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물소리 그림책
김충원 지음 / 진선아이 / 2010년 9월
평점 :
품절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한눈에 꿀꺽! 한중일 한자 - 한.중.일 한자 비교 2655자
황영오.차영현.장혜정 지음 / 이비락 / 2010년 10월
평점 :
품절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친환경 살림의 여왕 - 건강한 우리 집 만드는 똑똑한 살림 비법
헬스조선 편집팀 지음 / 비타북스 / 2010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윤손하's 소소한 도쿄 - ソナ‘s 細-しい東京
윤손하 지음 / 페이퍼북(Paperbook) / 2010년 9월
평점 :
품절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지명이 품은 한국사 두 번째 이야기 지명이 품은 한국사 2
이은식 지음 / 타오름 / 2010년 10월
평점 :
품절


수원의 지지대(遲遲臺)는 정조가 아버지 사도세자의 묘소인 현릉원을 찾을 때 이 고개를 오르면 능이 보여도 능 까지 가는 시간이 지루하고 답답하게 느껴져 “왜 이리 더딘 것이냐”하였고 참배를 마치고 돌아 올 때는 화산이 안 보일 때 까지 눈을 돌리지 않아 행차가 늦었다고 한다. 그래서 이 고개를 지지대라 불리었다고 한다. 遲(지)는 더디다, 늦다 라는 뜻이다. 이렇듯 지지대라는 지명을 통해 정조와 사도세자의 부자간의 정, 더 나아가 영조와의 관계 영조당시의 정황과, 역사에 대해 이해할 수 있다. 작자는 이러한 지명이 품은 뜻을 통해 우리 역사를 이해할 수 있도록 설명하고 있다.

발 딛고 살고 있는 우리의 땅이름에 대해서 대부분은 별다른 관심을 가지지 않는다. 그러나 그 지명을 통해 그 곳의 역사와, 지리학적 특징, 지질과 산업, 유물 등과 아울러 선인들의 삶의 모습을 들여다 볼 수 있다. 이 책은 지명이 품은 한국사 두 번째 이야기로 크게 2부로 나누어져 있는데 먼저 지명이란 무엇인가로 시작하여 지명의 유형과, 발생기원, 지명을 선택한 소재에 대해서 자세하게 설명하는 것으로 시작한다. 그리고 2부에서는 지명이 품은 한국사라는 주제 하에 서울 은평과 동작, 인천의 강화, 경기의 수원, 성남, 고양, 파주, 하남, 광주, 의왕, 시흥, 강원도 정선, 경상도 대구, 충청도의 일부 지역에 대한 지명의 유래에 대한 설명과, 그 곳의 지명의 특성과, 역사적 사건을 컬러도판과 함께 흥미롭게 설명하고 있다. 중간에는 ‘묘와 신도비의 뜻’, ‘천안의 명물 호두과자’등의 작은 꼭지를 넣어 단어의 의미와 재미있는 이야기 등을 배치하여 흥미를 더하고 있다.

우리가 거주하고 있는 지명을 통해 원래의 지명의 의미를 알 수 있고, 아울러 역사적 사실을 통해 내가 살고 있는 곳이 역사적으로 어떠한 의미를 가지고 있는지를 아는 것 그것이 곧 향토교육이다. 우리의 지명을 통해 역사를 알고자 하는 독자는 일독을 권할 만하다. 그러나 가끔은 지명의 유래가 역사적 사실에 바탕 한 것인지, 전설인지를 애매모호하게 처리한 부분도 있어 보인다. 앞으로 수도권 지역을 벗어나 경상도, 전라도를 비롯한 전국의 지명에 품은 흥미로운 이야기를 기대해 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