵지 않을까 하고 지레 짐작했던 것과 달리 셰익스피어 희곡들을 어렵지도 않고 오히려 무척 재미있었다.

특히 그 대사와 표현들은 베껴적거나 외워둘만큼 맘에 드는 것도 참 많았다.

햄릿, 맥배드, 오델로, 리어왕, 한여름밤의 꿈, 당신 뜻 대로, 로미오와 줄리엣 등등. 다른 어떤 책보다 재미나게 읽었던 기억이 있다.

다만 읽는 내내 생각했던 것 한 가지가 "왜 이 책이 그렇게 유명한가?" 하는 거였다.

참신하지 않은 줄거리, 어려울 것 없는 이야기 책이 뭐 그리 유명할 이유가 되었나 했던 것.

그래서 중학생이었던 나는 나름대로 결론짓기를, 아마 번역본이 아닌 원서로 그러니까 영어로 읽으면 그 맛이 달라지는 모양이다. 하고 생각했다.

말하자면, 사느냐 죽느냐 그것이 문제로다. 이런 말은 굳이 햄릿이 아니라도 그러니까 셰익스피어가 아니라도 누구나 할 수 있는 말이지만

To be or not to be that is the question. 이런 표현은 단순하고 일상적인 표현은 아닐거라고 생각했던 것이다.

햄릿의 번뇌와 괴로움 같은 것보다는 일을 똑똑히 해결하지 못해 결국 다 죽는걸로 끝맺음 되어버린 것이 못마땅했고

특히 아무 죄 없는 오필리어가 죽어버린 건 내가 책의 결말을 다시 쓰고 싶을 정도로 애석했더랬다.

게다가 어렸던 나는 '겨우 그깟 일'로 정신을 놓아버린 오필리어가 이해 되지 않기도 했고...

햄릿은 영화로도 몇 번 본 기억이 있다. 영화였지만 연극을 찍어 영화로 상영한 듯한 그런 느낌을 받았던 그 영화는 내 기억속에는 흑백으로 남아 있다.

햄릿의 죽은 아버지가 유령으로 등장하는 대목이 특히 생각나는데 캄캄한 어둠속, 하얗게 안개가 피어오르는 몽롱한 가운데 머리에 왕관을 쓴 유령이 나타난다.

그 모습은 내가 흔히 상상하던 귀신, 즉 소복입고 머리 풀어 헤치고 창백한 얼굴에 피 한줄기 흘리는 전설의 고향식이 혼령이 아니어서 으스스한 느낌도 없었지 싶다.

그런데...

 

꿈결 클래식에서 청소년과 성인들을 위한 고전들을 출간하고 있다.

1권이 데미안이었고, 2권이 바로 이 책 햄릿인데 원문에 충실하면서도 가독성과 이해를 떨어뜨리지 않는 범위에서 번역을 하고자 했다고 역자는 쓰고 있다.

그리고 그 책엔 이렇게 삽화가 함께 들어 있는데 내가 어릴때부터 여러번 읽으며 상상했던 햄릿, 영화로도 보며 머리속에 저장되어 있던 햄릿과 사뭇 달라서

솔직히 삽화를 볼때마다 흠칫 놀라곤 했더라는 그런 이야기.. ㅎ

음.... 덴마크 왕이 그 시절 정말 저렇게 생겼더란 말이야? ....

암튼 다시 읽는 햄릿도 재미있었다.

흔히들 햄릿과 동키호테를 비교하곤 한다. 고뇌하는 인간형 햄릿이냐 도전부터 하고보는 동키호테냐 하고 말이지.

어릴땐 햄릿이 잘 이해되지 않았다. 뭐 하는 짓이야... 아 답답해. 결국 다 죽었잖아.. 햄릿 네가 바란 게 이거였어? 이런 생각을..

그런데 지금 읽으니 이제는 그 고민과 번뇌가 이해되는..

개인적으로 기억에 남는 부분이 있다.

아버지를 죽이고 왕의 자릴 차지하고 자신의 형수인 햄릿의 어머니와 재혼한 클로디어스에게 복수하려는 햄릿에게 기회가 있었다.

클로디어스가 기도를 하는 대목이었는데 아무도 없으니 게다가 클로디어스가 방어태세가 아니었으니 절호의(?) 기회였는데 햄릿은 그때도 주저한다.

아니지, 지금 죽이면 저렇게 참회를 마친 후 죽음을 맞이하는게 되므로 지옥으로 가야 할 사람이 지옥으로 가지 못하지 않겠냐며...

나는 그 대목이 퍽 인상적이었다. 비슷한 이야기를 햄릿의 아버지인 유령도 한다.

미처 고해와 참회의 기도도 하지 못하고 죄가 많은 시점에 급작스럽게 죽임을 당하는 바람에 자신이 떠돌고 있음을 이야기 한 것. ​

그 시절의 내세관, 구원관, 믿음은 저러했던 걸까. 하고...

어쨌거나 꿈결에서 출간한 햄릿은 책 뒷부분에 해제도 수록되어 있어 글을 읽은 후 작가와 작품에 대해 보다 더 자세히, 다각도로 이해하도록 돕고 있는데

나는 정신분석학적 접근이나 페미니스트적 접근 신역사주의적 접근 같은 건 솔직히 잘 모르겠고 오직

사느냐 죽느냐 그것이 문제로다. 했던 존재에 대한 질문을 던지게 된 그 배경과 그 이야기들 그 고뇌에 이르기까지 그리고 그 과정을 이야기 하는

이 스토리 자체에 큰 매력을 느끼며 읽었다. ​

꿈결의 햄릿은 삽화와 각주, 해제를 수록하고 있어 많고 많은 햄릿들과의 차별화 된 점이라고 볼 수 있겠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