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영하는 사람들 - 이스트런던 동네 수영장의 내면
매들린 월러 지음, 강수정 옮김 / 에이치비프레스 / 2019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책을 화장실에 들고 가서 끝이 날 일을 미리 걱정하는 분이 많지는 않을 거라 생각합니다. 여러 번 다시 봐도, 물속을 떠올리며 생각에 잠기게 합니다. 묵상, 명상, 뭐라고 불러야 좋을지 모르겠지만, 수영을 좋아하는 분 모두에게 권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문학비평에서의 실험 동문선 현대신서 103
C.S. 루이스 지음, 허종 옮김 / 동문선 / 2002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은 해적판입니다. 홍성사에서 2017년에 출간된 <오독>이 정식 번역본입니다. 번역도 좋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최초의 집 - 열네 명이 기억하는 첫 번째 집의 풍경
신지혜 지음 / 유어마인드 / 2018년 9월
평점 :
품절


<<최초의 집>>(신지혜 지음, 유어마인드, 2018년)은 2010년대에 한국에 살고 있는 열네 명에게 “첫 번째 집”의 기억을 묻고 그 대답을 글과 그림으로 기록한 책이다. 저자는 책에서 인간에게 특별한 형식의 공간인 ‘집’과 인간이 관계를 맺는 여러 방식을 보여 준다. 책을 읽고 나면 집, 즉 공간이 인간의 삶과 함께 변화한다는 사실을 알게 된다.


열네 명의 인터뷰이는 첫 번째 집을 하나의 “세계”로 기억한다. 첫 번째 집은 단순히 건물 한 채가 아니라, 기억하는 모든 첫 번째 경험이 일어난 장소다. 인간이 경험을 공간과 함께 기억하기 때문이다. 처음으로 사랑한 가족과 처음으로 함께 논 친구가 첫 번째 집에 있다. 그래서 “열네 명이 기억하는 첫 번째 집의 풍경”은 “저마다” 다른 세계이다. “남들도 다 그렇게 사는 줄 알았다”고 한 인터뷰이가 말하듯이 첫 번째 집에 사는 한 우리는 이 사실을 모른다.(<오준섭>, 99쪽) 아버지가 13층 아파트 발코니를 야생의 “밀림처럼” 가꾸어 비둘기가 둥지를 짓고 알을 나은 적이 있는 사람에게, 아파트라는 공간은 무엇을 의미할까? “아파트가 삭막하다는 말도, 사람은 땅과 가까이에 살아야 한다는 말도 그에게는 이해 못할 이야기다.”(<김민>, 253쪽) 첫 번째 집의 모든 것은 “원래 있던 것”이기도 하다. 유일하게 태어난 집에서 계속 살아온 인터뷰이는 자신의 집을 “어떻게 설명”할지 모르겠다고 말한다.(<한승희>, 105쪽) 차이를 경험해야 비로소 “설명할 말”이 생긴다. 태풍이 왔을 때 바람에 날려 집 옆 논둑에 떨어져 본 사람에게, “집의 풍경”은 무엇을 의미할까?(<박현태>, 57쪽) 


이 책의 핵심 문장은 이것이다. “집도 변화한다.” 가구가 “공간의 성격”을 결정하고, “시간이 흐르고 삶의 형태가 변하면서” 한 집이 두 집으로 나뉘고, 집이 클수록 집의 개별 기능이 별개의 공간으로 독립한다. 무엇보다 집이 변화한다는 사실을 뚜렷하게 보여 주는 곳은 거실이다. 


한국의 집에서 거실은 형태와 기능이 크게 바뀌어 왔다. 전통주택에서 오늘날 거실의 역할은 안방이 맡았다. 단독주택 양식이 들어온 뒤에도 한동안 안방이 거실로 쓰였다. “가족은 안방에서 텔레비전을 보며 함께 시간을 보내고 상을 펴 다 같이 식사했다.”(<이수찬>, 77쪽) 1985년 부산에 지어진 한 상가주택은 아예 거실 없이 처음부터 안방이 거실을 겸하는 공간으로 설계되었다.(<남명화>, 129쪽) 아파트가 들어온 뒤에도 사람들은 거실이 있어야 할 자리를 결정하지 못했다. “아파트가 도입된 초기에는 거실을 어디에 배치할지, 어떤 방과 가까이에 둘지, 무슨 용도로 사용할지 불분명했다. (...) 그래서 초기의 아파트에는 거실이 아예 없거나 있어도 진아 씨네 거실처럼 분리할 수 있게” 거실 입구에 문을 달았다.(<허진아>, 187쪽) 거실이 “집의 중심 공간”으로, 즉 “집 한가운데에 자리를 잡고 (...) 다른 방으로 가려면 거실을 통과해야 하는” 구조가 자리 잡고 크고 작은 행사를 치르는 공간으로 쓰이면서 문이 사라졌다. 하지만 거실은 여전히 가장 넓지만 가족 누구도 활용하지 않는 공간,(<라야>, 205쪽) 단순히 “생활하고 잠자는 공간” 즉 방으로 쓰이기도 한다.(<장재민>, 227쪽) 




이 책은 “집에 대한 관심과 사랑”에서 태어난 책이다.(<서문>, 7쪽) 열네 명의 사람이 자신의 집과 가족을 사랑하는 열네 가지 방식을 보여 주는 책이기도 하다. 책을 읽으면서, 나 역시도 나의 첫 번째 집을 사랑해 왔다는 사실을 뒤늦게 깨달았다. 지금 내가 살고 있는 이 집이 나에게 무엇을 의미하는지 곰곰 생각해 보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문학의 기쁨
금정연.정지돈 지음 / 루페 / 2017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은 즐겁다. 기쁨이기도 할까? 그랬던 것 같다. 이 책은 정말 사랑스럽다. <문학의기쁨2>를 어서 달라x2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9개의 상품이 있습니다.

흐름이 보이는 세계사 경제 공부- 세계사에서 포착한 경제의 전환점 51
미야자키 마사카츠 지음, 황선종 옮김 / 어크로스 / 2018년 5월
16,000원 → 14,400원(10%할인) / 마일리지 800원(5% 적립)
2018년 05월 24일에 저장
절판

처음 읽는 여성 세계사- 그 많던 역사 속 여성들은 다 어디로 사라졌을까
케르스틴 뤼커.우테 댄셸 지음, 장혜경 옮김 / 어크로스 / 2018년 3월
17,800원 → 16,020원(10%할인) / 마일리지 890원(5% 적립)
2018년 05월 24일에 저장
절판

유대인 이야기- 그들은 어떻게 부의 역사를 만들었는가
홍익희 지음 / 행성B(행성비) / 2013년 1월
28,000원 → 25,200원(10%할인) / 마일리지 1,400원(5% 적립)
*지금 주문하면 "내일 수령" 가능
2018년 05월 24일에 저장

부의 역사- 대항해 시대에서 석유 전쟁까지
권홍우 지음 / 인물과사상사 / 2008년 6월
16,000원 → 14,400원(10%할인) / 마일리지 800원(5% 적립)
2018년 05월 24일에 저장
절판



9개의 상품이 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