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반 일리치와 나눈 대화
데이비드 케일리 외 지음, 권루시안(권국성) 옮김 / 물레 / 2010년 3월
평점 :
절판
‘학교를 없애자!’라는 비교적 과격한 주장을 했던 사람으로만 기억되던 이반 일리치라는 사람을 제대로 알게 해준 책. 책에서는 다소 과장스럽게도 “우리 시대의 현자”로까지 소개해놓았지만, 사실 읽어가면 읽어갈수록 그는 현자란 이름에 꼭 들어맞는 사람이라는 생각이 든다.
"진정으로 대화하는 사람들은 언어를 사용하지 않는다. 그저 이야기를 나누는 것이다."
책 속의 한 구절이다. 그런 따뜻한, 어떻게 보면 바람직할 수도 있는 언어생활이 언어를 도구로 인식하는 순간 우리를 얽어매고, 또 구속해댄다. 무의미한 정치 슬로건 속에서, 무분별한 광고 문구 속에서 그런 것들을 무척 자주 볼 수 있다. 사실, 언어뿐일까? 교육이라는 제도 역시 그것이 사회 진입의 도구가 되는 순간 우리를 초등학교부터 대학과 유학을 거쳐 성공된 인생으로 이어지는 일방통행로 속에 가둬버린다.
"가난한 집에서 태어나는 것과, 내가 가난한 이유가 학교에서 낙제했기 때문이라는 사실 사이에는 커다란 차이가 있다. 특히 가난할수록 학교에서 낙제할 확률이 어마어마하게 높아진다는 사실을 알고 나면 더욱 그렇다."
여유롭게, 혹은 더 없이 구체적이었거나, 자신의 필요에 따라 받을 수 있던 교육이 사회화의 수단이 되는 순간, 그것은 곧 신분 상승의 도구가 된다. 그리고 그 도구가 어느새 우리를 신분 속에, 그것도 벗어날 수 없는 신분의 굴레 속에 가둬버린다. 같은 식으로, 고통을 덜어주고, 우리가 품위 있는 삶과 죽음을 맞이할 수 있게 해주었어야 할 의료제도 역시 어느덧 우리를 "공인된 건강체"에 속해 있지 않으면 안달하게 만들고, 정체를 알 수 없는 각종 신 질병이 발명되는 세계 속에 빠져들게 만들어버린다. 교육의 주체가 자기 자신에서 '교육제도'로 넘어가버렸듯, 자신의 병을 인식하는 주체 역시 자기 자신에서' 의료체계', 즉 의사들과 그 뒤에 있는 거대한 기관이나 기업으로 넘어가 버리는 것이다. 그리고 이런 현상은 정치 속에서, 우리가 알고 있는 학문 속에서, 각종 구호 사업이나 심지어는 환경 운동, 거기에 종교 속에서까지 폭넓게 늘어만 가고 있다. 일리치는 이것을 "최선이 타락하면 최악이 된다"는 문장으로 압축하여 표현한다.
어떻게 보면 너무나 명쾌한 현실이지만, 그러나 일리치는 이러한 현실을 우리가 단번에 알아채는 일은 생각보다 쉽지 않다고 말한다. 선의로 위장한 말들, 아니, 애초에 시작은 최선이었던 말들의 영향 속에서 우리가 살고 있기에, 그것이 타락한 최선을 우리가 알아채기는 쉽지 않다는 것이다.
그리고 그런 현실을 고발하기 위해 일리치가 택한 방법이 바로 "과거로의 여행"이다. 그는 우리에게 과거로 돌아가 성찰하라고, 정확히는 과거 속을 여행하며 그 시대의 시각으로 우리의 현재를 바라보라고 말한다. 그러면 지금 우리 주변의 세계가 과거에 비해 얼마나 낯설어졌는지, 또 얼마나 달라졌는지를 깨달을 수 있다는 것이다. 그리고 이런 여행을 마치고 돌아오는 과정에서 우리는 "이디오피아의 굶어죽는 어린 '생명'를 도웁시다"라던가 "우리는 지구를 '관리'하여 후세의 사람들에게 물려줄 '책임'이 있습니다" 같은 말 속에 숨은 의미를 '깨닿고' 말 그대로 전율하게 된다.
...
예전에 이반 일리치의 책을 읽고, 어렵고 난해한 문장에 당황했던 사람이라면, 이 책을 읽을 때는 마음을 놓아도 되겠다. 대담집이라서 그런지, 혹은 번역 때문인지는 모르겠지만 비교적 쉽게 읽히는 편이다. 그동안 이반 일리치 글의 난해함에 시달렸던 분이나, 그저 교육가나 환경운동가 쯤으로만 그를 알고 있던 분은 새로이 사상가로서의 이반 일리치 속에 빠져보는 것도 좋을 듯 싶다. 그의 인생 이야기와 주변 사람들의 이야기, 그리고 그가 읽은 책들의 리스트는 말 그대로 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