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족자비안 나이트 - 족자카르타 선교사 이야기 ○○비안 나이트 1
손창남 지음 / 죠이선교회 / 2008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선교나 선교사에 대한 이야기를 듣거나 글을 읽다보면 으레 초자연적인 기적에만 맞추어진 내용들이 많다.

'족자비안 나이트도 그런 내용이겠지...'라는 생각을 하며 펼쳤다.

솔직히 '아라비안 나이트'의 짝퉁쯤으로 흥미 위주의 책일 것이라는 생각도 들었다.

하지만 이 책은 좀 달랐다.

초자연적인 기적들에 대한 이야기는 거의 없었다.

물론 하나님께서 기적적으로 역사하시는 일들은 많이 있었다.

기도하고 바라는 것들에 대해서 하나님께서 역사하실 때 그런 기적이 일어났다.

그렇다고 죽은 사람이 일어나고 죽을 병에 걸린 사람들이 고침받고 하는 기적은 없었다.

어쨌든 하나님께서 일하시는 것은 그때그때 상황과 여건에 맞는 가장 멋진 기적을 베풀어 주시는 것을 믿는다.

 

책의 내용은 10년 간의 선교에 대한 내용이 90%이상이다.

나머지 10% 정도는 선교를 떠나기 전과 선교를 마치고 돌아온 후에 대한 내용이다.

선교지에서의 10년 간의 사역에 재밌었던 일들을 통해 힘들고 어려운 사역도 기쁨과 감사로 행할 수 있었음을 쓰고 있다.

하지만 기쁘고 감사할 일들만 있었던 것은 아니다.

슬프고 눈물 나는 일들도 때때로 있었다. 이 책을 손에서 놓을 수 없도록 하는 것이 바로 이 부분이었다.

재밌는 이야기를 열심히 읽고 있을 때 툭 튀어나오는 슬픈 이야기는 책을 통해 선교에서 벌어질 수 있는 일을 말하는 듯하다.

사람 사는 곳이니 기쁜 일도, 슬픈 일도 있을 수 있다지만 선교 중의 슬픈 일들은 더욱 힘들게 할 것이라는 생각이 든다.

 

또한 이 책을 읽는 독자들은 선교에 대해 진지하게 생각해 볼 수 있을 것이다.

대부분 선교가 그저 헌신만 하면 된다는 생각을 했던 나였다.

이 책을 읽으면서 정말 기도와 기도의 후원이 엄청나게 필요하다는 것을 깨달았다.

정말 저자처럼 하루하루 하나님의 말씀을 묵상하고 그 말씀에 의지해서 선교하지 않으면 절대 할 수 없는 일이라는 생각도 들었다.

선교를 하고 싶다고 아무나 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는 생각이 들었다. 왜냐하면 나도 중국 선교에 대한 생각이 있었기 때문이다.

 

이 책을 꼭 추천하고 싶은 사람들이 있다.

진정으로 선교에 갈망하고 있는 사람들이다.

이 책은 선교의 교과서다. 선교를 떠나려면 이 책을 꼭 읽어야 한다.

이 책은 선교를 위한 책이며, 선교를 하고 있는 분들에게 꼭 필요한 책이다.

특별히 선교에 대한 생각을 바꾼 부분이 '현지인이 사역하게 하는 것'에 대한 내용이다.

그러면서 선교사는 선교지에 부채를 들고 가야지 자기의 불씨를 가지고 가면 안된다는 내용이 가슴에 와 닿았다.

정말 '선교한국'이라는 이름에 걸맞게 미국 다음으로 선교사를 많이 보내고 있다.

그런데 그들이 그곳에 가서 불씨를 꺼트린다면 하나님께서도 기뻐하지 않으실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선교에 대한 생각을 다시 갖기 위해서라도 이 책은 이 땅의 그리스도인들이 모두 읽어야 할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거침없이 빠져드는 기독교 역사 - 미처 알지 못했던 재미있는 기독교 이야기
유재덕 지음 / 브니엘출판사 / 2008년 9월
평점 :
구판절판



그 누가 역사가 딱딱하고 따뿐한 것이라고 했던가?

