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약 성서, 새로운 삶의 희망을 전하다 주니어 클래식 12
박경미 지음 / 사계절 / 2014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사계절 출판사에서 펴낸 주니어 클래식 시리즈 중의 한 권 <신약 성서, 새로운 삶의 희망을 전하다> (박경미)를 읽었습니다.
이화여대 기독교 학과 교수님이 쓴 책으로, 성경을 종교적인 입장에서 본 경전으로서가 아니라 믿음 없는 사람도 교양서적으로 읽을 수 있도록 되어 있어요. 청소년 대상이라 어렵지 않고 그렇다고 또 가볍지만은 않은 책이에요.
언제나 예배하고 성경을 읽고 가까이해 온 그리스도인들도 신약성서가 쓰인 혹은 활동 무대였던 그 시대의 정치, 경제적 배경을 다 알고 있지 못하지요.  이 책에서는 그 시대를 이해할 수 있도록 역사적 관점에서 글을 쓰고 있네요.
지도, 삽화, 사진 등이 책의 깊이를 더해주어 청소년 이상 일반인들이 읽기에도 좋을 것 같습니다. 성경을 읽는 또 하나의 시각을 갖게 되기도 할 것 같아요.
우리는 그 시대를 살아본 적도 없고 그 시대상이 지금 우리네 형편과 사뭇 달랐기 때문에 (시간, 공간, 역사, 문화, 언어... 모두 상상하고 짐작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지요.)  신약 성서가 기록된 당시의 상황을 우리가 이해하기는 어려운 점이 많아요.
그래서 성경을 읽으면서도 그 내용을 다 이해하고 알아서 은혜를 누린다기보다는 은혜는 다른 데서 입는 경우가 더 많지요.
그런데 이런 책을 읽다 보면 신약 성서가 쓰인 그 현장으로 옮겨 간 느낌도 듭니다. 예수 그리스도가 활동한 1세기 팔레스타인의 상황을 어느 정도 알게 되면서 성서가 쓰인 배경이나 성서 기자의 목적까지도 이해하게 되고 더 나아가 예수 그리스도의 활동과 가르침을 알게 되지요.

저자는 현재 이화여대 기독교 학과 교수로 재직 중인데 정치, 사회, 역사와 분리된 성서 연구의 한계를 느껴 성서와 그것이 쓰인 시대를 연결하는 작업을 하고 있다고 해요.

특별히 이 책의 장점(?)이랄까 읽으며 좋았던 점은 저자의 관점이었습니다. 

오늘날 우리의 삶 속에서 제기되는 문제의식으로 성서를 읽어 힘없고 작은 자들의 소리에 귀를 기울이고 삶의 진정한 가치를 옹호하기 위해 노력할 것이라는 그 관점.

한편 그리스도인으로서 살짝 우려되었던 점은 성경을 직접 읽지 않았거나, 믿음을 갖고 있지 않은 사람들이 단순히 교양서적으로만 이 책을 읽고서 이 관점과 해석만이 전부 인것으로 받아들이면 곤란하지 않을까 하는 점이었어요. 오히려 이 책을 통해 예수 그리스도의 참된 모습과 가르침을 알게 되고 믿음을 갖게 되는 길이 되기를 바라 봅니다.

<신약 성서, 새로운 삶의 희망을 전하다>(박경미)는 앞서 모두에서도 썼듯이 주니어 클래식 12권 중의 한 권이고 다른 11권은 무엇인지 궁금해서 찾아보니 마르크스의 자본, 판도라의 상자를 열다 (강신준), 호모 루덴스, 놀이하는 인간을 꿈꾸다 (노명우), 중용, 극단의 시대를 넘어 균형의 시대로. (신정근), 아리스토텔레스의 정치학, 행복의 조건을 묻다 (유원기), 갈릴레오의 두 우주 체계에 관한 대화, 태양계의 그림을 새로 그리다 (오철우), 프로테스탄트 윤리와 자본주의 정신, 노동의 이유를 묻다 (노명우), 플라톤의 국가, 정의를 꿈꾸다 (장영란), 리바이어던, 근대 국가의 탄생 (박완규), 논어, 사람의 길을 열다 (배병삼), 종의 기원, 자연선택의 신비를 밝히다 (윤소영), 소크라테스의 변명, 진리를 위해 죽다 (안광복) 이렇게 있네요.

 

신약성서, 새로운 삶의 희망을 전하다. 목차도 좋아서 옮겨봅니다.   

프롤로그
1세기 팔레스타인의 상황과 예수의 하나님 나라 운동 _ 17
산 위의 예수
1. 행복하여라, 가난한 사람들! _43
2. 하늘의 새와 들에 핀 꽃을 보라 _ 59
3. 원수를 사랑하라 _ 79
예수의 하나님 나라 비유들
4. 사마리아인 비유, 화해와 우정의 이야기 _ 103
5. 잃은 아들 비유, 관용과 자비의 이야기 _ 117
6. 누룩 비유, 긍정과 축복의 이야기 _ 132
예수의 공동체 회복 운동
7. 사람이 주인이다 _ 151
8. 예수의 기적 이야기들 _ 169
9. 예수와 밥상 공동체 _ 190
부활 신앙과 교회의 성립
10. 예수의 부활이란? _ 209
11. 교회의 성립과 발전 _ 217
바울과 초기 기독교
12. 바울의 회심과 그가 남긴 편지들 _ 227
13. 보편 종교를 향하여 _ 246
14. 바울 이후, ‘하나님의 집’ _ 251
15. 신약 성서의 형성 _ 268
에필로그
행복하여라, 가난한 사람들! 행복하여라, 지혜로운 사람들! _ 283

아는 것으로 그치지 않고, 그리스도의 가르침과 사랑을 행하고 전하며 살아갈 수 있어야 하겠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