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햄릿 ㅣ 꿈결 클래식 2
윌리엄 셰익스피어 지음, 백정국 옮김, 김정진 그림 / 꿈결 / 2014년 9월
평점 :
어릴 때 우리집엔 셰익스피어 작품집이 있었다.
꽤 두꺼운 네 권의 책으로 되어 있었는데 세로줄로 쓰여 있는 책이었는데다 한자도 섞여있는가 하면
조그마한 글씨로 각주도 깨알같이 달려 있어서 그 책을 읽으려면 자를 대고 읽어야 했다.
그렇지 않으면 같은 줄을 반복해서 읽게 되거나 건너뛰는 일이 발생하곤 했기 때문에.
읽기 쉬운 책이 아니었지만 어린 아이들을 위해 줄거리 위주로 엮은 책이 아닌
원문을 번역한 희곡으로 된 셰익스피어 작품집이었기 때문에 무척 읽고 싶었던 나는 틈나는대로 읽었다.
무지 유명한 고전인데 어렵지 않을까 하고 지레 짐작했던 것과 달리 셰익스피어 희곡들을 어렵지도 않고 오히려 무척 재미있었다.
특히 그 대사와 표현들은 베껴적거나 외워둘만큼 맘에 드는 것도 참 많았다.
햄릿, 맥배드, 오델로, 리어왕, 한여름밤의 꿈, 당신 뜻 대로, 로미오와 줄리엣 등등. 다른 어떤 책보다 재미나게 읽었던 기억이 있다.
다만 읽는 내내 생각했던 것 한 가지가 "왜 이 책이 그렇게 유명한가?" 하는 거였다.
참신하지 않은 줄거리, 어려울 것 없는 이야기 책이 뭐 그리 유명할 이유가 되었나 했던 것.
그래서 중학생이었던 나는 나름대로 결론짓기를, 아마 번역본이 아닌 원서로 그러니까 영어로 읽으면 그 맛이 달라지는 모양이다. 하고 생각했다.
말하자면, 사느냐 죽느냐 그것이 문제로다. 이런 말은 굳이 햄릿이 아니라도 그러니까 셰익스피어가 아니라도 누구나 할 수 있는 말이지만
To be or not to be that is the question. 이런 표현은 단순하고 일상적인 표현은 아닐거라고 생각했던 것이다.
햄릿의 번뇌와 괴로움 같은 것보다는 일을 똑똑히 해결하지 못해 결국 다 죽는걸로 끝맺음 되어버린 것이 못마땅했고
특히 아무 죄 없는 오필리어가 죽어버린 건 내가 책의 결말을 다시 쓰고 싶을 정도로 애석했더랬다.
게다가 어렸던 나는 '겨우 그깟 일'로 정신을 놓아버린 오필리어가 이해 되지 않기도 했고...
햄릿은 영화로도 몇 번 본 기억이 있다. 영화였지만 연극을 찍어 영화로 상영한 듯한 그런 느낌을 받았던 그 영화는 내 기억속에는 흑백으로 남아 있다.
햄릿의 죽은 아버지가 유령으로 등장하는 대목이 특히 생각나는데 캄캄한 어둠속, 하얗게 안개가 피어오르는 몽롱한 가운데 머리에 왕관을 쓴 유령이 나타난다.
그 모습은 내가 흔히 상상하던 귀신, 즉 소복입고 머리 풀어 헤치고 창백한 얼굴에 피 한줄기 흘리는 전설의 고향식이 혼령이 아니어서 으스스한 느낌도 없었지 싶다.
그런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