역사라고 하면 대부분의 사람들이 따분할 것이라는 선입견을 갖을 것이다.

하지만, 이 책은 제목처럼 따분할 수가 없다. 정말 거침없이 빠져들기 때문이다.

역사에는 의례히 어려운 말들이 쏟아져 나올 것이라는 생각과 알지도 못하는 인물들에 대해 주저리주저리 쓰인 것이라 생각하기 쉽다.

반면에 이 책을 읽는 독자들은 그런 걱정을 하지 않아도 된다.

저자는 철저히 내용을 풀어 쓰고 있다. 마치 소설을 읽는 것처럼 말이다.

역사의 한 페이지를 장식한 인물들도 마치 소설 속의 등장인물처럼 표현한 것이 좋다.

이런 글쓰기는 역사 책이라는 거부감을 단번에 날려 버렸다.

또한 역사라고 하면 몇 년도에 무슨 일이 있었고, 몇 년도에는 이런 일이 있었다는 식의 내용일 수밖에 없다.

하지만 저자는 1장부터 12장까지 글을 쓰면서 결코 각 장이 따로따로 구성하지 않았다.

각 장이 끝나면서 다음 장과 이어질 수밖에 없는 구성은 책을 결코 손에서 놓을 수 없도록 한다.

특별히 기독교 인이라면 누구나 궁금해할 부분만 쏙쏙 들어오도록 글을 구성하고 쓴 것도 따분함을 날려 버릴 수 있게 한 것 같다.

 

또한 이 책에서 좋은 점은 미처 알지 못했던 부분에 대해 말하고 있다는 것이다.

바로 내용에 대한 것이다. 우리가 쉽게 접할 수 있는 내용과 그렇지 않고, 많은 책들을 참고해야 하는 내용들이 골고루 섞여 있다.

꼭 여러 가지 곡물을 넣고 만든 선식과 같은 느낌이다. 한 잔을 마시지만 모든 영양소와 많은 곡물을 한꺼번에 먹는 듯하다.

사실, 내용에 있어서는 많은 역사책들이 있기 때문에 특별히 다를 것이 없을 것 같다.

솔직히 필자도 그럴 것이라는 생각을 갖고 이 책을 읽은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저자는 이런 나의 생각을 단 번에 날려 버렸다. 몰랐던 신선한 내용을 읽어 내려가면서 '와~'라는 감탄사가 절로 나온다.

그리고 이 책의 내용에 있어서의 특징은 그 내용들이 절대 교과서적인 분위기를 따르지 않은 것이 아주 좋다.

혹 교과서처럼 딱딱할 것이라고 생각한다면 기독교의 역사와는 영영 담을 쌓아야 할 것이다.

하지만 이 책을 통해 분명 기독교의 역사를 재밌게 읽을 수 있을 것이고 또 그 안에 역사하신 하나님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그저 광범위한 세계사에 대한 이야기가 아니라 기독교, 나와 이 글을 읽는 사람들에 대한 뿌리를 말하는 것이기 때문에 더욱 이 책이 귀하다.

가장 의미 있는 것은 12장이다.

대부분 역사라고 하면 과거에 대한 일에 매이는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이 책의 저자는 미래를 말하고 있다. 어떻게 역사책에 미래를 말할 수 있을까?

예언서도 아닌데 말이다. 그것은 역사에 대한 철저한 분석에서 오는 것임을 확인할 수 있다. 바로 12장에서 말이다.

그저 역사를 짚어 보는 것으로 끝나지 않고, 아주 적은 페이지(1-2페이지 정도)를 할애하고 있지만,

이것은 역사에 대한 새로운 관점을 제시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이 책에서 가장 흥미롭게 읽을 수 있었던 것이 바로 사진과 그림이다.

거의 매 장마다 있는 그림이나 사진은 이 책을 읽는 독자들로 하여금 역사의 한 페이지를 직접 목도하도록 돕고 있다.

읽는 것보다 보는 것이 낫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기독교의 역사를 새롭게 정립하고 싶은 독자들에게 적극 추천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