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 4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인생에서 너무 늦은 때란 없습니다 - 모지스 할머니 이야기
애나 메리 로버트슨 모지스 지음, 류승경 옮김 / 수오서재 / 2017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그저 아름다웠던 풍경을 담아 그리기에 그 뿐으로 충분했던, 그리고 삶속의 이야기를 그림으로 옮겼던 모지스 작가였기에 이야기, 그림 모두 너무나 만족스러웠습니다. 정말 어떻게 보면 자그마한 역사책 하나 읽은 기분이기도 했고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단순하게 사니, 참 좋다 - 미니멀 리스트가 들려주는 단순한 삶의 미학
진민영 지음 / 씨앗을뿌리는사람 / 2017년 8월
평점 :
품절


저자에겐 미안하지만, 그간 읽은 미니멀리스트 책 중에 꽤 불편했던 책. 미니멀리스트를 시작하려는 사람보다는 이미 미니멀리스트를 지속중인 사람들에게 추천하겠음. '아, 우리 잘 하고 있구나. 괜찮네.' 이런 정도로. 어떻게 시작한다는 내용에 공감보다는 '하고 나니 진짜 좋다, 나는 타고난 미니멀리스트다-' 라는 의견에 가깝다는 감상을 받음. 

무엇보다 약에 관한 부정적인 의견에서는 냉정하게 말해서 어처구니가 없었음.

그래, 그게 가벼운 감기라거나 하는 정도면 그냥 끄덕거리며 넘어갔을지 모르겠다.

제일 황당한 건 여성의 생리 때 그냥 어쩔 수 없으니 아프면 된다...라니... 

저자는 주변에 생리통이 심한 사람을 별로 못 본 것 같다. 내 주변 지인들은 기절을 한 사람도 몇 있고, 생리 때만 되면 링겔을 꼭 맞아야 할 정도로 고통스러워 하는 사람이 많다. 나도 생리 때 약이 없으면 세 시간을 못 견뎌 무의식중에 고통에 벽을 긁기도 했고. 약에 내성이 없다고, 아프기 전에 아예 꼬박 먹어주는 게 실제로 몸이 익숙해지면서 생리통이 줄어들기도 한다고 밝혀진 와중에 이런 글은 위험하다고 생각이 들었다. 그러잖아도 이런 쪽으로 무지한 사람들이 많은데 이 부분을 읽은 몇몇들에게 생리통(개개인마다 무척 다른 정도의 고통인데)에 대해 엄살이라거나 '약 안 먹어도 괜찮다던데?'라는 오해를 불러올 것 같기도 했다. (실제로 아직도 그렇게 생각하는 사람이 정말 많으니까. 남자는 몰라서, 여자는 자기는 덜 아파서라거나.) 

그리고 자기애가 대부분의 정신질환을 이겨낸다거나...하는 부분도 위험하다.

실제로 정신질환을 앓는 환자들 중 자기애가 문제가 아닌 환자도 많다. 마치 모든 정신질환의 원인이 자기애의 부재인 것 처럼... 실제로 정신질환은 후천적인 영향보다는 타고난 성향이 더 많다. 여기서 언급한 불안장애, 강박증 등등... 여유 없는 마음... 이미 일반적인 사람들보다 여유 없는 마음을 갖고 태어난 경우가 많은 거다.

참 위험한 문단이라 생각했다. 그냥 주워들은 몇 마디를 첨부한 느낌...냉정하게 말해서 정신질환이면 우선 병원이 최고다. 그래야 약도 최대한 덜 먹고 빨리 낫는다. (저자도 불안장애와 공황장애를 겪었다고 하지만, 본문엔 6개월의 심리상담 후 좋아졌다고 적혀있다.)

자기애의 고양은 정신질환을 이겨내는 과정 중 하나이지 전부가 결코 아니다.

저자는 미니멀리스트로 진정한 삶의 행복을 찾은 것보다는 자신이 글을 쓰기 시작하면서 행복을 느꼈고 그 중의 관심 분야가 미니멀리스트여서 그 주제로 책을 냈다는 생각이 들었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 4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