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1 | 12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산신 - 한국의 산신과 산악 숭배의 전통
데이비드 메이슨 지음, 신동욱 옮김 / 한림출판사 / 2000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외국인이 쓴 책임에도 한국의 산신신앙에 대해 풍부한 자료와 정보를 제공하는 책. 올컬러에 매우 양질의 자료들이 많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日本甲胄史〈上卷〉彌生時代から室町時代 (大型本)
中西 立太 / 大日本繪畵 / 2008년 8월
평점 :
품절


일본 고대 갑주/병기에 대한 도록.고대 한국의 군사문화재와 비교해 보는 것도 좋다. 다만 설명은 자세하지만, 그림 퀄리티가 오스프리만큼 좋지는 않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속.중세 유럽의 무술 에이케이 트리비아북 AK Trivia Book
오사다 류타 지음, 남유리 옮김 / AK(에이케이)커뮤니케이션즈 / 2014년 2월
평점 :
품절


'속.중세 유럽의 무술'은 기존에 출간된 '중세 유럽의 무술'의 개정증보판이다.

일단 내용은 상당히 충실한 편이다. 다양한 무술의 자세를 알기 쉽게 그림과 더불어 해설하고 있으며, 서양의 무기에 대한 다양한 정보와 실측자료, 삽화자료도 정확한 출처와 같이 실려있다.

일각에서는 무술에 대한 책이라면서 군더더기같은 무기 자료가 왜 실려 있는지에 대해 의문을 품는 사람들도 있지만, 달리 보자면 이 방면에 무지한 부분이 많은 새내기들에게는 쉽게 다방면의 자료를 참고할 수 있는 책이 될 것이다. 특히 기존에 국내에 소개된 판타지 라이브러리 시리즈가 국내의 매니아 계층 내부에서도 여러 비판을 받은 지 오래일 정도로 오류가 많고 출처도 불확실한 점을 고려한다면, 보다 정확한 내용과 확실한 출처, 기존 서적들보다 더 풍부한 삽화자료는 이 분야에 처음 발걸음을 내딛는 사람들에게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다만, 가장 중요한 무술 자세에 대해서는 조사 결과 아쉽게도 국내와적으로 논쟁이 상당 부분 존재하는 것을 발견하였다. 비록 내가 아빅 부족한 부분이 많아 어느 한 쪽의 손을 일방적으로 들어줄 수는 없지만, 논란이 있는 부분에 대해 보다 다양하게 책에 실었으면 더 좋지 않았을까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한국의 성곽
손영식 지음 / 주류성 / 2011년 12월
평점 :
절판


 1987년, '한국 성곽의 연구'라는 책이 세상에 태어났다. 산성의 나라라 불리지만 정작 제대대로 된 성곽 연구서 하나 변변찮았던 대한민국에서, 한국 성곽의 연구는 당시까지 연구된 학계의 핵심이 결집된 작은 열매였다.

그러나, 그러부터 수십 년이 넘도록 한국 사학계에서 이렇다 할 성곽 연구서는 나오지 않았고, '한국 성곽의 연구'는 절판되어 도서관의 그림자 속으로 사라졌다. '한국 건축 답사수첩', '한국 건축 용어사전', '한국건축사' 등 한국 건축을 전반적으로 다루는 책들이 여럿 나오면서도 성곽 관련 부분은 '한국 성곽의 연구'를 저본으로 그 내용을 인용하고, 추가로 새로운 연구결과가 실린 논문이나 연구자료를 인용하는 식이었다.

 그러나, 흥할 때가 있으면 쇠할 때가 있고, 쇠할 때가 있으면 흥할 때도 있다고 했던가. 그 옛날 황량한 불모지 같던 한국 전통 건축사학계에서 '한국 성곽의 연구'가 나왔던 것처럼, '한국 성곽의 연구'의 저자인 손영식 선생 당신께서 다시 한 번 한국 성곽에 대한 새로운 연구를 집대성하여 지금 이 대한민국에 '한국의 성곽'이라는 새로운 한국 성곽연구계의 경전을 편찬하기에 이르셨나니, 성곽 연구분야에 관심이 있는 사람들에게 한 줄기 빛이 내려왔다.

 물론, 이 책은 일반인들 기준에서는 그렇게 쉽게 사서 볼 책이 아니긴 하다. 가격은 둘째 치더라도 사전과 엇비슷한 수준의 두툼한 하드커버 책은 처음 접하는 사람에게는 다소 무겁게 느껴지기 충분하다. 하지만 이 책은 사실 말 그대로 '한국 성곽 사전'이다. 다시말해 한국의 성곽에 대한 수많은 연구결과와 성곽에 대한 사진/삽화자료, 성곽 축조 기법, 성곽의 위치, 용어해설, 도판 등등 이 분야에 대한 모든 정보다 집약되어 있는 책인 것이다. 비록 실려있는 사진들이 전부 흑백(그레이스케일) 사진이지만, 흑백이라는 단점이 무색하리만치 풍부한 자료들은 이를 상쇄하고도 남음이 있은즉, 이 분야에 관심이 있거나 자료가 필요하다면 이 책을 구입하고 정독하는 것은 필수불가결한 것이라고밖에 말할 수 없을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1 | 12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