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글 박물관 - 글누리의 모음
박창원 지음 / 책문 / 2011년 12월
평점 :
품절


  생각해보니 학창시절 국문과 전공자임에도 불구하고 ‘한글’에 대해 깊이 연구해보지 않았다. 세계인들이 극찬하는 한글이라고 누누이 들어왔지만 왜 그런지에 대해서도 큰 관심이 없었던 것 같다. 지금도 일본어, 중국어 등 다른 외국어에 대한 관심이 한글에 대한 관심을 앞서는 게 사실이다. 그도 그럴 것이 모국어란 공기와 같은 존재 아닌가. 그것이 아무리 뛰어나고 좋은 것이라고 해도 어려서부터 자연히 접해온 언어에 큰 애착을 갖기는 힘들지 않을까. 어쩌다가 외국인을 만나면 나는 단소, 아리랑, 산수화와 같은 여러 가지 것들을 한국의 자랑스러운 유산으로 나열하곤 했다. 하지만 한글은 선뜻 떠오르지 않았다. 하지만 아는 만큼 보인다고 이 책 한글박물관과 같은 책을 읽으며 새삼 한글에 대한 자부심을 느끼게 되었다. 더불어 다른 세계의 언어들에 대한 전반적인 지식을 갖게 된 것도 기분 좋은 일이다.

 

  한글박물관은 처음엔 뿌리깊은 나무 열풍에 힘입어 나온 책일 거라고 생각했는데 2011년 우수저작 및 출판지원사업 당선작으로 꽤 오랜 시간과 저자의 정성이 보태어 출간된 책인 듯하다. 책이 학창시절 교과서처럼 생겨서 다시 학창시절로 돌아간 기분을 느낄 수 있었다.

8장의 훈민정음 창제 이전의 문자생활을 읽으면 세종의 업적이 백성에 대한 커다란 애정에서 나온 것임을 실감하게 된다. 한글이 창제되지 않았다면 심청전, 춘향전, 홍길동전과 같은 소설들은 세상의 빛을 보지 못했을지도 모른다.

 

  세계문자사에 대한 챕터는 다소 어려웠지만 모든 언어는 조금씩은 영향을 주고받는다는 것을 알려주었다. 벽화로 남아있는 그림문자들을 보면 인간의 언어에 대한 욕망이 벽화 밖으로 새어나올 것만 같다. 그림에서 시작한 언어는 오랜 기간을 통해 발전해서 소설, 시와 같은 예술품을 창조하는 도구가 된 것이다.

 

  내가 가장 흥미롭게 읽은 부분은 <남북 공동 작업을 위한 제언>부분이었다. 서로 다른 환경에서 발전해온 남한과 북한의 언어를 서로 인정하고 창조적 조화를 이루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는 내용이었다.

  그러고 보니 북한방송을 통해 북한의 언어를 접하면 일단 우스꽝스럽고 촌스럽다는 생각부터 했고 당연히 남한쪽의 언어로 통일을 해야 한다고 생각했었다. 통일이 될 때를 대비해서 남북의 언어통일에 대한 노력도 미리 이루어져야 한다는 생각을 하며 책을 덮었다. 한글에 대해 더 크고 구체적인 자부심을 갖게 해준 귀한 독서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