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둑할망 돔박수월 우리 땅, 우리 마을 이름에 얽힌 역사창작동화 시리즈 1
최정원 지음, 이승주 그림 / 푸른영토주니어 / 2013년 11월
평점 :
품절


버둑할망 돔박수월은 황무지 할머니 동백숲이라는 뜻이랍니다. 

조선시대 제주도에서 살면서 5천평에 이르는 황무지에 동백나무 숲을

조성한 현맹춘 할머니의 이야긴데요. 지금 올레길 5코스로 유명해진 곳이라네요. 

 

맹춘이가 열일곱 나이에 시집을 가는 것으로 이야기는 시작됩니다.

옛날 제주의 결혼 풍속과 제주에서 여성으로 살아가는 것이 얼마나 힘들고

고달픈 일인지 알게되었답니다.

잠녀(해녀)질을 해서 진상품을 올리고 세금을 내고 나면 허리가 휘게 물질을 해도

자식을 거둘 수 없어 맹춘은 자신의 자녀 셋을 부유한 남편의 형제들에게

입양보내는게 가슴이 아프더군요.

그래도 끊임없이 우직하고 미련하게 황무지를 옥토로 만들기 위해 수백리 떨어진

한라산에서 동백씨앗을 주워와 심고 돌담을 쌓는 일을 멈추지 않는 주인공의

의지와 노고에 감동을 받았답니다.


각 장이 끝나면 제주방언과 낯선 용어를 설명해주는 부분이 나오는데요.

저는 별 무리없이 읽었는데 아무래도 아이들은 책을 넘겨가며 뜻을 찾아보며

읽으려면 흐름도 끊기도 힘들겠다는 생각이 드네요.

차라리 책 바로 밑에 주석을 달아줬으면 읽기도 편하고 좋았을텐데 말입니다.



맹춘이 어머니가 주신 산귤씨를 심어 수확한 귤에까지 세금을 매기는 포악한 장면입니다.

관아의 수탈로 고통받은 그 당시 민중들의 삶의 모습이 가슴 아프네요.

세금으로 고통받는 딸을 보기 힘든 어머니가 물을 끓여 딸과 함께 살아있는 귤나무를 죽이는 장면에서는

가슴이 찢어지는 것 같았어요.

'미안하다, 귤나무야. 다음 생에는 귤나무로 태어나지 말고 저 먼 한라산 기슭, 사람 발길이 뜸한

곳에 선 구상나무로 태어나렴,'


동백나무가  자라 동백열매로 동백기름도 짜고 아이들을 꽃을 주워 신나게 노는 모습입니다.

이 책에서 제일 신나고 즐거운 장면중의 하나에요.

 

관아의 수탈과 일제의 침략 속에서도 묵묵히 자신의 땅을 일구고 아름다운 동백숲을

조성한 현맹춘여사와 같은 민초 한분 한분이 모여 우리땅의 역사가 되는 것인가 봅니다.

버둑할망이 살았던 시대를 통해 제주의 역사를 들여다보고 우리나라 백성들의 삶의

모습을 들여다본 의미있는 시간이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